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improving Self-Esteem and Ego-Resiliency, Emotional Stability of Sexual Victimized Adolescent. The subject was the middle school student girl, 3th grades(15year old). She was suffered from sexual assault she was lack of self-confidence and suffered difficulty in daily life. Individual Art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and for 20 periods. Emotional Stability, Self-Resilience, Self-Esteem were performed pre-post 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after Art Therap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elf-Esteem score improved to post- 35 points from pre-16points. The Ego-Resiliency score improved to post-133points from pre- 63 points. The Emotional Stability score changed to a post-ex-post 96 score with a score of 110 as a positive effect. Secondly, the subject in the whole process of Art Therapy were formed intimacy with the researchers, able to heal painful scars while expressing inner feelings in a stable psychological state. Through the creative activities, she became confident and had positive thoughts about his future. Even though, this program focused to prevent PTSD. So the subjects needs to participate follow up program to treat depression, anxiety, nerveless be caused by sexual assault.
본 연구는 인간중심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사례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15세 중학교 3학년 여학생으로 성폭력피해 직후 무기력하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주1회, 매회기 60분, 총 20회기 인간중심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심리적 변화(정서안정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작품 및 행동의 변화를 질적 분석 하였다. 본 프로그램 실시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안정감의 사전 110에서 사후 96점으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낮을수록 긍정적 효과이다. 자아탄력성의 사전 63에서 사후 133으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높을수록 긍정적이다. 자아존중감은 사전 16에서 사후 35로 변화 되었고 점수는 높을수록 긍정적이다. 분석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정서안정감과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인간중심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폭력피해 청소년의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초기단계에서 연구자와 라포 형성에 성공적이었으며 중기와 종결과정을 통해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거나 관계를 탐색하는 일이 가능하였다. 창작활동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프로그램은 성폭력피해 직후 청소년이 PTSD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지만 성폭력 후유증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우울, 분노, 무기력감 등을 회복하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낼 수 있도록 추수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