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s and the Impact of Korean Trade Policy after the US's withdrawal of TPP -Based on Vietnam Market-

미국의 TPP 탈퇴에 따른 한국 통상정책의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한 연구 -베트남 시장을 중심으로-

  • 김동호 (상명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Received : 2017.11.20
  • Accepted : 2017.12.28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changes and effects of Korean Trade Policies in Vietnam market after the withdrawal of the TPP from US. Since Trump government is starting, US trade policy has moved to the protectionism method. Nevertheless, Vietnam is expanding its status as an FTA hub, and Vietnam is actively expanding its economic growth by actively implementing foreign capital. Vietnam, however, is likely to lose its position as a hub of FTA after USA's withdrawal from TPP member. So, Korea's trade policy is also expected to change its stance on Vietnam, and Korea is expected to change its policy toward Vietnam. Korea has achieved a lot of accomplishments and growth with free trade and free economic markets, and it has to strengthen its national strength even afterwards. Thus, if the flow of free trade & globalization continues, I would consider how the Korea trade policy change after the U.S.'s withdraws from TPP.

본 연구는 트럼프 행정부 이후 보호무역이 강화되는 시점에 미국의TPP 탈퇴로 기존 TPP 협정 체결국 중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국 통상 정책의 변화와 영향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한국은 자유무역과 자유경제 시장의 흐름으로 경제 성장과 발전에 많은 성과와 결과물을 이루어냈고 이후에도 통상으로 국력을 더욱 공고히 해야만 한다. 그러나 외부환경은 보호주의로 통상정책을 시행하려는 강대국이 많지만 정량적으로 경제의 기반을 무역에 두고 있어 자유무역주의를 더욱 발전시켜야할 위치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유무역주의의 흐름이 계속되고, 세계화가 지속된다면 현재 진행 중이던 TPP가 미국의 탈퇴 이후 한국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생산비용이 저렴한 국가를 활용한 공급망 구축이다. 둘째로 일본과 대미 수출 경쟁관계에 있는 품목은 GVC를 활용한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로 동남아 시장 전초 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중간재의 생산과 판매 거점을 확보하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협, 미TPP와 중RCEP 사이의 불안한 출발, 문화일보, 2012.
  2. 김양희, "RCEP와 TPP의 특성과 향후 전망 및 한국에의 시사점," Sungkyun China Brief, Vol.2, No. pp.102-104, 2014.
  3. 김인태, "RCEP 13차 협상관련 참여국 동향," Global Market Report 16-038, pp.1-2, pp.14-29, 2016.
  4. S. Hix, The Political System of the European Union, 2nd ed., New York: Palgrave Macmilan, pp.235-268, 2005.
  5.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5. 11. 05.
  6. World Trade Report, WTO, pp.80-81, pp.113-115, 2014.
  7. 최낙균, 김영귀, 동아시아의 가치사슬구조와 역내국간의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01, pp.62-68, 2013,
  8. 코트라, "국제 통상환경 변화와 글로벌 생산기지 변화 동향," 코트라 Global Market Report 16-028, pp.9-10, 2016.
  9. 정상현, TPP, 베트남의 참여 전략, 하노이코트라 무역관 보고서, 2015.
  10. 베트남 통계청 2015년 자료, http://www.gso.gov.vn
  11. World Bank Group &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of Vietnam, "Vietnam 2035: Toward Prosperity, Creative, Equity, and Democracy," World Bank Group, pp.8-11, 2016.
  12. 코트라, "TPP 무산이 베트남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전략," 코트라 Global Market Report 17-009, pp.10-11, 2017.
  13. 산업통상자원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관심표명,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3.11.29.
  14. 정인교, "TPP 협정상 신규도입 통상규범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90-95, 2016.
  15. 코트라, "TPP 무산이 베트남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전략," 코트라 Global Market Report 17-009, pp.10-11, 2017.
  16. 이재형, "일본의 일반집중 규제제도: 특징과 시사점," KDI 연구자료 2007-02, pp.16-19, 2007.
  17. 수출입은행, 베트남의 투자환경위험 평가보고서,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