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Unmanned Aerial Vehicle(UAV) Industry

무인항공기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Received : 2018.01.05
  • Accepted : 2018.01.29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by applying industry association analysi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employment creation, value added inducement, sensitivity coefficient, and influence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and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result are presented. As a result,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confirmed to be 10.017 persons per 1 billion won of investment.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was much higher than the other manufacturing industry averag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2.285,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0.581) when the 1 won budget was added, resulting in 0.9771 won added value.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the coefficient of sensitivity, which means the front chain effect, is 0.7870, which is lower than the manufacturing average (sensitivity coefficient 1.125), and the coefficient of influence, which means the backward chain effect, is 1.161, which is higher than the manufacturing average (influence coefficient: 1.116). Therefore, it is classified as the final demand manufacturing industry. This means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is less affected by economic fluctuations and can be interpreted as an industry with a greater economic impact than other sectors. Based on these data, it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R&D investment direction policy of the unmanned aerospace industry.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무인항공기 산업과 관련된 기술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고용창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 감응도 계수, 영향력 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로 한다. 분석결과, 고용유발효과는 투자액 10억원당 10.017명으로 확인되었으며,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원의 예산이 투입될 경우, 0.9771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하여 타제조업 평균치(고용유발계수: 2.285, 부가가치유발계수: 0.581) 대비 모두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한편, 무인항공기 산업은 전방연쇄효과를 의미하는 감응도 계수는 0.7870로 제조업 평균치(감응도 계수: 1.125)보다 낮고, 후방연쇄 효과를 의미하는 영향력 계수는 각각 1.161로 제조업 평균치(영향력 계수: 1.116)보다 높기 때문에 최종 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으로 분류된다. 이는 무인항공기 산업이 경기변동에 영향을 적게 받는 산업임을 의미하며, 다른 부문에 비해서 투자지출대비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략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항공기 산업의 기술별 R&D 투자 방향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항공안전기술원, "무인항공기 안전운항기술 개발 및 통합시범운용 기획," 2015.
  2. 한국정보화진흥원(NIA), IT&Future Strategy, "초연결 기술, 날개를 달다: 드론의 성장과 대응방향," 2015.11.20.
  3. 이데일리, 소프트웨어 없는'한국 드론' 미래가 없다, 2015.03.31.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로드맵," 2017(10).
  5. 석왕헌, 송영근, 박춘환, "M2M 부문에 대한 산업연관분석- RAS법을 활용,"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6호, pp.2303-2327, 2015.
  6. 강성진, "녹색성장과 국토관리전략; 녹색산업의 경제파급효과와 국토관리전략," 국토연구원, 제327권, pp.29-39, 2009.
  7. 홍재표, 변정은, 김방룡, "녹색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제26권, 제2호, pp.649-670, 2013.
  8. 김윤경, "산업연관표 2009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설비산업의 생산유발효과분석," New & Renewable Energy 2012, 제8권, 제1호, pp.8-17, 2012. https://doi.org/10.7849/ksnre.2012.8.1.008
  9. 권승문, 김하나, 전의찬,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6, Vol.7, No.1, pp.59-68, 2016. https://doi.org/10.15531/ksccr.2016.7.1.59
  10. 임시영, 김석, 오은호, 이교선, "교통부문의 경제적 기여도 및 파급효과 도출을 위한 산업연관분석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6권, 제 4호, pp.12-20, 2015.
  11. 김안호, 기성래, "자동차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4호, pp.1057-1075, 2004.
  12. 민서현, 진세준, 임태훈, 하진희, 유승훈, "데이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제12권, 제1호, pp.25-49, 2017.
  13. 유승훈, 임응순, 정군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송과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1호, pp.134-158, 2008.
  14. CG(Computer Graphic)산업의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Issue Report, NIPA, 2017.07.31.
  15. R. E. Miller and P. D.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New Jersey: Prentice-Hall, 1985.
  16. 정현준, "ICT 산업구조와 산업연관효과 분석," 정보통신정책, 제25권, 제18호, 2013.
  17.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14.
  18. A. O. Hirschman,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8.
  19. L. P. Jones, "The Measurement of Hischmanian Linkage Hypothesi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90, No.2, pp.323-333, 1976. https://doi.org/10.2307/1884635
  20. Masahiro Ide, EXCEL을 활용한 산업연관분석입문, 2010.
  21. 한국은행, 2014년 산업연관표, 2016.
  22.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