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Curriculm :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Healing Bio Sciences Consortium Focus

융·복합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건국대학교 힐링바이오공유대학 중심으로

  • Kwon, Hyuk (Department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onkuk University) ;
  • Song, Deok-Geon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onkuk University) ;
  • Lee, Jin-Hong (Department of Police Science, Konkuk University)
  • 권혁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송덕근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진홍 (건국대학교 경찰학과)
  • Received : 2018.10.28
  • Accepted : 2018.11.21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low growth rate and the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that our society faces have already come to our country core problem. Today, as we ente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cial atmosphere that urgently needs to solve the problem of youth employment has become imminent, and the importance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process of how to develop fusion multifaceted curriculum centered on the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Healing Bio Sciences Consortium Focus, which is developed and oper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questionna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ditions for enhancing educational suitability and the expansion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과학자 육성 방안,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265-277.
  2. 교육부 대학지원관(2017).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기본계획-산학협력 고도화형
  3. 김광웅 엮음(2009). 우리는 미래에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생각의 나무.
  4. 김정진.이정섭.김희국.이원혜.김명식.장화순(2011),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기관 평가인증 및 보수교육 지침서 개발 연구, 한국정신보건전문요원협회 한국건강증진재단 연구보고서, 정책 11-5, 149
  5. 나정기(2014).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행동과의 관계 : 조리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8(3), 181-196.
  6. 노승용(2006). 델파이 기법: 전문적 통찰로 미래 예측하기, 국토연구, 통권299호, 53-62.
  7. 박종기.이태희, (2018). 4차 산업혁명과 교육공간의 건축적 변화, 교육시설의 변화와 동양. 19-23.
  8. 박일우(2016). 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교양교육연구, 10(1), 349-378.
  9. 박재묵(2014), 융복합 교육 실현의 조건. 오피니언 논설.
  10. 어윤경(2011).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2(5), 1793-1811.
  11. 이공래(2008). 기술융합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 통신), 25(11), 18-22.
  12. 이상원(2010). 다학제 융합 종합설계 교육, 대한기계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강연 및 논문 초록집, 4524-4527.
  13. 이성종 외 (2009). 대학 교육과정의 혁신적 개편을 통한 융합.
  14. 이은화.강승희(2009).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따른 학습실태 및 학습기술 훈련 요구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6(4), 117-143.
  15.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북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5, 1-22.
  16. 정성호(2015). 융합교육의 방향성 탐색: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융합교육연구 제1권, 75-94.
  17. 최연구(2017). 4차 산업혁명, 아직 말하지 않은 것들I. 미래연구포커스.
  18. 최은진.김미숙.김지은.박정연(2011),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정책현황 개선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 11-R22-2, 93-102.
  19. 최재천.장대익(2005). 통섭: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북스.
  20. 함승환 외13인(2013).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6(2), 107-136.
  21. Murry, J. W. & Hammons, J. O.(1995). Assessing the managerial and leadership ability of community college administrative personnel, Community College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19 (3), 209-218.
  22. Wallerstein(1987). World-systems Analysis, Essential Wallerstein. 129-148.
  23. Wilson, E.(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New York; Knopf, 1-374.
  24. 김무한(2017). http://www.sanhakfund.or.kr/client/column/viw.asp?nidx=34.
  25. 건국대(2018).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70702010000290.
  26. 스텐포드 대학 D-School 프로그램(2018). https://dschool.stanford.edu/.
  27. 윤양섭(2014). http://news.donga.com/3/all/20140704/649496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