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hange Job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장애인의 직장차별 변화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 연구

  • 염동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장유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재경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예방홍보부 연구개발팀)
  • Received : 2018.11.28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degree of change of job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im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ach type.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3rd to 8th year of the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were used and 1,227 data were used. The longitudinal profile of the disabled person's discrimination was classified through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LPGA), and then influential factors were verified through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types of change of the job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were represented as the decrease group and the increase group.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discrimination were the degree of disability, chronic diseases, gross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factors of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job discrimination of the disabled are as follows: job discrimination, decrease and increase group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as the self - esteem and socioeconomic status are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cope with the discrimination of the workplace with the disabled.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장애인의 직장차별 변화정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3~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1,2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직장차별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구분하였고, 이후 집단별로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의 직장차별 변화유형은 감소집단과 증가집단으로 나타났고, 직장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정도, 만성질병 유무, 총소득, 생활만족도이었다. 둘째, 장애인의 직장차별 유형별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직장차별과 감소집단과 증가집단은 공통적으로 자아존중감과 사회경제적지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 직장차별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가 갖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52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8_v18n12_52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직장차별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집단

표 1. 특성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CCTHCV_2018_v18n12_526_t0001.png 이미지

표 2. 모형 적합도

CCTHCV_2018_v18n12_526_t0002.png 이미지

표 3. 직장차별 프로파일 집단유형의 특성

CCTHCV_2018_v18n12_526_t0003.png 이미지

표 4.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예측변인

CCTHCV_2018_v18n12_526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철호,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장애인의 인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158-17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8.158
  2. 김광자, "취업 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2호, pp.189-216, 2011.
  3. 염동문, "매개된 조절모형과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한 직장차별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직무만족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139-165, 2014.
  4. 박미희, "여성장애인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783-50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783
  5. 김성희, "장애인의 차별시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pp.6-15, 2015(8).
  6. 김동주, 고민석, "직장 내 차별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재활학회, 제22권, 제2호, pp.5-29, 2012.
  7. 서원선, 이수용, "고령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장애인복지연구, 제8 권, 제2호, pp.91-125, 2017.
  8. 강승원, "고령장애인의 취업과 차별경험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복지연구, 제9권, 제1호, pp.53-73, 2018.
  9. 김태용, "장애인의 근로능력과 고용차별경험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복지연구, 제6권, 제2호, pp.67-96, 2015.
  10. 김미경, "장애인이 인식하는 차별에 대한 시간적 변화: 장애유형별 일상생활차별과 일자리차별," 장애인복지연구, 제8권, 제2호, pp.45-66, 2017.
  11. B. Kirsh, M. Sterqiou-Kita, R. Gewurtz, D. Dawson, T. Krupa, R. Lysaght, and I. Shaw, "From margins to mainstream: What do we know about work integration for persons with brain injury, mental illness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ork, Vol.32, No.4, pp.391-405, 2009.
  12. 백은령, 전동일,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특성과 직업유지, 결정요인," 직업재활연구, 제17권, 제2호, pp.219-237, 2007.
  13. 이병화, 이송희,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 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호, pp.227-257, 2016.
  14. 박현숙, 양회택, "장애노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3권, 제80호, pp.153-174, 2013.
  15. 이성규,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분석: 성별 및 고용형태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87권, 제2호, pp.349-381, 2014.
  16. 김성희,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이운식,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8. 신은경, 곽지영, "장애인의 일상생활.취업준 비.일자리에서 지각된 차별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269-292, 2015.
  19. 조주현, 최윤영, "고용주의 장애인고용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20권, 제1호, pp.65-91, 2010.
  20. 주석진, 한상덕, "근로형태에 따른 장애인 근로 자의 근로조건 및 직무만족도 차이,"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3호, pp.47-74, 2010.
  21. 김연옥, 이혜전, 임경원,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 만족도의 차이," 직업재활연구, 제22권, 제3호, pp.49-65, 2012.
  22. L. K. Muthen and B. Muthen, Mplus user's guide (Version 5.21),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2007.
  23. D. K. Iwamoto, W. Corbin, and K. Fromme, "Trajectory classes of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Society for the Study of Addiction, Vol.105, No.11, pp.1912-1920, 2010. https://doi.org/10.1111/j.1360-0443.2010.03019.x
  24. K. Luyckx, S. J. Schwartz, I. Goossens, B. Soenens, and W. Beyers, "Developmental Typologies of Identity Formation and Adjustment in Female Emerging Adults: 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pproach,"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18, No.4, pp.595-619, 2008. https://doi.org/10.1111/j.1532-7795.2008.00573.x
  25. D. S. Nagin, Group-based modeling of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26. T. Jung and K. A. S. Wickrama,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Vol.2, No.1, pp.302-307, 2008. https://doi.org/10.1111/j.1751-9004.2007.00054.x
  27. 김종일, 장애인 근로자의 생활만족 영향 요인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6).
  28. 오세란,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4권, pp.255-275, 2008.
  29. 신순철, 김문조, "직업과 고용형태가 주관적 건 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학, 제22권, pp.205-224, 2007.
  30. 변경희,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 개념 및 결정요인,"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2호, pp.189-21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