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ion of the Predictors of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공과대학 강의평가 예측요인 탐색

  • Lee, Jiyeon (Bangmok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
  • Lee, Yeongju (Institut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Myongji University)
  • 이지연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
  • 이영주 (명지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Received : 2018.06.14
  • Accepted : 2018.07.19
  • Published : 2018.07.31

Abstract

In general, lecture evaluation has been used in most universities as an important criterion to evaluate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i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predictors that determine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to g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 exploration of predictors of lecture evaluation, the data of lecture evaluation in A College of Engineering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used, and Decision Tree Analysis was utilized as a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urned out to be the most distinct predictor comparing with those of course and instructor at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That is, as various elements other than teaching competency influence lecture evaluation in college of engineering, it is necessary to be more careful in evaluating quality of lecture or teaching competence. Thus, a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adjust the influence by the predictors that instructors can hardly control.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연, 권치명(2005).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균등화법에 의한 강의평가 개선방안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지, 7, 1705-172
  2. 김선희(2017). 강의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교육의 질 제고 방안 탐색: A대학교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1), 147-174.
  3. 김정겸(2017).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6), 187-196.
  4. 김진화, 홍영은, 박종국(2011). 대학경영환경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Y대학교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경영사학, 26(2), 201-224.
  5. 김현철(2006). 분산분석과 범주형 자료 분석에 의한 강의평가 결과 결정요인의 탐색. 한국교육, 33(3), 121-144.
  6. 김학일, 김성숙, 권오양, 이천, 노경호(2007).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공학교육연구, 10(4), 58-77.
  7. 남민우, 조은순(2014). 대학 강의평가에서 수강인원에 따른 차이 검증 및 가중치 적용 방안 연구. 학습과학연구, 8(2), 153-168.
  8. 민혜리(2016). 수업에 대한 교수의 자기평가와 학생평가의 비교를 통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연구. 공학교육연구, 19(3), 35-43.
  9. 민혜리, 홍성연(2009).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탐색. 공학교육연구, 12(4), 38-45.
  10. 백순근, 신효정(2008).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강의평가 분석-S대학교 교양강의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1(2), 1-24.
  11. 양길석(2014). 대학 강의평가 영향 요인에 대한 메타 연구. 교육방법연구, 26(2), 293-322.
  12. 양길석, 박미희(2012). 가중치를 적용한 강의평가 결과 분석. 학습방법연구, 24(3), 589-616.
  13. 오숙영(2015). 강의평가점수 영향력 요인에 대한 사후조정연구. 교육평가연구, 28(4), 1225-1254.
  14. 이재만, 차영준(2012).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서 집단별 표준화변환을 이용한 강좌평가모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1), 143-150.
  15. 이희원, 강호선, 정연순, 허은녕(2005).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강의 평가 문항 분석-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8(4), 52-63.
  16. 이희원, 민혜리(2013).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방안 탐색: S대학의 강의평가 결과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열린교육연구, 21(3), 257-283.
  17. 조수선(2016). 대학 강의평가 영향력 요인 중 학생 특성의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9(6), 38-43.
  18. 조장식(2013).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강의평가 결정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학회지, 24(6), 1285-1296.
  19. 조장식, 강창완, 최승배(2009). 강의평가에 대한 균등화방법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학회지, 20(1), 65-75.
  20. 채수은, 손영민(2015). 형성적 기능 중심의 대학 강의평가 공개를 위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1(1), 325-358.
  21. 최보금, 김재웅(2013).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1(1), 77-100.
  22. 하오선, 정민호(2013). 강의평가 결과공개가 강의개선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1(4), 299-319.
  23. 한신일(2001).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 관련 요인 분석: 교수, 학생, 수업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19(4), 247-266.
  24. Kass, G. V. (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d statistics, 119-127.
  25. Shmueli, G., Patel, N. R. & Bruce, P. C.(2011). Data mining for business intelligence: Concept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in Microsoft Office Excel with XLMiner. John Wiley and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