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Influence of Triggering Variables Related the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Focussed on Participants in 6th KoWePS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와 관련된 유발요인의 영향력 분석: 6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참여자를 대상으로

  • 김지훈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경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12.04
  • Accepted : 2018.01.10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riggering variables, such as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s, 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s, related the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The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6^{th}$(2011) KoWePS. and a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AMOS 21.0 as a calling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st}$, depression, self-esteem, subjective healthful status, marital violence, role of sex were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2^{nd}$, subjective healthful status and problem-drinking were related to suicidal plan. $3^{rd}$, problem-drinking and marital violence was negative related to suicidal attempt. Finally, on the base of this results,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o reduce and protect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esented.

본 연구는 6차년도(2011년) 한국복지패널에 참여한 10,991명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일련의 자살에 관련된 유발요인으로 개인심리변인, 개인 및 사회환경변인을 통합적인 연구틀에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AMOS 21.0 버전을 활용하여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일련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우울, 자존감, 주관적 건강상태, 부부폭력, 성역할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 문제음주는 자살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제음주, 부부폭력은 자살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근거로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를 축소 예방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6년 사망원인 통계, 2017.09.21.
  2. 건강보험정책연구원, 5대 사망원인의 사회.경제적 비용분석, 2015.
  3. 남재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의 담론적 성격,"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91-224, 2010.
  4. A. T. Beck, M. Kovacs, and A. Weissman, "Assessment of Suicidal Idea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7, No.2, pp.343-352, 1979. https://doi.org/10.1037/0022-006X.47.2.343
  5. M. K. Nock, G. Borges, E. J. Bromet, C. B. Cha, R. C. Kessler, and S. Lee,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Epidemiologic Reviews, Vol.30, pp.133-154, 2008. https://doi.org/10.1093/epirev/mxn002
  6. U.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7. 강준혁, 이혁구, 이근무, "자살관념 극복에 관한 연구: 자살 고위험집단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103-134, 2015.
  8. 배지연, 김원형, 윤경아,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 제23권, 제3호, pp.59-73, 2005.
  9.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차이,"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2호, pp.67-100, 2010.
  10. 이묘숙, "노인의 우울수준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생활만족도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241-266, 2010.
  11. 장미희, 김윤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제14권, 제1호, pp.33-42, 2005.
  12. 이은석, 이선장, "농촌지역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신체적 여가활동의 완충효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제22권, 제2호, pp.35-54, 2009.
  13. 이현지, 조계화,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6권, 제4호, pp.717-773, 2006.
  14. 박봉길, "노인의 심리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969-989, 2008.
  15. 김보미, 유성은,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들의 사회적 유대감, 정서조절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권, 제3호, pp.731-748, 2012.
  16. 이현경, 장창곡,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 자살생각과의 연관성," 대한보건연구, 제38권, 제1호, pp.69-79, 2012.
  17. 임금선, 김현실, "노인 우울 및 자살생각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노인생명존중프로그램의 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5권, pp.201-222, 2012.
  18. 김현순, 스트레스, 절망,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노인과 청소년간의 차이비교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9. M. Strobe, W. Strobe, and G. Abakoukin, "The Broken Heart: Suicidal Ideation in Bereavement,"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2, No.11, pp.2178-218, 2005. https://doi.org/10.1176/appi.ajp.162.11.2178
  20. 윤명숙,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음주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113-140, 2011.
  21. S. I. Jang, H. C. Bae, J. Y. Shin, S. Y. Jang, S. R. Hong, K. T. Han, and E. C. Park, "The Effect of Suicide Attempts on Suicide Ideation by Family Members in Fast Developed Country, Korea," Comprehensive Psychiatry, Vol.66, pp.132-138, 2016.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16.01.008
  22. J. Zhang, Y. Lie, and L. Sun, "Life Satisfaction and Degree of Suicide Intent: A Test of The Strain Theory of Suicide," Comprehensive Psychiatry, Vol.74, pp.1-8, 2017.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16.12.002
  23. S. U. Lee, S. W. Roh, Y. E. Kim, J. I. Park, B. Y. Jeon, and I. H. Oh, "Impact of Disability Status on Suicide Risks in South Korea: Analysi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hort Data from 2003 to 2013,"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Vol.10, pp.123-130, 2017. https://doi.org/10.1016/j.dhjo.2016.06.008
  24. 이연호, "학대경험노인의 심리: 사회적 피해에 대한 가족관련 위험요인의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22권, pp.35-52, 2003.
  25. K. Devries, C. Watts, M. Yoshihama, L. Kiss, L. B. Schraiber, N. Deyessa, L. Heise, J. Durand, J. Mbwambo, H. Jansen, Y. Berhane, M. Ellsberg, and C. Garcia-Moreno, "Violence against Wome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s: Evidence from The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3, pp.79-86, 2011.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1.05.006
  26. 강초롱, 조영태, "사회적 차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연령.경제상황에 따른 차별인지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35권, 제3호, pp.1-27, 2012.
  27. 이묘숙,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231-259, 2012.
  28. N. D. L. Smith and I. Kawachi, "State-Level Social Capital and Suicide Mortality in The 50 U. S. Stat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120, pp.269-277, 2014.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4.09.007
  29. 남석인, 이희정, 김성준, 김보경, "노인의 계층인식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이중 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호, pp.121-150, 2016.
  30. S. Jin and J. Zhang, "The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54, No.4, pp.401-413, 1998. https://doi.org/10.1002/(SICI)1097-4679(199806)54:4<401::AID-JCLP2>3.0.CO;2-Q
  31. V. Lorant, A. E. Kunst, M, Huisman, M. Bopp, J. Mackenbach, and The Working Group, "A European Comparative Study of Marital Status and Socio-Economic Inequality in Suicid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0, pp.2431-2441, 2005.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4.11.033
  32. 배진희, "노인의 상실, 학대경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4권, pp.49-70, 2009.
  33. 김기태, 최송식, 박미진, 박선희, 고수희, 박현숙, "가족구조와 심리사회적 요인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205-228, 2011.
  34. L. W. Li, H. Xu, Z. Zhang, and J. Liu, "An Ecological Study of Social Fragmentatio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Suicide in Rural China: 2008-2010," SSM-Population Health, Vol.2, pp.365-372, 2016. https://doi.org/10.1016/j.ssmph.2016.05.007
  35. Caetano, N. Giesbrecht, and B. H. McFarland, "Economic Recession, Alcohol, and Suicide Rates: Comparative Effects of Poverty, Foreclosure, and Job Los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52, No.4, pp.469-475, 2017. https://doi.org/10.1016/j.amepre.2016.09.021
  36. 오인근, 노인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 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7. 김현경, 고성희, 정승희, "노인의 자살생각과 위험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82-92, 2010.
  38. 박재산, 문재우,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제27권, pp.105-131, 2010.
  39. 손정남,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18-126, 2012.
  40. 김지훈, 김경호, "자살생각과 자살계획에 관련된 유발변인의 영향력 분석: 심리상태와 가족관련변인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25권, 제4호, pp.246-272, 2013.
  41. 배지연,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분석: 신문기사내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23권, pp.65-82, 2004.
  42. T. Joiner, Why People Die by Suicid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43. R. F. Baumeister,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Vol.97, pp.90-113, 1991.
  44. R. F. Baumeister, The Self.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zey(4th ed.), The Handbook of Psychology, pp.680-740,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45. D. L. Macinnes, "Self-esteem and Self-acceptance: An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3, No.5, pp.483-48, 2006.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6.00959.x
  46. 김지훈, 김경호, "베이비부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21권, 제3호, pp.393-415, 2016.
  47. 신동준, "자살의 사회적 원인에 대한 국가 간 비교 분석," 범죄와 비행, 제12권, pp.85-102, 2012.
  48. 권중동, 김유진, 엄태영,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살시도경험과 음주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297-320, 2011.
  49. D. Owens, J. Horrocks, and A. House, "Fatal and Non-Fatal Repetition of Self-Harm," Journal of Psychiatry, Vol.181, pp.193-199, 2002. https://doi.org/10.1192/bjp.181.3.193
  50. 신상수, 신영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비판사회정책, 제45권, pp.230-266, 2014.
  51. 최신애, 하규수,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65
  52. 이미애,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3. M. B. Kumar, M. Walls, T. Janz, P. Hutchinson, T. Turner, and C. Graham, "Suicidal Ideation among Metis Adult Men and Woman-Associa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inding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Internation Journal of Circumpolar Health, Vol.71, pp.1-11, 2012. https://doi.org/10.1080/22423982.2012.11864611
  54. S. X. Chen, W. H. Wu, and M. H. Bond, "Linking Family Dysfunction to Suicidal Ideation: Mediating Roles of Self-Views and World-Views,"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2, No.1, pp.133-144, 2009. https://doi.org/10.1111/j.1467-839X.2009.01280.x
  55. D. S. Eitzen and M. B. Zinn, "The Missing Safety Net and Families: A Progressive Critique of The New Welfare Legislation,"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Welfare, Vol.27, pp.53-73, 2000.
  56. 조흥식, 김혜련, 신혜섭, 김혜란, 여성복지학, 학지사: 서울, 2000.
  57. R. D.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 https://doi.org/10.1353/jod.1995.0002
  58. E. Durkheim, Suicide, NY: The Free Press, 1897.
  59. M. J. De Silva, S. R. Huttly, T. Harpham and M. G. Kenward, "Social Capital and Mental Health: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r Low Income Countri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4, No.1, pp.5-20, 2007.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08.044
  60. 하미옥, 김장락, 정백근, 강윤식, 박기수,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 연관,"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8권, 제2호, pp.116-129, 2013.
  61. R. D.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Y: Simon & Schuster, 2000.
  62. M. K. Islam, U. G. Gerdtham, B. Gullberg, M. Lindstrom, and J. Merlo, "Social Capital Externalities and Mortality in Sweden," Economics & Human Biology, Vol.6, No.1, pp.19-42, 2008. https://doi.org/10.1016/j.ehb.2007.09.004
  63. 황희정, 이주영, "초등학생이 지작한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3호, pp.777-800, 2016.
  64. J. Calder, A. McVean, and W. Yang, "History of Abuse and Current Suicidal Ideation: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Survey,"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25, pp.205-214, 2010. https://doi.org/10.1007/s10896-009-9284-x
  65. P. W. Corrigan and A. C. Watso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tigma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World Psychiatry, Vol.1, No.1, pp.16-20, 2002.
  66. J. G. Cvinar, "Do Suicide Survivors Suffer Social Stig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Vol.41, No.1, pp.14-21, 2005. https://doi.org/10.1111/j.0031-5990.2005.00004.x
  67. J. M. Eagles, D. P. Carson, A. Begg, and S. A. Naji, "Suicide Prevention, A Study of Patients' View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82, No.3, pp.261-265, 2003. https://doi.org/10.1192/bjp.182.3.261
  68. 이수비, 송영매, 이현옥, 최윤주, "젠더관점에서 본 기혼성인의 취업상태와 자살에 대한 연구: 성역할 인식을 매개하여," 비판사회정책, 제51호, pp.487-520, 2016.
  69.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70. 김경호, 김지훈,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20권, 제4호, pp.95-116, 2008.
  71. G. MacDonald, M. P. Zanna, and J. G. Holmes, "An experimental test of the role of alcohol in relationship conflic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36, No.2, pp.182-193, 2000. https://doi.org/10.1006/jesp.1999.1412
  72. R. A. McCormick and M. Smith, "Aggression and hostility in substance abusers: The relationship to abuse patterns, coping style, and relapse triggers," Addictive Behaviors, Vol.20, pp.555-562, 1995. https://doi.org/10.1016/0306-4603(95)00015-5
  73. 김승용, 노인부부 폭력 여부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74. 권태연, 강상경, "가구주의 음주행태와 심리적 특성이 배우자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제20권, pp.223-257, 2007.
  75. S. Boney-McCoy and D. B. Sugarman, Selfesteem and partner violence: A meta-analytic review, 6th International Family Violence Research Conference, Hurham, NH, 1999.
  76. G. Bellavial and S. Murray, "Did I do that? Self-esteem-related difference in reactions to romantic partners' moods," Personal Relationships, Vol.10, No.1, pp.77-95, 2003. https://doi.org/10.1111/1475-6811.00037
  77. 강욱모, 김지훈, "베이비붐세대의 고용지위변화, 정신건강 및 삶의 질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22권, 제3호, pp.379-400, 2017.
  78. A. T. Beck, A. J. Rush, B. F. Shaw, and G. Emery,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Y: Guilford Press, 1979.
  79. C. M. Mckinney, R. Caetano, T. R. Harris, and M. S. Ebama, "Alcohol availability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among us couple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33, No.1, pp.169-176, 2009. https://doi.org/10.1111/j.1530-0277.2008.00825.x
  80. Y. Xue, M. A. Zimmerman, and R. Cunningham,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violent behavior among urban african youths from adolescence to emerging adulthood: A longitudi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9, No.11, pp.2041-2048, 2009. https://doi.org/10.2105/AJPH.2008.147827
  81. C. M. Mckinney, R. Caetano, L. A. Rodriguez, and N. Okoro, "Does alcohol involvement increase the severity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34, No.4, pp.655-658, 2010. https://doi.org/10.1111/j.1530-0277.2009.01134.x
  82. I. M. Wilson, K. Graham, and A. Taft, "Alcohol interventions, alcohol policy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A systematic review," BMC Public Health, Vol.14, p.881, bmcpublichealth. biomedcentral.com, 2014. https://doi.org/10.1186/1471-2458-14-881
  83. D. L. Snow, T. P. Sullivan, S. C. Swan, D. C. Tate, and I. Klein, "The role of coping and problem drinking in men's abuse of female partners: Test of a path model," Violence and Victims, Vol.21, No.3, pp.267-286, 2006. https://doi.org/10.1891/vivi.21.3.267
  84. D. J. Bem, "Exotic Become Erotic: A Developmental Theory of Sexual Orientation," Psychological Review, Vol.103, No.2, pp.320-335, 1996. https://doi.org/10.1037/0033-295X.103.2.320
  85. 김지훈, 김경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448-46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448
  86. E. Ro and E. Lawrence, "Comparing three measures of psychological aggression: Psychometric properties and differentiation from negative communication,"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22, pp.575-586, 2007. https://doi.org/10.1007/s10896-007-91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