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Child Care Education - Based on Domestic Research from 2006 to 2018 -

유아 배려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06년~2018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 문연심 (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영숙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8.16
  • Accepted : 2018.11.13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child care education,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child care educ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Methods: A total of 91 theses were selected in journals released in Korea from January 2006 to August 2018. The analysis standards for the research trend were established as research period, theme, target and method. Results: First, the amount of research on child care education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6. Second, action research for improvement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theme for child care education, while activities utilizing fairy tales and picture book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education activities. Third, research that targeted five-year-olds accounted for the largest part of research. Fourth, when it came to research type, most research was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hild care education and relevant research was discussed.

Keywords

BOJGB2_2018_v14n6_21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발표 논문 유형 분포도

BOJGB2_2018_v14n6_21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년도 별 발표 논문 편수 분포도

BOJGB2_2018_v14n6_219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주제 별 논문 발표 유형 분포도

BOJGB2_2018_v14n6_219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주제별 논문 발표 유형 분포도

BOJGB2_2018_v14n6_219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주제에 따른 교육활동 내용분석 분포도

BOJGB2_2018_v14n6_219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연구주제에 따른 관련변인에 대한 효과분석 분포도

BOJGB2_2018_v14n6_219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연구 대상별 연구동향 분석 분포도

BOJGB2_2018_v14n6_219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 분석 분포도

표 1. 유아 배려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류기준

BOJGB2_2018_v14n6_219_t0001.png 이미지

표 1. 계속

BOJGB2_2018_v14n6_219_t0002.png 이미지

표 2. 발표 논문 유형

BOJGB2_2018_v14n6_219_t0003.png 이미지

표 3. 년도 별 발표 논문 편수

BOJGB2_2018_v14n6_219_t0004.png 이미지

표 4. 주제 별 논문 발표 유형

BOJGB2_2018_v14n6_219_t0005.png 이미지

표 5. 연구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

BOJGB2_2018_v14n6_219_t0006.png 이미지

표 6. 주제에 따른 교육활동 내용분석

BOJGB2_2018_v14n6_219_t0007.png 이미지

표 7. 연구주제에 따른 관련변인에 대한 효과분석

BOJGB2_2018_v14n6_219_t0008.png 이미지

표 8. 연구 대상별 연구동향 분석

BOJGB2_2018_v14n6_219_t0009.png 이미지

표 9.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 분석

BOJGB2_2018_v14n6_219_t0010.png 이미지

References

  1. 고미숙 (2004). 배려윤리와 배려교육. 한국교육학연구, 10(2), 37-62.
  2. 강은덕, 신지혜 (2016).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1985-2015. 한국보육지원학회, 12(1), 83-101. doi:10.14698/jkcce.2016.12.083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12. 9). 유아교육 선진화를 위한 종합적인 발전 방안 마련.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5407772에서 2018년 06월 30일 인출.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6.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7. 국립국어원 (2014).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국립국어원.
  8. 김규정 (2017). 협동적 동극활동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민정 (2011. 6).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선행과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1년 하계전국 학술대회 포스트발표 논문, 서울.
  10. 김정림 (2015). 유아 배려행동 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지영, 박찬옥 (2013). 일상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배려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6), 21-37. doi:10.18023/kjece.2013.33.6.002
  12. 김치곤, 채영란 (2013).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7(6), 305-333.
  13. 김효숙 (2017). 인성교육이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배려 활동'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경주 (2018). 통합예술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리나, 황해익 (2017). 유아인성 및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유아교육 연구, 37(4), 7-32. doi:10.18023/jkece.2017.37.4.001
  16. 박민혜 (2012). 어머니가 실시한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찬옥 (2010. 11). 유아교육에서 인성 개발 방안. 201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8. 박찬옥, 황지영 (2012). 그림책을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221-244.
  19. 박찬옥, 이예숙 (2015). 유아 배려 검사도구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9(4), 49-67.
  20. 박현진 (2013). 공존지향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변윤희, 최경, 연혜민 (2017).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 미디어연구, 16(1), 75-101. doi:10.21183/kjcm.2017.03.16.1.75
  22. 서현, 허혜윤, 박미자 (2015). 전래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2), 275-311.
  23. 서효주 (2018). 국내 학위논문에 제시된 영유아인성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양옥승 (2004).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유아교육연구, 24(4), 247-262.
  25. 오새니 (2016). 배려중심의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유연옥, 송서정 (2014).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경향. 사고개발, 10(3), 87-103.
  27. 윤성운, 성은영 (2012). 어린이집 교사들이 인식하는 만 5세 유아들의 행동특성과 배려교육에서의 어려움 탐색. 아동보육연구, 8(1), 37-56.
  28. 이기영, 조안나 (2018). 유아조망수용능력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0-2017년 국내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3(4), 299-321. doi:10.20437/KOAECE23-4-13
  29. 이민정, 박주연, 황은민 (2015). 창의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5(6), 421-436. doi:10.18023/kjece.2015.35.6.020
  30. 이은경 (2017).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몰입, 창의성 및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2(2), 471-498. doi:10.20437/KOAECE22-2-19
  31. 이은화 (2017).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핵심 인성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병래, 박용석 (2015). 선행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연구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 집, 19(6), 311-335.
  33. 이춘희, 정대련 (2008).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3), 225-242.
  34. 장경은 (2013). 포스트모던 관점을 통한 한국의 유아 인성교육 담론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7, 1-20.
  35. 장원주, 이화도 (2017).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6(2), 327-347. doi:10.17643/KJCE.2017.26.2.16
  36. 정희영, 방승미, 유희진 (2012). 유아 인성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2(5), 277-296.
  37. 조희정 (2014). 노자의 자연주의 관점에서 본 유아 배려교육.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67-89.
  38. 최미숙, 윤현숙, 김미진 (2007). 배려지향적 도덕성의 유아교사교육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동교육, 16(2), 71-83.
  39. 최민수, 임은영 (2013). 3-5세 누리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아 인성교육 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1-36.
  40. 최자윤 (2009). 유아 셀프리더십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혜순 (2014). 유아사회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195-223.
  42. 하영주 (2014). 배려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허정아, 김정미 (2013). 유아의 배려지향적 도덕성 양상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277-298.
  44. 황정숙 (2008).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Best, J. W., & Kahn, J. V. (1989). Research in education (6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6. Gilligan, C. (1997).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다른 목소리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허란주 옮김). 서울: 동녘(원판 1993).
  47. Lipman, M. (2003). Thinking in education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840272
  48. Noddings, N. (1992).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9. Noddings, N. (2009).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윤리와 도덕교육 에 대한 여성적 접근법 배려(한평수 옮김). 서울: 천지(원판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