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항공 안전 증진을 위한 장 복잡성과 위험물품의 종류가 수화물 검사 수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Field Complexity and Type of Target Obj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Baggage Screening Task for Improving Aviation Safety

  • 투고 : 2018.10.12
  • 심사 : 2018.10.31
  • 발행 : 2018.11.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화물 검사 과제에서 장 복잡성과 위험물품 종류가 탐지율과 반응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참가자는 C 대학 학부생 62명이었고(남 45.2%, 여 54.8%), 평균 나이는 22.88세였다. 가상 수화물 심사(신호 탐지) 과제를 개발하여 사용하였고 참가자들은 실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과제 연습에 참가한 후 본 실험에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은 총 200개의 수화물 검사 과제를 실시하였고 40개(20%)가 위험 물품을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 중 장 복잡성은 상(20개), 중(14개), 하(8개) 세 수준으로 위험 물품의 종류는 총, 칼, 액체, 그리고 라이터 4가지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인은 위험 물품이 있는 이미지 중 표적 신호를 탐지한 비율(%)이었다. 연구 결과 장이 복잡할수록 탐지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반응시간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위험 물품의 종류에 따라 탐지율과 반응시간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칼의 탐지율이 가장 높았고 반응시간은 가장 짧았으며 액체의 탐지율이 가장 낮고, 반응시간은 길었다. 장 복잡성과 위험 물품의 상호작용 효과 역시 탐지율과 반응시간에 영향을 미쳤다. 칼은 장 복잡성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라이터와 같이 작은 물품이 장 복잡성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ield complexity and type of target objects on the performance in baggage screening task. A total of 62 participants(male: 45.2%, female: 54.8%) participated and their mean age was 22.88. The simulated baggage screening task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after the orientation and task exercises, main experiment session was conducted. Participants performed a total of 200 tasks and 40(20%) contained target object. The complexity was set at three levels: high, middle, and low levels and the number of background items contained 20, 14. and 8 respectively. The type of target was set as gun, knife, liquid, and righter.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hit ratio and reaction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t ratio decreased and reaction time increased significantly as field complexity increased, and they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The hit ratio of the knife was the highest and liquid lowest and reaction time of the knife was the fastest and liquid slowes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was also significant. Knife was not affected by complexity, however, small item such as lighter was most affected by complexity.

키워드

CCTHCV_2018_v18n11_48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가상 수화물 과제 이미지(좌: 총, 우: 칼)

CCTHCV_2018_v18n11_48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실험 조건에 따른 평균 탐지율

CCTHCV_2018_v18n11_48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실험 조건에 따른 평균 반응시간

표 1. 장 복잡성과 위험 물품 종류에 따른 탐지율과 반응시간의 평균과 표준편차

CCTHCV_2018_v18n11_484_t0001.png 이미지

표 2.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CCTHCV_2018_v18n11_484_t0002.png 이미지

표 3. 장 복잡성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1_484_t0003.png 이미지

표 4. 위험 물품 종류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1_484_t0004.png 이미지

표 5.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CCTHCV_2018_v18n11_484_t0005.png 이미지

표 6. 장 복잡성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1_484_t0006.png 이미지

표 7. 위험 물품 종류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1_484_t0007.png 이미지

참고문헌

  1. 이대성, 김종오, "공항만 보안검색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27-62, 2009.
  2. 연합뉴스, "인천공항 기내반입금지 물품 적발 5년간 1천200만건 육박," 2018. 10. 07.
  3. 조세금융신문, "최근 5년간 비행기 내 총 소유 34건 적발 보안검색 허술," 2017. 10. 25.
  4. C. G. Drury and M. A. Sinclair, “Human and machine performance in an inspection task,” Human Factors, Vol. 25, No. 4, pp. 391-400, 1983. https://doi.org/10.1177/001872088302500404
  5. T. Frank, "Most fake bombs missed by screener," USA Today, Oct. 17, 2007,
  6. 국토해양부, 항공종사자 인적 요인의 안전영향 및 안전관리방안 연구, 2011.
  7. J. S. Warm, W. N. Dember, and P. A. Hancock, Vigilance and workload in automated systems In R. Parasuraman & M. Mouloua (Eds.), "Automation and human performance : theory and applications," pp. 183-200, Mahwah, NJ : Erlbaum, 1996.
  8. 강맹진, 강재원, "항공테러방지를 위한 지상 보안활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p. 195-204,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2.195
  9. 윤용식, 이수란, 손영우, "항공교통관제사의 피로, 스트레스 요인," 한국항공운항학회지, 제20권, 제1호, pp. 75-83, 2012. https://doi.org/10.12985/KSAA.2012.20.1.075
  10. 박용섭, "조종사의 피로와 안전운항에 대한 고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제13권, 제2호, pp. 63-71, 2005.
  11. 최동희, "항공사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9권, 제5호, pp. 23-39, 2014.
  12. 최은주, 김정아, "항공기 조종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행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 871-878, 2011. https://doi.org/10.12673/JANT.2011.15.5.871
  13. J. M. Wolfe, Visual search, In H. Pashler (Ed.), "Attention" (pp. 1-41), London : University College London Press. 1998.
  14. J. M Wolfe, T. S. Horowitz, and N. M. Kenner, "Rare items often missed in visual searches," Nature, Vol. 435, p.439, 2005. https://doi.org/10.1038/435439a
  15. A. Schwaninger and F. Hofer, "Evaluation of CBT for increasing threat detection performance in X-ray screening," pp. 147-156, In K. Morgan, and M. J. Spector (Eds), "The Internet Society : Advances in Learning, Commerce and Security," WIT Press, 2004.
  16. M Basner, J. Rubinstein, K. M. Fomberstein, M. C. Coble, A. Ecker, D. Avinash, and D. F. Dinges, “Effects of night work, sleep loss and time on task on simulated threat detection performance,” Sleep, Vol. 31, No. 9, pp. 1251-1259, 2008.
  17. J. L. Dennis and Z. W. Pylyshyn, “Effect of object discriminability on multiple object tracking,” Journal of Vision, Vol. 2, No. 7, pp. 241-241, 2002. https://doi.org/10.1167/2.7.241
  18. A. Treisman, "Features and Objects : The Fourteenth Bartlett Memorial Lectur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 40, pp. 201-237, 1988. https://doi.org/10.1080/02724988843000104
  19. S. Matsuda, H. Matsumoto, T. Furubayashi, H. Fukuda, M. Emoto, R. Hanajima, et al. "Topdown but not bottom-up visual scanning is affected in hereditary pure cerebellar ataxia," PloS one, Vol. 9, No. 12, p.e116181, 2014.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6181
  20. E. Fox, L. Griggs, and E. Mouchlianitis, “The detection of fear-relevant stimuli : Are guns noticed as quickly as snakes?,” Emotion, Vol. 7, No. 4, pp. 691-696, 2007. https://doi.org/10.1037/1528-3542.7.4.691
  21. I. Blanchette, “Snakes, spiders, guns, and syringes : How specific are evolutionary constraints on the detection of threatening stimuli?,”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 59, No. 8, pp. 1484-1504, 2006. https://doi.org/10.1080/02724980543000204
  22. 박형범, 손한결, 현주석, "표적 출현확률에 따른 시각탐색 정보처리 특성," 인지과학, 제26권, 제3호, pp. 357-375, 2015.
  23. 이준범, 이재식, "신호탐지론을 이용한 도로횡단 행동의 연령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제20권, 제3호, pp. 253-26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