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on Personality - Focusing on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ing Experiences -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 인성에 관한 인식 차이 - 기관유형, 경력을 중심으로 -

  • 박정빈 (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조미영 (한중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황은희 (한양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7.10.15
  • Accepted : 2018.02.1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in different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ing experiences. Methods: A cluster random sampling of 236 child care center directors in Seoul and Gyeonggi-do was taken. The participants answer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acute{e}$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ational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were rated higher than family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Seco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ith more than of 16 years of experience were rated higher tha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ith 6-10 years experience in regards to personality. Conclusion/Implications: Academic and educational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cultivate the person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who has to perform various roles for young children, infants, parents, staff, and the commun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 (2008). 인성교육. 서울: 양서원.
  2. 강모숙 (2013).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경험: 운영의 어려움과 극복.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곽현주 (2004). 수업반성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
  7.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8. 김민수 (2014). 인성교육 담론에서 인성 개념의 근거. 교양교육연구, 8(8), 169-206.
  9. 김민정 (2007). 유아교사 및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미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인성 및 전문성 발달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순환, 남옥선, 박선혜 (2014).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363-391.
  12. 김영옥, 장명림, 유희정 (2009).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97-324.
  13. 김은영 (2016).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영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 개선 방안. 유아교육학론집, 20(2), 29-52.
  14. 김정희 (2014). 예비유아교사의 인성특성 및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지은 (2010).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의 임파워먼트, 스트레스를 통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현수 (2017).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윤리학회, 114(1), 141-162. doi: 10.15801/je.1.114.201706.141
  17. 김형재, 현혜정, 이순애 (2017). 명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25-54. doi:10.22155/JFECE.24.3.25.54
  18. 김희태 (2004). 유아교사의 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8(2), 5-34.
  19. 류성창, 김태완, 장혜승, 서혜원, 권기석, 박종효 (2011). 스마트 세대를 위한 KEDI 교육 미래비전 연구(OR2011-0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 박경옥 (2010).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진희, 손원경 (2015).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자기평가.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173-193.
  22. 보건복지부 (2017). 2017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23. 서문희, 이미호, 구미진 (2006). 보육시설 종사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여성가족부 연구용역 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서미옥 (2007).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공감적 이해 및 도덕 판단력. 교육연구논총, 28(2), 79-98.
  25. 서의정, 성영란, 김윤희 (2016). 예비유아교사의 자기 인성 및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홀리스틱교육연구, 20(2), 29-52.
  26. 서현, 임지윤, 박미자 (2013).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77(1), 41-71.
  27. 손영빈, 윤기영 (2011).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교사들의 평가준비, 평가수행, 평가이후 과정 경험 이야기. 한국영유아보육학, 67(1), 299-325.
  28. 손은주 (2015). 창의인성이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2), 83-96.
  29. 엄덕수 (2010). 교사의 신뢰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엄은나, 전우경, 박지희 (2014).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대와 자기평가. 유아교육학논집, 20(1), 73-95.
  31. 오미형 (2008).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원장의 지도성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25-239.
  32. 원혜경, 이소정 (2017).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간편형 교직 적.인성 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론집, 21(1), 133-165.
  33. 이남희 (2008). 유아교사의 이직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 원장, 학부모와의 인간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명순 (2001). 유치원 교사가 되어 가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윤경, 임충기 (2005).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교)장과 교사의 지각 및 기대의 차이와 유치원의 조직 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4(4), 55-74.
  36. 이은영, 우민정 (201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유아교육학론집, 17(3), 433-455.
  37. 임수진 (2014).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학론집, 34(6), 347-363.
  38. 임해진 (2015). 어린이집 원장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비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장영숙 (2004). 예비 유아교사들의 자아개념과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37-153.
  40. 전윤숙 (2013).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이미지 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345-359.
  41. 전재선 (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전재선 (2013).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3(4), 305-327.
  43. 정상봉 (2016). 한국인성교육과 그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논집, 51(1), 157-180.
  44. 최명희 (2016). 영유아 교사를 위한 인성 지침서 교사다움. 경기: 공동체.
  45. 최민수 (2011).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영유아 인성교육 방안 모색.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4), 143-168.
  46. 최선미, 부성숙 (2017). 유아교사의 인성과 사회적 관계의 관련성 연구. 육아지원연구, 12(1), 5-27. doi:10.16978/ecec.2017.12.01.001
  47. 최지윤 (2013). 공감을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형 인성교육 방안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혜순, 이미현, 김계중 (2016). 영유아 뇌발달과 인성교육. 경기: 어가.
  49. 한유경, 정제영, 김성기, 정성수, 윤신덕 (2012). 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학교문화 선진화 방안연구(CR 2012-3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0. 허영주 (2009). 교사유머의 교육적 효과와 성공적 활용의 조건 및 전략 탐색. 교육방법연구, 21(1), 115-139. doi:10.17927/tkjems.2009.21.1.115
  51.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s,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ssessed in the strange situation and at home. Hillsdale, NJ: Erlbaum.
  52.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t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53.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Collier Books.
  54. Gardner, H. (2007). Five mind for the futur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55. Griffin, P., Mcgraw, B., & Care, E. (2012).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 century skills. Netherlands: Springer.
  56. Katz, L. G. (1985) Research Currents : Teachers as learners. Language Arts, 62(7), 778-782.
  57. Lickona, T. (1993). The Return of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 Leadership, 51(3), 6-11.
  58. OECD (2005). Formative assessment: Improving learning in secondary classrooms. Paris: OECD publishing.
  59. Sternberg, R. J. (2005). The WICS model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327-34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Urban, K. K. (1995, August).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11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Beijing,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