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 당나라 시대(618년--907년) 조명 기구의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Lighting in Tang Dynasty of China

  • 섭염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 고정욱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투고 : 2018.10.10
  • 심사 : 2018.11.19
  • 발행 : 2018.12.28

초록

세계화 경향 속에서 각 나라와 각 지방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중국의 전통적인 조명 기구는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생산방식에 의한 창작물이기에 그 사람들의 문화적 심미성과 실용성을 유출해 볼 수 있는 주요한 유물이다. 본 연구는 중국 역사에서 가장 부흥한 당나라의 조명 기구를 통하여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민족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당나라 시대의 사회 배경, 종교 사상, 문화적 특징, 조명 기구의 특징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당나라 시대의 조명 기구 발전 경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의 다중요인 비교분석 방법을 통하여 당나라 시대 조명 기구가 지니는 7가지(기능, 조형, 연료, 사용 공간, 사용방법, 종교사상, 생활환경) 요인별 특징을 발견하였다. 또한 당나라 시대 조명 기구는 "조명 대중화, 조형의 보편적 단순화, 용도 다양화, 불교 영향력 확산"의 4가지 경향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문화적 고유성의 맥락과 계승적인 관점에서 현대 조명디자인에 새로운 모티브를 제공하는 의미를 지닌다.

It is important to inherit and develop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region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e traditional lighting fixtures in China are the main artifacts that can be used to extract the cultural aesthetics and practicality of the people, and are a major relic of the people's cultural sensitivities and practic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the meaning of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lighting equipment of the most revived Tang Dynasty in Chinese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trend of lighting equipment in the Tang Dynasty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background, religious though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lighting fixtures in the Tang Dynasty. In this paper, we analyzed seven factors (function, molding, fuel, usage space, usage method, religious thought,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Tang dynasty lighting fixtures through multiple factor analysis method. In addition, the Tang Dynasty period lighting fixtures had four trends: "popularization of lighting, universal simplification of molding, diversification of use, and spread of Buddhist influence." This tendency has a meaning to provide a new motive for modern lighting design in the context of cultural uniqueness and perspectives.

키워드

CCTHCV_2018_v18n12_92_f0001.png 이미지

그림 2. 당나라 시대의 회화 속의 조명

CCTHCV_2018_v18n12_92_f0002.png 이미지

그림 3. 춘추전국 시대부터 수나라 시대의 조명 기구의 조형

CCTHCV_2018_v18n12_92_f0003.png 이미지

그림 4. 당나라 시대의 조명 기구의 조형(표본 중 부분적 다색을 지녔으나 사진 상 다색 구분이 어려운 표본은 배제하였음)

CCTHCV_2018_v18n12_92_f0004.png 이미지

그림 5. 춘추전국 시대부터 수나라 시대와 당나라 조명의 조형에 대한 본포도 비교

CCTHCV_2018_v18n12_92_f0005.png 이미지

그림 6. 한나라와 당나라의 조명 기구

CCTHCV_2018_v18n12_92_f0006.png 이미지

그림 7. 한나라의 조명 기구의 상징 요소

CCTHCV_2018_v18n12_92_f0007.png 이미지

그림 8. 당나라의 조명 기구의 상징 요소

CCTHCV_2018_v18n12_92_f0008.png 이미지

그림 1. 중국 전통 조명 기구의 발전도

표 1. 시대별 조명 기구의 발전 특징

CCTHCV_2018_v18n12_92_t0001.png 이미지

표 2. 당나라 조명 기구의 특징

CCTHCV_2018_v18n12_92_t0002.png 이미지

표 3. 한나라와 당나라의 조명 기구의 용도

CCTHCV_2018_v18n12_92_t0003.png 이미지

참고문헌

  1. 조봉, "광둥 지방 역사의 문화 당대 의미로 제련의 중요성과 절입 각도에 대한 탐구," 광둥성 사회주의학원학보, Vol.16, No.1, pp.75-79, 2015.
  2. 축연금, 중국 고대 조명 조형 예술 연구, 중국 소주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 2007.
  3. 이운, 전통적인 등기구는 당대 실내 디자인에서 응용과 연구 -하북성 가오청(河北藁城) 궁등-, 창춘 공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 2018.
  4. 류슈밍, 우젠타이, "당나라의 문화 고조의 원인," 학술 월간, Vol.26, No.4, pp.51-57, 1982.
  5. 덩원루, "당나라 문화융성은 민생정책에 대한 영향 분석," 문물의 감정(鑒定)과 감상(鑒賞), Vol.9, No.1, pp.142-143, 2018.
  6. 풍선명, 중국 도자기, 상해 고서적 출판사, p.8, 2013.
  7. 왕원강, 화합과 전쟁: 유가 문화와 중국의 권력 정치,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사, p.24, 2013.
  8. 갈검웅, 중국 인구 발전사, 푸젠 인민 출판사, p.159, 1991.
  9. 푸러우, 중국 통사: 수조 5대의 역사, 중국 규슈 출판사, pp.116-119, 2009.
  10. 위승사, "당나라 문화 정책과 문화 번영의 관계," 학술 월간, Vol.33, No.4, pp.75-81, 1989.
  11. http://www.docin.com/p-2095659423.html, 2018.5.12.
  12. 김문학, 동아시아 삼국지, 구이저우 인민 출판사, p.103, 2011.
  13. 황잉, 당나라 문화에 기초한 현대적인 가구 디자인 연구, 서안 엔지니어링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pp.17-18, 2017.
  14. 왕창, 중국 고대 조명 디자인 연구, 중국 장쑤 대학교 출판사, pp.31-85, 2009.
  15. 소용선, 무어림, 탄메링, 중국 고대 조명 발전사, 강소 봉황 과학 기술 출판사, pp.79-9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