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Legal Study on Security Characteristics of the Peace Line

평화선의 안보적 성격에 관한 역사적·국제법적 고찰

  • Yang, Jae Young (Department of Maritime Law and Policy,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양재영 (한국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해양정책학과)
  • Received : 2018.11.30
  • Accepted : 2018.12.26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cast light upon security characteristics of the Peace Line,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To understand maritime order and maritime security policy of the Republic of Korea between 1950 and 1970,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eace Line as line of defence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 This research begins with analyzation of historical facts and investigation on security characteristics of the Peace Line. It goes further to examination of legal justification of the Peace Line, which was one of international legal issues of the period, principally regarding its security characteristics. As results of the study, it could be said that the security characteristics of the Peace Line was the line of defensive waters, which set its goal mainly to prevent infiltration of communist spies. The Peace Line had practical effect as it functioned as a base line of the ROK Navy to take anti-spy operation. At the early phase of the Korea-Japan Negotiation, the Korea delegation interpreted significance of the Peace Line passively. After abrogation of Clark Line, the delegation, however, became positive to maintain the Peace Line and its security characteristics. Security characteristics of the Peace Line was recognized again, as it became the base line of special maritime zone which was made in 1972. Through analysis on international law, it is concluded that the Peace Line was fair as a part of the right of self-defense against indirect aggression. North Korea attempted indirect aggression mainly from sea way, and these might undermine peace and cause urgent and unjust damage on the ROK. Thus the ROK's action of anti-spy operation through the Peace Line can be justifiable as considering the right of self-defence. Also the Peace Line accorded with principles of necessity, immediacy and proportionality. As it was argued on the above, the Peace Line as line of defence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the ROK's maritime security history from the Hot war against communist forces to Cold war period after Korean War and must not be underestimated.

Keywords

References

  1. 국방군사연구소, 대비정규전사 II : 1961-1980 (서울: 국방군사연구소, 1998).
  2.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대비정규전사 : 1945-1960, (서울: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8).
  3. 기윤서, 한반도 교전규칙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3).
  4. 김달중 편, 한국과 해로안보 (서울: 법문사, 1988).
  5. 김석현, 국제법상 국가책임 (서울: 삼영사, 2007).
  6. 김성우, 전쟁법 이해 (인천: 진영사, 2016).
  7.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서울: 북21, 2004).
  8. 박재섭(박기갑 신편), 전쟁과 국제법 (서울: 삼우사, 2010).
  9. 박종성, 해양국제법 (서울: 법문사, 1962).
  10. 송태균 편, 간접침략 (서울: 병학사, 1979).
  11. 이선호, 국가안보전략론 : 국제안보환경과 한반도평화 (서울: 정우당, 1990).
  12. 지철근, 수산부국의 야망 (서울: 한국수산신보사, 1992).
  13. 해군본부 정훈감실, 대한민국 해군사 작전편 제2집 (서울: 해군본부 정훈감실, 1958).
  14. 해군본부 정훈감실, 대한민국 해군사 행정.작전 합편 제3집 (서울: 해군본부 정훈감실, 1961).
  15. Brownlie, Ian. International Law and the Use of Force by States (Oxford: Clarendon Pr., 1963).
  16. Kelsen, Hans. The Law of the United Nations : A Critical Analysis of Its Fundamental Problems (London: Stevens & Sons, 1951).
  17. Kelsen, Hans, International Law Studies : Collective Security Under International Law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7).
  18. 곽진오, "해방이후 한국의 독도정책 : 일본 의회 독도 속기록을 중심으로", 일본학보 제95집(2013).
  19. 김석호, 국제법상 침략에 관한 연구 : 간접침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980).
  20. 김영원, "국제법상 무력공격의 개념변화", 외교 제72호(2005).
  21. 김찬규, "평화선의 합법성에 관한 고찰", 건대학보 제9호(1960).
  22. 문철순, "제네바 국제해양법 회의경과 : 1958년 2월 24일-4월 27일", 국제법학회 논총 제4호(1958).
  23. 박창건, "한일어업협정 전사(前史)로서의 GHQ-SCAP 연구 : 맥아더라인이 평화선으로", 일본연구논총 제39호(2014).
  24. 배규성, "이승만 라인(평화선)의 재고찰 : 해양법 발전에서의 의의와 독도 문제에서의 의미", 일본문화연구 제47집(2013).
  25. 백봉흠, 현대해양법의 입법방향에서 본 평화선의 법적 지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63).
  26. 송승종, "선제적 자위권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 : 유엔헌장 제2조 4항과 제51조의 해석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제21권 제4호(2015).
  27. 오제연, "평화선과 한일협정", 역사문제연구 제14호(2005).
  28. 유재형, "UN헌장상의 자위권과 전통국제법상의 자위권", 한국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2013).
  29. 이재규, 우리나라 작전구역 내 북한선박 통항통제 제도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15).
  30. 이재준, 간접침략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국방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3).
  31. 이창위, "접속수역 제도의 역사적 전개와 법적 성격", 서울법학 제22권 제2호(2014).
  32. 임채현.이윤철, "연안국 해양안보관할권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해사법연구 제20권 제1호(2008).
  33. 정인섭, "1952년 평화선 선언과 해양법의 발전", 서울국제법연구 제13권 제2호(2006).
  34. 조윤수, "'평화선'과 한일 어업 협상: 이승만 정권기의 해양질서를 둘러싼 한일간의 마찰", 일본연구논총 제28호(2008).
  35. 최대현, "간접침략과 북괴남파공작의 태양(態樣)연구", 검찰 제41호(1971).
  36. 최태현, "국제형사재판소 관할대상범죄로서의 침략범죄의 정의", 국제법학회논총 제47권, 제3호(2002).
  37. 홍성근, "평화선 선언과 독도 폭격 연습지 지정에 대한 법.정책적 이해", 독도연구 제18호(2015).
  38. 외무부 동북아주과, 김종필 부장-이께다 수상 회담 회의록, 문서철명 : 김종필 특사 일본 방문, 1962.10-11, 등록번호 : 796, 분류번호 : 724.41JA, 생산년도 : 1962, 프레임번호 : 0122.
  39. 외무부 동북아주과, 제목없음(주일대사 ${\rightarrow}$ 외무부장관 착신전보, 번호 : JAW-03011), 문서철명 : 제7차 한.일회담 : 어업관계회의 및 훈령, 1964.12-65.6. 전4권(V.2 농상회담 : 어업관계, 1965.3.-4.2), 등록번호 : 1461, 분류번호 : 723.1JA, 생산년도 : 1964-1965, 프레임번호 : 0029-0030.
  40. 외무부 아주과, Report on Conversation with Ambassador Walter C. Dowling on the Problems of the Peace Line, etc., 문서철명 : 제6차 한.일회담 : 어업 및 평화선위원회 회의록 및 기본정책, 1961.10-62.3.5, 등록번호 : 729, 분류번호 : 723.1JA, 생산년도 : 1961-1962, 프레임번호 : 1489-1490.
  41. 외무부 아주과, 제목없음(주일대사 ${\rightarrow}$ 외무부장관 착신전보 TOKYO, 번호 : JW-12092), 문서철명 : 제6차 한.일회담 : 제2차 정치회담 예비절충 - 본회의, 제1-65차, 1962.8.21.-64.2.6. 전5권(V.2 4-21차, 1962.9.3.-12.26), 등록번호 : 737, 분류번호 : 723.1JA, 생산년도 : 1962-1964, 프레임번호 : 0270.
  42. 외무부 아주과, 평화선의 군사적 의의, 문서철명 : 제6차 한.일회담(1961.10.20.-64.4.) : 한.일회담에 관한 대책회의 - 어업문제를 중심으로, 1963.5.-9., 등록번호 : 731, 분류번호 : 723.1JA, 생산년도 : 1963, 프레임번호 : 0007-0008.
  43. 외무부 아주과, 한일회담에 관한 대책회의(3차), 문서철명 : 제6차 한.일회담(1961.10.20.-64.4.) : 한.일회담에 관한 대책회의 - 어업문제를 중심으로, 1963.5.-9., 등록번호 : 731, 분류번호 : 723.1JA, 생산년도 : 1963, 프레임번호 : 0059-0060.
  44. 외무부 아주과, 어업관계 비공식회합 회의보고, 문서철명 : 제6차 한.일회담 : 제2차 정치회담 예비절충 - 어업관계회의, 1962.6-64.3. 전5권(V.1 1962.6-12), 등록번호 : 741, 분류번호 : 723.1JA, 생산년도 : 1964, 프레임번호 : 0248-0249.
  45. 외무부 정무과, 한일회담 제6차 어업위원회 경과 보고서, 문서철명 : 제2차 한.일회담(1953.4.15.-7.23.) : 어업위원회 회의록 제1-13차, 1953.5.6-7.23, 등록번호 : 91, 분류번호 : 723.1JA, 생산년도 : 1953, 프레임번호 : 0990.
  46. League of Nations, Acts of the Conference for the Codification of International Law Volume I: Plenary Meetings (Geneva: League of Nations, 1930).
  47. UNCLOS I, Official Records Volume II : Plenary Meetings (Geneva: United Nations Publication, 1958).
  48. United Nations, Yearbook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1956 Volume II (New York: United Nations, 1957).
  49. 국가법령정보센터, "유엔헌장 제1조 제1항," http://www.law.go.kr/조약/국제연합헌장%20및%20국제사법재판소규정 (검색일: 2018. 8. 23).
  50. 국가법령정보센터, "유엔헌장 제51조," http://www.law.go.kr/조약/국제연합헌장%20및%20국제사법재판소규정 (검색일: 2018. 8. 23).
  51.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방위 수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56514&cid=50307&categoryId=50307 (검색일: 2018. 8. 18).
  52. 법률용어사전, "자위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657919&cid=42131&categoryId=42131 (검색일: 2018. 8. 24).
  5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인접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선언,"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dh_024_1952_01_18_0020 (검색일: 2018.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