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표 2. 보육실습 지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특성
표 3. 연구 참여자의 특성
표 4. 6주 보육실습 운영
표 5. 6주 보육실습의 기대 효과
References
- 곽금주 (2016). 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 권기염, 방유선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실습지도 역할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97-123. doi:10.18023/kjece.2012.32.2005
- 김남희 (2009).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생태유아 교육연구, 8(4), 85-114.
- 김신영 (2005). 교육실습 전.후 그리고 초임교사로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교육연구, 25(4), 211-234.
-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I.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김용숙, 박지영, 최영종 (2010).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기관유형에 따른 조력과정의 인식 차이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311-333.
- 김정신, 박성미 (2009).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9, 105-129.
- 김정신, 송경애 (2010).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중점 내용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0(1), 94-107.
- 류혜숙 (2016). 3년제 유아교육과 유치원현장실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원요구.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20(2), 183-212.
- 박부숙, 박윤조 (2017). 보육교사를 위한 6주 보육실습. 서울: 동문사.
- 박은혜 (2013). 유아교사론 4판. 서울: 창지사.
- 박은혜, 장민영 (2015). OECD 국가별 유치원 교사양성제도 분석: 공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327-354. doi:10.24211/tjkte.2015.32.4.327
- 박은혜, 조운주 (2007).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1(4), 225-246.
- 박희숙 (2018). 예비교사들의 확장된 6주간 보육실습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전공자 경험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7(2), 5-25. doi:10.17643/KJCE.2018.27.2.01
- 서영숙, 천혜정, 윤매자 (2006). 보육실습. 서울: 학지사.
- 심윤희 (2016). 보육실습기관에서 들려주는 보육실습 의미와 개선방안: 국공립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6(2), 17-38. doi:10.21213/Kjcec.2016.16.2.17.
- 양은경, 모아라 (2017).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실습지도교사의 지지에 대한 탐색. 코칭연구, 10(4), 149-163. doi.org:10.20325/KCA.2017.10.4.149
- 염지숙 (2003). 유아교육실습 :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사교육, 20(2), 223-248.
- 유병예, 양성은 (2013). 보육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관한 반성적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43-157.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143
- 윤혜경 (2003). 보육실습. 서울: 동문사.
- 이경선, 구태미, 윤재희 (2013). 유치원 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251-273.
- 이경선, 변윤희, 이정화 (2016. 4). 예비보육교사의 실습기관에서의 수업계획과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 638.
- 이은하, 고은경 (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이미지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 연구, 13(6), 145-177.
- 임경옥 (2016). 아동복지전공 예비교사들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에 대한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107-116. doi:10.5392/JKCA.2016.16.08.107.
- 임은정, 김성천 (2010). 교육 실습의 난점과 의미.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1), 259-287.
- 정계숙, 견주연, 윤갑정 (2016).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 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따뜻한' 유아 교육 공동체의 이미지. 유아교육학논집, 20(2), 5-28.
- 정남미 (2008). 유아교육실습지도 현황과 인식 분석- 실습생, 지도교사, 원감, 원장의 입장에서. 유아교육학논집, 12(6), 215-235.
- 조자경, 박기용, 강이철 (2009).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수업설계 행위와의 관련성 탐색. 교육공학연구, 25(3), 1-33.
- 조희진, 김정신, 노은호 (2003). 보육실습의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2), 243-276.
- 최석란, 서원경 (2017). 보육실습개정안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79-93. doi:10.14400/JDC.2017.15.12.79.
- 한국보육진흥원 (2013). 양성교육기관에서의 보육실습지도. 서울 : 한국보육진흥원
- Alsup, J. (2006). Teacher identity discourses: Negotia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spaces. New York: Routledge.
- Bennett, T. (2007). New ways of preparing high-quality teachers. Young Children, 62(4), 32-33.
- Bogdan, R. C., & Biklen, S. K. (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MA: Allyn & Bacon.
- Joyce, B. R. (1988). Training research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5), 32-36. doi:10.1177/002248718803900507.
- Katz, L. G. (1996).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teach preparation: Confronting assump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2) 135-146. doi:10.1016/S0885-2006(96)90002-2.
- NCATE-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2008).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Accreditation of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Washington D.C.: NCATE.
- Spodek, B. S. (1988). Implicit theor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ations for professional behavior. In B. Spodek, O. N. Saracho, & D. L. Peter (Eds.), Professionalism and early childhood practice (pp. 161-172).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 (1997). Are cognitive styles still in style? American Psychologist, 52(7), 700-712. doi:10.1037/0003-066X.52.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