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연구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표 2. 초등학생의 생활습관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Pearson 상관계수(n=715)
표 3. 중학생의 생활습관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Pearson 상관계수(n=580)
표 4. 초등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에 대한 생활습관의 상대적 영향력 (n=715)
표 5. 중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에 대한 생활습관의 상대적 영향력 (n=580)
References
- S. P. Hinshaw, Treat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P. C. Kendall (Ed.),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 Cognitive-behavioral procedures, Third Edition, New York : Guilford Press, 2006.
- 이동훈, 김명선, 송연주, 권보민,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3호, pp. 643-672, 2013.
- D. P. Cantwell, “Attention deficit disorder :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Vol. 35, No. 8, pp. 978-987, 1996. https://doi.org/10.1097/00004583-199608000-00008
-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2013년 건강보험 진료환자수 58,121 명 중 66%가 10대, 2015.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2261 2018. 7. 25.
- 교육부, 교실마다 ADHD... 학교 부적응 실태와 원인, 2015. http://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Img.do?bbsId=BBSMSTR_000000000192&nttId=3758, 2018. 6. 28.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 Washington, DC : Author, 2013.
-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2016. https://www.iapc.or.kr/info/mediaAddc/showInfoMediaAddc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105799, 2018. 6. 20.
- 이린아, 최종옥, "주의력문제로 내원한 아동‧청소 년의 지능검사 및 정밀주의력 검사 프로파일 특성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4호, pp. 73-96, 2013.
- 문장원,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장애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97권, pp. 91-107, 1997.
- 박수빈, "ADHD 의 원인론과 병태 생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17권, 제11호, pp. 15-18, 2017.
- G. J. DuPaul and G. P. Whi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ADHD,” Principal, Vol. 85, No. 2, pp. 26-29, 2005.
- 김희연, 이명훈, 배재남, 김철응, 유희정, 이정섭,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를 이용한 한국청소년의 분노 평가 및 우울과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26권, 제4호, pp. 288-294, 2015. https://doi.org/10.5765/jkacap.2015.26.4.288
- 김성수,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우울/불안, 위축행동,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조절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21권, 제2호, pp. 343-364, 2013.
- M. L. Ybarra and K. J. Mitchell, “Youth engaging in online harassment : Associations with caregiver-child relationships, Internet us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Adolescence, Vol. 27, No. 3, pp. 319-336, 2004.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4.03.007
- 고영미, 임민경, "인터넷 사용목적에 따른 인터넷 과다 사용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의 차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5호, pp. 1-15, 2015.
- M. E. Eisenberg, R. E. Olson, D. Neumark-Sztainer, M. Story, and L. H. Bearinger,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Vol. 158, No. 8, pp. 792-796, 2004. https://doi.org/10.1001/archpedi.158.8.792
- J. A. Fulkerson, M. Story, A. Mellin, N. Leffert, D. Neumark-Sztainer, and S. A. French, “Family dinner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 development :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assets and high-risk behavio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 39, No. 3, pp. 337-345, 2006.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5.12.026
- 배희분, 옥선화, 양경선, Grace Chung, "가족식사 빈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4호, pp. 125-149, 2013.
- 함경애, 송연주, 이동훈, "초등학생의 저녁식사 빈도에 따른 우울, 학업성취도 및 인터넷 중독의 차이," 재활심리연구, 제21권, 제3호, pp. 469-487, 2014.
- S. Goldfarb, W. L. Tarver, and B. Sen, "Family structure and risk behaviors : the role of the family meal in assessing likelihood of adolescent risk behaviors,"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Vol. 7, pp. 53-66, 2014.
- M. R. Skeer and E. L. Ballard, “Are family meals as good for youth as we think they 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amily meals as they pertain to adolescent risk preven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 42, No. 7, pp. 943-963, 2013. https://doi.org/10.1007/s10964-013-9963-z
- K. W. Cullen and T. Baranowski, "Influence of family dinner on food intake of 4th to 6th grad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 100, No. 9, A-38, 2000.
- S. M. Fruh, J. A. Fulkerson, M. S. Mulekar, L. A. J. Kendrick, and C. Clanton, “The surprising benefits of the family meal,”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Vol. 7, No. 1, pp. 18-22, 2011. https://doi.org/10.1016/j.nurpra.2010.04.017
- 최진영, 이상선,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의 관계," 한국영양학회지, 제42권 제8호, pp. 682-690, 2009.
- 임경숙, "아침 결식이 경기지역 남녀 중학생의 영양섭취상태, 피로자각도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9권, 제5호, pp. 464-475, 2014. https://doi.org/10.7318/KJFC/2014.29.5.464
- G. C. Rampersaud, M. A. Pereira, B. L. Girard, J. Adams, and J. D. Metzl,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 105, No. 5, pp. 743-760, 2005. https://doi.org/10.1016/j.jada.2005.02.007
- K. Adolphus, C. L. Lawton, and L. Dye, "The effects of breakfast on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Vol. 7, p.425, 2013.
- 조정인, 김혜경, "울산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 실태," 한국영양학회지, 제41권, 제8호, pp. 797-808, 2008.
- 김남희, 김미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을 지닌 유아의 식행동과 식사균형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102-113, 2010.
- H. F. Tsai, S. H. Cheng, T. L Yeh, C. C. Shih, K. C. Chen, Y. C. Yang, and Y. K. Yang, “The risk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a survey of university freshmen,” Psychiatry Research, Vol. 167, No. 3, pp. 294-299, 2009. https://doi.org/10.1016/j.psychres.2008.01.015
- 김영숙,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과 건강위험 행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1-14, 2013.
- 한선희, 오복창, 장인순, "일부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 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비교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66-74, 2003.
- 류은순, 이경아, 윤지영,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의 패스트푸드 이용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5권, 제4호, pp. 448-455, 2006. https://doi.org/10.3746/jkfn.2006.35.4.448
- E. Pollitt,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 Relevance of research in developing countries to the United States,” Child Development, Vol. 65, No. 1, pp. 283-295, 1994.
- 허은실, 이경혜, 배은영, 류은순, "패스트푸드 섭취가 청소년의 식행동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2권, 제6호, pp. 714-723, 2007.
- 정혜경, 박성숙, "국민학교 아동의 설탕섭취량이 주의결핍 과잉활동장애에 미친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제28권, 제7호, pp. 644-652, 1995.
- 주나미, 김성희, 박희나, 이소영, 김민정, 정경숙, "아동의 간식섭취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193-201, 2006.
- 신선미, "인터넷이나 게임을 하루에 2 시간 이상하는 학생의 규모와 정크푸드 섭취, 위생, 안전행위와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제21권, 제1호, pp. 13-21, 2013.
- M. P. Walker and R. Stickgold, “Sleep-dependent learning and memory consolidation,” Neuron, Vol. 44, No. 1, pp. 121-133, 2004. https://doi.org/10.1016/j.neuron.2004.08.031
- J. R. Tininenko, P. A. Fisher, J. Bruce, and K. C. Pears, “Sleep disruption in young foster children,”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Vol. 41, No. 4, pp. 409-424, 2010. https://doi.org/10.1007/s10578-010-0177-2
- E. Touchette, S. M. Cote, D. Petit, X. Liu, M. Boivin, B. Falissard, R. E. Tremblay, and J. Y. Montplaisir, "Short nighttime sleep-duration and hyperactivity trajectories in early childhood," Pediatrics. Vol. 124, No. 5, pp. 985-993, 2009. https://doi.org/10.1542/peds.2008-2005
- R. Gruber, “Sleep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Vol. 18, No. 4, pp. 863-876, 2009. https://doi.org/10.1016/j.chc.2009.04.011
- J. Owens, R. B. Sangal, V. K. Sutton, R. Bakken, A. J. Allen, and D. Kelsey,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sleep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leep medicine, Vol. 10, No. 4, pp. 446-456, 2009. https://doi.org/10.1016/j.sleep.2008.03.013
- A. Sadeh, R. Gruber, and A. Raviv, “Sleep, neurobehavioral functio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Vol. 73, No. 2, pp. 405-417, 2002.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4
- 이재현,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2호, pp. 224-254, 2005.
- 김진숙, 최수미, 강진구, "청소년의 pc 중독," 청소년 상담연구보고서, pp. 59-88, 2000.
- 최진오, "일반 초등학생과 ADHD 성향 초등학생 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특수 아동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 121-140, 2013.
- B. Krahe and I. Moller, “Playing violent electronic games, hostile attributional style, and aggression-related norms in Germ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Vol. 27, No. 1, pp. 53-69, 2004.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3.10.006
- 황현주, "교사가 평정한 ADHD 유아와 일반유아의 컴퓨터와 비디오, TV 시청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8권, pp. 107-123, 2011.
- K. Whitelaw, Too much TV might lead to ADHD : testing Einstein's theory, U. S. News and World Report INC, 2004.
-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정유경, "과도한 영상물 노출 양육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제18권, 제2호, pp. 75-103, 2005.
- 권혁남, 나은영, 마동훈, 박천일, 심재철, "뉴미디어와 일상생활," 한국방송학보, 제10권, pp. 53-113, 1998.
- 송민정, "유료 TV 산업의 경쟁전략," 방송통신연구, pp. 271-298, 2000.
- 김광수, "농어촌지역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연구," 사회연구, 제2권, pp. 143-174, 2009.
- 노석준, 이동훈, 김인숙, 송연주, "초등학생의 과외학습과 우울, 불안, ADHD 성향간의 관계," 인문학논총, 제29권, pp. 309-343, 2012.
- 임자성, 채규만,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한 심리적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제10권, 제3호, pp. 295-311, 2005.
- C. M. Hartung, E. K. Lefler, A. B. Tempel, M. L. Armendariz, B. A. Sigel, and C. S. Little, “Halo effects in ratings of ADHD and ODD : Identification of susceptible symptom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 32, No. 1, pp. 128-137, 2010. https://doi.org/10.1007/s10862-009-9135-3
- R. Loeber, S. M. Green, B. B. Lahey, and M. Stouthamer-Loebe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children, mothers, and teachers as informants on disruptive child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 19, No. 1, pp. 75-95, 1991. https://doi.org/10.1007/BF00910566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 Author, 1994.
- 위지희, 채규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향과 심리.사회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23권, 제2호, pp. 397-416, 2004.
- J. M. Swanson, School-based assessment and inventories for ADD student, Florida : KC Publishing Inc, 1990.
- J. M. Swanson, M. A. Lerner, J. March, and F. M. Gresham,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the schools : lessons from the MTA study,”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46, No. 5, pp. 993-1009, 1999. https://doi.org/10.1016/S0031-3955(05)70168-1
- 서완석, 장혜경, 김진성, 이종범, "한국형 단축형 부모용 Swanson, Nolan and Pelham 제4판 (SNAP-IV)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7권, 제1호, pp. 64-72, 2008.
-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2.
-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p.63, New York : Guilford press,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