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gration of Inlaid and Paste Brush Technique Using Colored Glass Plaster Technique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이용한 상감 귀얄기법 융합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7.12.19
  • Accepted : 2018.01.24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oint of discovering a new technique using colored glass and clay is to improve the existing inconveniences,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mutual physical property of ceramics clay and glass. It is easy to express the decoration of colored glass in vertical ceramics, but the aesthetic expression is limited due to the rust flowing down on horizontal ceramics. So the point is the discovery of a new expressive method that do not melt down in vertical objects. A new technique is to crush finely and dilute the colored glass using clay, and brushing it to the wall. Additionally, inlaid technique and paste brush technique were applied to further enhance aesthetic end. The plastic method is oxidation and reduction, and the coloration was different due to the plasticity method. Particularly, partial cutting of engraved color glass leads to forming gray-line soft gradation. This effect will be good to apply to production of work and industrial ceramics.

색유리와 화장토를 이용한 새로운 기법발견의 주안점은 기존의 불편한 점을 개선해야 하기 때문인데 이는 도자기 소지와 유리의 상호물성 호환 관계에 있다. 말하자면 세로로 된 도자기 기물에는 색유리의 데코레이션 표현이 용이하나 가로로 된 기물에서는 녹아 흐르기 때문에 미적 표현이 제한을 받아왔다. 그래서 세로로 된 기물에 녹아 흐르지 않는 새로운 표현 방법의 발견이 주된 관점이다. 이를 보완한 새로운 방법은 화장토를 이용하여 색유리를 곱게 분쇄하여 희석한 후 붓으로 기벽에 칠하는 새로운 기법을 최초로 개발하였고 추가로 미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상감기법과 귀얄기법을 적용하였다. 소성의 방법은 산화와 환원이고 소성방법에 따라 컬러가 다르게 발색 되었다. 특히 음각 된 색유리 표면을 부분부분 깎아낼 경우 독특한 붉은 갈색게열의 부드러운 그라데이션이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효과를 작품 제작 뿐 아니라 산업자기에 확장 적용을 하기에도 좋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야나기무네요시, 공예의 길, 신구문화사, 1994.
  2. 허버트리드, 예술의 의미, 문예출판사, 2007
  3. 김경식, 도자기 제작의 과학적 특징과 장식기법, 평화, 2017
  4. 이지혜, "국내외 유리공방 분석을 통한 유리공예 활성화 방안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제16권, 제1호, pp.46-64, 2013.
  5. 세화편집부, 화학 대사전, 세화출판사, 2001.
  6. 국립중앙박물관, 유리삼천년의이야기, 국립중앙박물관, 2012.
  7. 최현숙, 색유리를 이용한 도자장식,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곽현정, 유리조형의색과이미지연구,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윤상옥, 박정근, 윤종호, 이학현, 새로운상감도자기기법을이용한특산품개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이부웅, "고려상감청자운학문의표현기법연구," 제1권, 제1호, pp.25-44, 한국도자학연구, 2005.
  11. 이규선, "陶瓷器象嵌技法에 관한 硏究," 남서울대학교논문집, pp.457-470, 1995.
  12. 조성일, 분청 茶碗에 관한 연구(귀얄기법을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3. 김지영, 실내공간을 위한 도자디자인개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