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of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on the Revised Six-week Educare Practicum

6주 보육실습에 대한 보육실습기관의 인식

  • 김보영 (한림성심대학교 유아교육과) ;
  • 심윤희 (한양여자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1.16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x-week educare practicum revised in 2017 and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the change on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directors and teachers from national public child care centers within Seoul.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participants. Results: Firstly,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had generally received trainees through industry-academy partnership schools, and had planned to receive the same number of trainees as in the previous system. They had trained according to their planned program, and self-evaluation had also been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Additionally, they perceived that the quality control of the centers was carried out by the trainees. Secondly, they perceived that the new system would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sonality issu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stitute. Hence, it was believed that it would help to develop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of first-tim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recognized that the six-week educare practicum would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teachers, and the child care operation management.

Keywords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BOJGB2_2018_v14n6_19_t0001.png 이미지

표 2. 보육실습 지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특성

BOJGB2_2018_v14n6_19_t0002.png 이미지

표 3. 연구 참여자의 특성

BOJGB2_2018_v14n6_19_t0003.png 이미지

표 4. 6주 보육실습 운영

BOJGB2_2018_v14n6_19_t0004.png 이미지

표 5. 6주 보육실습의 기대 효과

BOJGB2_2018_v14n6_19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곽금주 (2016). 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2. 권기염, 방유선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실습지도 역할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97-123. doi:10.18023/kjece.2012.32.2005
  3. 김남희 (2009).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생태유아 교육연구, 8(4), 85-114.
  4. 김신영 (2005). 교육실습 전.후 그리고 초임교사로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교육연구, 25(4), 211-234.
  5.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I.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6. 김용숙, 박지영, 최영종 (2010).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기관유형에 따른 조력과정의 인식 차이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311-333.
  7. 김정신, 박성미 (2009).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9, 105-129.
  8. 김정신, 송경애 (2010).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중점 내용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0(1), 94-107.
  9. 류혜숙 (2016). 3년제 유아교육과 유치원현장실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원요구.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20(2), 183-212.
  10. 박부숙, 박윤조 (2017). 보육교사를 위한 6주 보육실습. 서울: 동문사.
  11. 박은혜 (2013). 유아교사론 4판. 서울: 창지사.
  12. 박은혜, 장민영 (2015). OECD 국가별 유치원 교사양성제도 분석: 공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327-354. doi:10.24211/tjkte.2015.32.4.327
  13. 박은혜, 조운주 (2007).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1(4), 225-246.
  14. 박희숙 (2018). 예비교사들의 확장된 6주간 보육실습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전공자 경험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7(2), 5-25. doi:10.17643/KJCE.2018.27.2.01
  15. 서영숙, 천혜정, 윤매자 (2006). 보육실습. 서울: 학지사.
  16. 심윤희 (2016). 보육실습기관에서 들려주는 보육실습 의미와 개선방안: 국공립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6(2), 17-38. doi:10.21213/Kjcec.2016.16.2.17.
  17. 양은경, 모아라 (2017).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실습지도교사의 지지에 대한 탐색. 코칭연구, 10(4), 149-163. doi.org:10.20325/KCA.2017.10.4.149
  18. 염지숙 (2003). 유아교육실습 :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사교육, 20(2), 223-248.
  19. 유병예, 양성은 (2013). 보육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관한 반성적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43-157.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143
  20. 윤혜경 (2003). 보육실습. 서울: 동문사.
  21. 이경선, 구태미, 윤재희 (2013). 유치원 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251-273.
  22. 이경선, 변윤희, 이정화 (2016. 4). 예비보육교사의 실습기관에서의 수업계획과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 638.
  23. 이은하, 고은경 (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이미지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 연구, 13(6), 145-177.
  24. 임경옥 (2016). 아동복지전공 예비교사들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에 대한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107-116. doi:10.5392/JKCA.2016.16.08.107.
  25. 임은정, 김성천 (2010). 교육 실습의 난점과 의미.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1), 259-287.
  26. 정계숙, 견주연, 윤갑정 (2016).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 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따뜻한' 유아 교육 공동체의 이미지. 유아교육학논집, 20(2), 5-28.
  27. 정남미 (2008). 유아교육실습지도 현황과 인식 분석- 실습생, 지도교사, 원감, 원장의 입장에서. 유아교육학논집, 12(6), 215-235.
  28. 조자경, 박기용, 강이철 (2009).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수업설계 행위와의 관련성 탐색. 교육공학연구, 25(3), 1-33.
  29. 조희진, 김정신, 노은호 (2003). 보육실습의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2), 243-276.
  30. 최석란, 서원경 (2017). 보육실습개정안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79-93. doi:10.14400/JDC.2017.15.12.79.
  31. 한국보육진흥원 (2013). 양성교육기관에서의 보육실습지도. 서울 : 한국보육진흥원
  32. Alsup, J. (2006). Teacher identity discourses: Negotia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spaces. New York: Routledge.
  33. Bennett, T. (2007). New ways of preparing high-quality teachers. Young Children, 62(4), 32-33.
  34. Bogdan, R. C., & Biklen, S. K. (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MA: Allyn & Bacon.
  35. Joyce, B. R. (1988). Training research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5), 32-36. doi:10.1177/002248718803900507.
  36. Katz, L. G. (1996).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teach preparation: Confronting assump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2) 135-146. doi:10.1016/S0885-2006(96)90002-2.
  37. NCATE-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2008).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Accreditation of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Washington D.C.: NCATE.
  38. Spodek, B. S. (1988). Implicit theor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ations for professional behavior. In B. Spodek, O. N. Saracho, & D. L. Peter (Eds.), Professionalism and early childhood practice (pp. 161-172).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9.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 (1997). Are cognitive styles still in style? American Psychologist, 52(7), 700-712. doi:10.1037/0003-066X.52.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