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One Authorized District for Large Retailers' Home Meal Replacement PB Products

대형유통업체 가정간편식 PB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

  • 김동수 (가톨릭관동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8.10.05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ubjective perceptions of one retailer's PB products for large retailers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o examine subjective trends of consumers who purchased and experienced PB products at home.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HMR-type PB products developed and released by large retaile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ly changing social structure represent the meaning and subjective acceptance of PB products in a single licensee through Q methodologic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various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food product development and release for one license of large distribution company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earch problems, five types of typ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Specifically, the first type (N = 5): Brand image trust type, the second type (N = 5): NB product preference type, the third type(N = 2): Easy cooking preference type, and fourth type (N = 2): Pursuing taste for price type and fifth type (N = 2): Quantitative pursuit for price type.

본 연구는 대형유통업체 가정간편식 PB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로 가정간편식 PB상품을 구입하여 경험해 본 1인가구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조적으로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따라 대형유통업체가 개발 및 출시하는 HMR형태의 PB상품이 1인가구에 어떠한 의미와 주관적인 수용의 모습을 나타내는지 Q방법론적 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그 함의를 분석하며, 앞으로의 대형유통업체의 1인가구를 위한 외식상품개발 및 출시의 다양한 방향성과 그 개선책에 대해서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유형 분석결과 5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 1유형(N=5) : 브랜드 이미지 신뢰형(Brand image trust type), 제 2유형(N=5) : NB상품 선호형(NB product preference type), 제 3유형(N=2) : 간편조리 추구형(Easy cooking preference type), 제 4유형(N=2) : 가격대비 맛 추구형(Pursuing taste for price type), 제 5유형(N=2) : 가격대비 양적 추구형(Quantitative pursuit for price type)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30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각 진술문의 긍정 및 부정의견 점수 분포방식

표 1. Q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01.png 이미지

표 2. 분포별 점수 및 진술문 수

CCTHCV_2018_v18n12_309_t0002.png 이미지

표 3. P 표본의 특성과 인자가중치

CCTHCV_2018_v18n12_309_t0003.png 이미지

표 4. 유형별 아이겐 값(eigen value)과 변량

CCTHCV_2018_v18n12_309_t0004.png 이미지

표 5. 유형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8_v18n12_309_t0005.png 이미지

표 6. 제 1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06.png 이미지

표 7. 제 1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07.png 이미지

표 8. 제 2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08.png 이미지

표 9. 제 2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09.png 이미지

표 10. 제 3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10.png 이미지

표 11. 제 3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11.png 이미지

표 12. 제 4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12.png 이미지

표 13. 제 4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13.png 이미지

표 14. 제 5유형에서 표준점수 ±1.00이상을 보인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14.png 이미지

표 15. 제 5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는 진술문

CCTHCV_2018_v18n12_309_t0015.png 이미지

표 16. 일치하는 항목과 평균 표준점수(Consensus Items And Average Z-Scores)

CCTHCV_2018_v18n12_309_t0016.png 이미지

References

  1. 최성식, 이상윤, 김판진, "할인점의 의류PB 상품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제2권, 제2호, pp.377-401, 2011.
  2. 왕일웅, 강창동, "대형마트 PB상품 품질지각이 고객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2권, 제5호, pp.2099-2107,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099
  3. 김태희, 대형마트, PB상품으로 성장동력 삼는다, 서울파이낸스, 2017.
  4. 박인웅, 대형마트.편의점 PB상품 잘 나가네, 글로벌이코노믹, 2015.
  5.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트렌드코리아 2016, 미래의 창, p.269, 2015.
  6. 최성식, "HMR무엇이고 어떻게 성공할것인가," 지식공간, 제15권, 제2호, pp.65-79, 2012.
  7. 정리나, 한국 가정식사 대용식(Home Meal Replacement) 이용자 편의 성향구조 경로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 서울대 투자연구회, Equity Inverstment Research, p.3, 2015.
  9. 박인웅, 대형마트.편의점 'PB상품' 잘 나가네, 글로벌이코노믹, 2015.
  10. 정라나, 이해영, 양일선, "가정식사대용식(HMR) 선택속성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2권, 제3호, pp.315-328, 2007.
  11. 장윤정, "가정식사 대용식(Home meal replacement) 관련 고령소비자의 소비행태 및 선택속성 분석," 외식경영연구, 제12권, 제5호, pp.97-119, 2009.
  12. 이성희, 대형할인점 PB상품 선택요인이 지각적 품질과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3. 송여현, PB와 NB상품의 차별성에 따른 구매의도 반응연구: 대형마트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4. 조용현,김호석,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397-403, 2017.
  15. 김찬우, 김동수, "NCS기반 음식.조리분야 교육 과정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 호텔조리학과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192-20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192
  16. 정연선,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544-55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544
  17. J. Dryzek, Discursive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8.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46, 1980.
  19. S. Brown, D. During, and S. Selden, "Q Methodology, In G. Miller and M. Whick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Marcel Dekker, 1999.
  20. 이제영, "건강 공익광고 수용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홍보학과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85-9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085
  21. 이제영,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대한 음식 선호도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07-510, 2014.
  22. P. M. Patterson, T. J. Burkink, R. S. Lipsey, J. Lipsey, and R. W. Roth, "Targeting tourists with state branding programs Agribusiness," Vol.19, No.4, pp.525-538, 2003. https://doi.org/10.1002/agr.10073
  23.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 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p.18, 1968.
  24.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인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9.
  25.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해," 간호학 논문집, 제6권, 제1호, pp.1-11, 1992.
  26. 김흥규, Q-블럭과 Q-도구의 일치도 연구, 주관성연구, Vol.16, pp.5-1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