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Visual Effects of ASMR : Focused on Animation 「Sonagi」

ASMR의 시각적 효과 분석 : 애니메이션 「소나기」를 중심으로

  • 김재웅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디지털 콘텐츠) ;
  • 구보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디지털 콘텐츠)
  • Received : 2018.10.12
  • Accepted : 2018.11.26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effects of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found in animations. So far, ASMR contents have been produced in one-person media or advertising contents with particular purposes. Unlike that, in animations, they have been produced in intuitive forms mainly for delivering messages. From the 2000's, however, gradually, animations intended for both appreciation and comfort and healing appeared,and such effects are similar to those of ASMR conten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visual effects of ASMR focusing on the Korean animated "Sonagi"(2017).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자율 감각 쾌락 반응, 즉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의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ASMR 콘텐츠는 1인 미디어와 광고 콘텐츠 등에서 특정 목적성을 두고 제작되었다. 이와 달리 애니메이션은 주로 메시지 전달 중점의 직관적 형태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점차 애니메이션 감상과 동시에 마음의 안정과 치유의 애니메이션 장르가 등장하였고,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ASMR 콘텐츠와 유사하다. 이에 한국 애니메이션 "소나기"(2017)를 중심으로 ASMR의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4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ASMR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 바렛(Emma Barratt) 외(2015) p.9 재인용[4]

표 1. 「ASMR 영상의 형태 7가지」, 2012[3]

CCTHCV_2018_v18n12_46_t0001.png 이미지

표 2. 「시각 왜곡 유형」, 장세연 외(2016) p.274 재인용[2]

CCTHCV_2018_v18n12_46_t0002.png 이미지

표 3. 「ASMR을 일으키는 요소의 중요 정도」, 바렛(Emma Barratt) 외(2017) p.9 재인용[1]

CCTHCV_2018_v18n12_46_t0003.png 이미지

표 4. 「ASMR 트리거 9가지 유형」, 바렛(Emma Barratt) 외(2015) p.6 재인용[4]

CCTHCV_2018_v18n12_46_t0004.png 이미지

표 5. 「ASMR 방송 마찰 유형」, 장세연 외(2016) p.278 재인용[2]

CCTHCV_2018_v18n12_46_t0005.png 이미지

표 6. 「인위적인 ASMR 트리거 프로젝트」, 마르쿠스 니스트랜드, 2018[8]

CCTHCV_2018_v18n12_46_t0006.png 이미지

표 7. 감정에 따른 움직임과 재질 분류표

CCTHCV_2018_v18n12_46_t0007.png 이미지

표 8. <감정>과<재질>의 크로스분석 그래프

CCTHCV_2018_v18n12_46_t0008.png 이미지

표 9. <감정>과<움직임>의 크로스분석 그래프

CCTHCV_2018_v18n12_46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Emma L. Barratt, Charles Spence, and Nick J. Davis , "Sensory determinants of the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understanding the triggers," London: PeerJ, pp.1-11, 2017. DOI 10.7717/peerj.3846
  2. Emma L. Barratt and Nick J. Davis,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a flow like mental state," London: PeerJ, pp.1-15, 2015. DOI 10.7717/peerj.851
  3. https://theness.com/neurologicablog/index.php/asmr/#more-4256
  4. 장세연, 박진서, 류철균, "ASMR 방송의 실존적 공간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4호, pp.269- 287, 2016.
  5. Stephen D. Smith, Beverley Katherine Fredborg, and Jennifer Kornelsen, "An examination of the default mode network in individuals with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Social Neuroscience, UK: Taylor & Francis, Vol.12, No.4, pp.361-365, 2016
  6. 신민아, 윤재영, "ASMR을 활용한 온라인 광고 사례 분석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호, pp.55-57, 2017.
  7. 김용철, 공감각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촉감, 음감, 색감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6-27, 2005.
  8. Giulia Lara Poerio, Emma Blakey, Thomas J. Hostler, and Theresa Veltri, "More than a feeling: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ASMR) is characterized by reliable changes in affect and physiology," Cambridge: PLOS, Vol.13, No.6, p.e0196645, 2018.
  9. https://synthetictriggers.github.io/results.html
  10. https://asmruniversity.com/origin-theory-ofasmr/# comments.
  11. 루돌프 아른하임, 김정오 옮김,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2. http://scienceon.hani.co.kr/363507
  13. 이연숙, "힐링 콘텐츠의 정의 및 개념," 한국디자인포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Vol.17, No.2007, pp.301-31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