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s and Inattention, Hyperactivity/Impulsivity, Internet Overus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초·중학생의 생활양식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양모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 강은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Received : 2018.08.29
  • Accepted : 2018.10.23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styl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problems such as Inattention, hyperactivity/impulsivity, and internet overus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ata from 88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676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ed and teacher reporting on students'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symptoms was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Lifestyle included opportunities for family interaction, sleep, watching TV, playing Video games, eating breakfast, eating junk food, and private education. As a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Video games, junk foods, and family interaction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natten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Video games, TV, junk foods, and family interactions significantly predi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but the lifestyle variables hardly accounted for the hyperactivity/impuls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Video game, and family interactions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net overuse for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urrent study suggest that family interaction opportunities and the use of video games, TV and junk food should be considered to intervene in behavior problems.

연구는 초 중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등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주는 생활양식 요인들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 889명과 중학생 676명의 자기-보고 자료와 학생의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및 충동성 증상에 대한 담임교사의 보고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생활양식은 가족과의 상호작용 기회, 수면시간, TV 시청시간, 게임시간, 아침식사 횟수, 가공식품 섭취 횟수, 과외 횟수 및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에서 게임시간, 가공식품 섭취 횟수가 많을수록, 가족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적을수록 주의력 결핍 증상이 높았다. 초등학생의 경우 게임시간 TV 시간, 가공식품 섭취횟수가 많을수록, 보호자와 함께 하는 시간이 적을수록 과잉행동 및 충동성이 높았지만, 중학생의 경우 생활양식 변인들은 과잉행동 및 충동성에 대한 설명량이 낮았다.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에서 게임 시간이 많을수록, 보호자와 함께 하는 시간이 적을수록 인터넷 과다사용 증상이 높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대한 게임 및 TV 사용, 가공식품 섭취의 영향력을 고려하고, 가족과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방향의 중재를 제안한다.

Keywords

표 1. 연구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CCTHCV_2018_v18n11_171_t0001.png 이미지

표 2. 초등학생의 생활습관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Pearson 상관계수(n=715)

CCTHCV_2018_v18n11_171_t0002.png 이미지

표 3. 중학생의 생활습관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Pearson 상관계수(n=580)

CCTHCV_2018_v18n11_171_t0003.png 이미지

표 4. 초등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에 대한 생활습관의 상대적 영향력 (n=715)

CCTHCV_2018_v18n11_171_t0004.png 이미지

표 5. 중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에 대한 생활습관의 상대적 영향력 (n=580)

CCTHCV_2018_v18n11_171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S. P. Hinshaw, Treat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P. C. Kendall (Ed.),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 Cognitive-behavioral procedures, Third Edition, New York : Guilford Press, 2006.
  2. 이동훈, 김명선, 송연주, 권보민,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3호, pp. 643-672, 2013.
  3. D. P. Cantwell, “Attention deficit disorder :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Vol. 35, No. 8, pp. 978-987, 1996. https://doi.org/10.1097/00004583-199608000-00008
  4.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2013년 건강보험 진료환자수 58,121 명 중 66%가 10대, 2015.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2261 2018. 7. 25.
  5. 교육부, 교실마다 ADHD... 학교 부적응 실태와 원인, 2015. http://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Img.do?bbsId=BBSMSTR_000000000192&nttId=3758, 2018. 6. 28.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 Washington, DC : Author, 2013.
  7.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2016. https://www.iapc.or.kr/info/mediaAddc/showInfoMediaAddcDetail.do?article_id=ICCART_0000000105799, 2018. 6. 20.
  8. 이린아, 최종옥, "주의력문제로 내원한 아동‧청소 년의 지능검사 및 정밀주의력 검사 프로파일 특성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4호, pp. 73-96, 2013.
  9. 문장원,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장애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97권, pp. 91-107, 1997.
  10. 박수빈, "ADHD 의 원인론과 병태 생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17권, 제11호, pp. 15-18, 2017.
  11. G. J. DuPaul and G. P. Whi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ADHD,” Principal, Vol. 85, No. 2, pp. 26-29, 2005.
  12. 김희연, 이명훈, 배재남, 김철응, 유희정, 이정섭,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를 이용한 한국청소년의 분노 평가 및 우울과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26권, 제4호, pp. 288-294, 2015. https://doi.org/10.5765/jkacap.2015.26.4.288
  13. 김성수,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우울/불안, 위축행동,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조절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21권, 제2호, pp. 343-364, 2013.
  14. M. L. Ybarra and K. J. Mitchell, “Youth engaging in online harassment : Associations with caregiver-child relationships, Internet us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Adolescence, Vol. 27, No. 3, pp. 319-336, 2004.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4.03.007
  15. 고영미, 임민경, "인터넷 사용목적에 따른 인터넷 과다 사용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의 차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5호, pp. 1-15, 2015.
  16. M. E. Eisenberg, R. E. Olson, D. Neumark-Sztainer, M. Story, and L. H. Bearinger,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Vol. 158, No. 8, pp. 792-796, 2004. https://doi.org/10.1001/archpedi.158.8.792
  17. J. A. Fulkerson, M. Story, A. Mellin, N. Leffert, D. Neumark-Sztainer, and S. A. French, “Family dinner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 development :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assets and high-risk behavio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 39, No. 3, pp. 337-345, 2006.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5.12.026
  18. 배희분, 옥선화, 양경선, Grace Chung, "가족식사 빈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4호, pp. 125-149, 2013.
  19. 함경애, 송연주, 이동훈, "초등학생의 저녁식사 빈도에 따른 우울, 학업성취도 및 인터넷 중독의 차이," 재활심리연구, 제21권, 제3호, pp. 469-487, 2014.
  20. S. Goldfarb, W. L. Tarver, and B. Sen, "Family structure and risk behaviors : the role of the family meal in assessing likelihood of adolescent risk behaviors,"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Vol. 7, pp. 53-66, 2014.
  21. M. R. Skeer and E. L. Ballard, “Are family meals as good for youth as we think they 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amily meals as they pertain to adolescent risk preven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 42, No. 7, pp. 943-963, 2013. https://doi.org/10.1007/s10964-013-9963-z
  22. K. W. Cullen and T. Baranowski, "Influence of family dinner on food intake of 4th to 6th grad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 100, No. 9, A-38, 2000.
  23. S. M. Fruh, J. A. Fulkerson, M. S. Mulekar, L. A. J. Kendrick, and C. Clanton, “The surprising benefits of the family meal,”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Vol. 7, No. 1, pp. 18-22, 2011. https://doi.org/10.1016/j.nurpra.2010.04.017
  24. 최진영, 이상선,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의 관계," 한국영양학회지, 제42권 제8호, pp. 682-690, 2009.
  25. 임경숙, "아침 결식이 경기지역 남녀 중학생의 영양섭취상태, 피로자각도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9권, 제5호, pp. 464-475, 2014. https://doi.org/10.7318/KJFC/2014.29.5.464
  26. G. C. Rampersaud, M. A. Pereira, B. L. Girard, J. Adams, and J. D. Metzl,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Vol. 105, No. 5, pp. 743-760, 2005. https://doi.org/10.1016/j.jada.2005.02.007
  27. K. Adolphus, C. L. Lawton, and L. Dye, "The effects of breakfast on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Vol. 7, p.425, 2013.
  28. 조정인, 김혜경, "울산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 실태," 한국영양학회지, 제41권, 제8호, pp. 797-808, 2008.
  29. 김남희, 김미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을 지닌 유아의 식행동과 식사균형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102-113, 2010.
  30. H. F. Tsai, S. H. Cheng, T. L Yeh, C. C. Shih, K. C. Chen, Y. C. Yang, and Y. K. Yang, “The risk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a survey of university freshmen,” Psychiatry Research, Vol. 167, No. 3, pp. 294-299, 2009. https://doi.org/10.1016/j.psychres.2008.01.015
  31. 김영숙,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과 건강위험 행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1-14, 2013.
  32. 한선희, 오복창, 장인순, "일부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 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비교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66-74, 2003.
  33. 류은순, 이경아, 윤지영,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의 패스트푸드 이용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5권, 제4호, pp. 448-455, 2006. https://doi.org/10.3746/jkfn.2006.35.4.448
  34. E. Pollitt,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 Relevance of research in developing countries to the United States,” Child Development, Vol. 65, No. 1, pp. 283-295, 1994.
  35. 허은실, 이경혜, 배은영, 류은순, "패스트푸드 섭취가 청소년의 식행동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2권, 제6호, pp. 714-723, 2007.
  36. 정혜경, 박성숙, "국민학교 아동의 설탕섭취량이 주의결핍 과잉활동장애에 미친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제28권, 제7호, pp. 644-652, 1995.
  37. 주나미, 김성희, 박희나, 이소영, 김민정, 정경숙, "아동의 간식섭취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193-201, 2006.
  38. 신선미, "인터넷이나 게임을 하루에 2 시간 이상하는 학생의 규모와 정크푸드 섭취, 위생, 안전행위와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제21권, 제1호, pp. 13-21, 2013.
  39. M. P. Walker and R. Stickgold, “Sleep-dependent learning and memory consolidation,” Neuron, Vol. 44, No. 1, pp. 121-133, 2004. https://doi.org/10.1016/j.neuron.2004.08.031
  40. J. R. Tininenko, P. A. Fisher, J. Bruce, and K. C. Pears, “Sleep disruption in young foster children,”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Vol. 41, No. 4, pp. 409-424, 2010. https://doi.org/10.1007/s10578-010-0177-2
  41. E. Touchette, S. M. Cote, D. Petit, X. Liu, M. Boivin, B. Falissard, R. E. Tremblay, and J. Y. Montplaisir, "Short nighttime sleep-duration and hyperactivity trajectories in early childhood," Pediatrics. Vol. 124, No. 5, pp. 985-993, 2009. https://doi.org/10.1542/peds.2008-2005
  42. R. Gruber, “Sleep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Vol. 18, No. 4, pp. 863-876, 2009. https://doi.org/10.1016/j.chc.2009.04.011
  43. J. Owens, R. B. Sangal, V. K. Sutton, R. Bakken, A. J. Allen, and D. Kelsey,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sleep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leep medicine, Vol. 10, No. 4, pp. 446-456, 2009. https://doi.org/10.1016/j.sleep.2008.03.013
  44. A. Sadeh, R. Gruber, and A. Raviv, “Sleep, neurobehavioral functio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Vol. 73, No. 2, pp. 405-417, 2002.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4
  45. 이재현,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2호, pp. 224-254, 2005.
  46. 김진숙, 최수미, 강진구, "청소년의 pc 중독," 청소년 상담연구보고서, pp. 59-88, 2000.
  47. 최진오, "일반 초등학생과 ADHD 성향 초등학생 의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수준 비교조사," 특수 아동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 121-140, 2013.
  48. B. Krahe and I. Moller, “Playing violent electronic games, hostile attributional style, and aggression-related norms in Germ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Vol. 27, No. 1, pp. 53-69, 2004.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3.10.006
  49. 황현주, "교사가 평정한 ADHD 유아와 일반유아의 컴퓨터와 비디오, TV 시청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8권, pp. 107-123, 2011.
  50. K. Whitelaw, Too much TV might lead to ADHD : testing Einstein's theory, U. S. News and World Report INC, 2004.
  51.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정유경, "과도한 영상물 노출 양육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제18권, 제2호, pp. 75-103, 2005.
  52. 권혁남, 나은영, 마동훈, 박천일, 심재철, "뉴미디어와 일상생활," 한국방송학보, 제10권, pp. 53-113, 1998.
  53. 송민정, "유료 TV 산업의 경쟁전략," 방송통신연구, pp. 271-298, 2000.
  54. 김광수, "농어촌지역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연구," 사회연구, 제2권, pp. 143-174, 2009.
  55. 노석준, 이동훈, 김인숙, 송연주, "초등학생의 과외학습과 우울, 불안, ADHD 성향간의 관계," 인문학논총, 제29권, pp. 309-343, 2012.
  56. 임자성, 채규만,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한 심리적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제10권, 제3호, pp. 295-311, 2005.
  57. C. M. Hartung, E. K. Lefler, A. B. Tempel, M. L. Armendariz, B. A. Sigel, and C. S. Little, “Halo effects in ratings of ADHD and ODD : Identification of susceptible symptom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 32, No. 1, pp. 128-137, 2010. https://doi.org/10.1007/s10862-009-9135-3
  58. R. Loeber, S. M. Green, B. B. Lahey, and M. Stouthamer-Loebe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children, mothers, and teachers as informants on disruptive child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 19, No. 1, pp. 75-95, 1991. https://doi.org/10.1007/BF00910566
  5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 Author, 1994.
  60. 위지희, 채규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향과 심리.사회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23권, 제2호, pp. 397-416, 2004.
  61. J. M. Swanson, School-based assessment and inventories for ADD student, Florida : KC Publishing Inc, 1990.
  62. J. M. Swanson, M. A. Lerner, J. March, and F. M. Gresham,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the schools : lessons from the MTA study,”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46, No. 5, pp. 993-1009, 1999. https://doi.org/10.1016/S0031-3955(05)70168-1
  63. 서완석, 장혜경, 김진성, 이종범, "한국형 단축형 부모용 Swanson, Nolan and Pelham 제4판 (SNAP-IV)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7권, 제1호, pp. 64-72, 2008.
  64.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2.
  65.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p.63, New York : Guilford press,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