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ative Research on Counseling and Academic Stress of Novice Elderly Female Counselors

중·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의 상담과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 김진옥 (한국가톨릭상담심리교육원/한양대학교) ;
  • 정문주 (한국가톨릭상담심리교육원/한양대학교)
  • Received : 2017.11.10
  • Accepted : 2017.12.21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stress experienced in counseling and counseling of elderly female novice counselors and, through this, to provid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hat can help counselors of elderly to continue their counseling. The study participants interviewed 157 elderly women who were studying at religious institutions, counseling graduate schools, and general graduate schools. in the data collection, each individual participated in a one - to - one interview for 3 months from May to August, 2017. To analyze this material, it was used CQR method, as on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factors of stress in the academic and counseling domains. in academic stress, academic stress symptoms, content, and weighting factors were separated into three key factors. in counseling stress, four core factors were identified: client, supervision, counselor's abilit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lderly novice counselors in the elderly have specified the areas of stress experienced by them and provided them with helpful information The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 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들의 상담과정과 상담학습에 있어서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탐색이다. 연구 참여자는 종교기관, 각 상당대학원과 일반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거나 학습하고 있는 중 노년층 여성참여자로서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에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 각 개인에게 먼저 기술을 통한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2017년 5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에 걸쳐 일대일 개인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을 위해서 CQR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중 노년층의 초심상담자들은 학업과 상담 두 가지 영역에서 각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영역에서는 학업적 어려움으로 경험하는 스트레스 증상, 내용, 가중 요인의 세 가지 핵심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상담영역에 있어서는 상담 실제에서의 스트레스가 내담자, 슈퍼비전, 상담자 역량, 사회 환경적 요인의 네 가지 핵심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 노년층의 여성 초심 상담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영역을 구체화하여 중 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들이 향후 전문 상담자로서 성장해나가는데 있어서 이들을 교육하는 교육기관에 구체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있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안 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tatId=1994044&themaId=A3A41.2
  2. 윤홍식, 김광혁, "여성과 남성 공공근로사업 참여자의 (재) 취업 결정요인," 사회복지정책, 제24권, pp.89-116, 2006.
  3. 구명숙, 홍상욱,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53-167, 2005.
  4. 이상희, 김정희, "중년기 여성의 학습자 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평생교육 참여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제22권, pp.149-178, 2016.
  5. 홍석태, 양해술,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287-200,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5.287
  6. 김숙영, 전은영, 김귀분, 서연옥, "중년여성의 자아실현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pp.602-611, 2002.
  7. 한준상, "신고령사회 노인교육의 패러다엄," Andragogy Today, 제5권, pp.1-21, 2002.
  8. 한석태,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보, 제42권, 제3호, pp.441-461, 2008.
  9. E. H. Erikson am J.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W Norton & Company, 1900.
  10. C. E. Hill, S. Knox, R. E. Crook-Lyon, S. A. Hess, J. Miles, P. T. Spangler, and S. Pudasaini, "Dreaming of you: Client and therapist dreams about each other during psychodynamic psychotherapy," Psychotherapy Research, Vol.24, No.5, pp.523-537, 2014. https://doi.org/10.1080/10503307.2013.867461
  11. 이보람, 이정화, "중년기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경험과 몰입정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3호, pp.349-361,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4.25.3.349
  12. M. S. Corey, G. Corey, and C. Corey, GroupsProcess and practice, Cengage Learning, 2013.
  13. 유성경, 박성호,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2호, pp.389-400, 2002.
  14. 남순현, "노인이 지각하는 발달단계별 일의 의미에 대한 생애사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70권, pp.113-147, 2015.
  15. 김건숙, 조남정, 최은미, 하혜숙, "상담전공 만학도의 학부과정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775-799, 2013.
  16. 조남정, 이미현, 김인규, "상담전공 학부생의 교육과정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3호, pp.303-324, 2015.
  17. https://www.kedi.re.kr/khome/main/webhome/Home.do.
  18. 신종임, 천성문, 이영순, "상담경력수준에 따른 개인상담 슈퍼비전 교육내용 요구, 실제 및 만족도 분석,"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7권, 제1호, pp.83-101, 2004.
  19. 김계현, 문수정, "상담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18, 2000.
  20. 최광현, "노년기 분노현상과 노인상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1권, pp.169-190, 2006.
  21. 신민주, 주용국, "문화센터 평생교육 참여 여성 노인의 대인관계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 논총, 제43권, pp.285-300, 2009.
  22. V. G. Lewis and L. D. Borders,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iddle-aged professional wome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74, pp.94-100, 1995.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5.tb01829.x
  23. 김애순, "알파걸 모두 알파우먼이 될 수 있을까?," 여성연구논총, 제7권, pp.25-43, 2009.
  24. 조진희, 김분한,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59-266, 2012.
  25. E. H. Erikson and J. M. Eri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W Norton & Company, 1998.
  26. 김숙영, 전은영, 김귀분, 서연옥, "중년여성의 자아실현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pp.602-611, 2002.
  27. 박금자,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와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232-243, 2002.
  28. A. C. King, C. Castro, S. Wilcox, A. A. Eyler, J. F. Sallis, and R. C. Brownso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inactivity among different racial - ethnic groups of us middle-aged and older-aged women," Health psychology, Vol.19, No.4, p.354, 2000. https://doi.org/10.1037/0278-6133.19.4.354
  29. 김의진, 김종순, "고학력 중년 여성의 일과 삶의 균형,"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pp.128-129, 2015.
  30. 최희경, 김승희, "중년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가족 내 역할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3호, pp.269-295, 2012.
  31. 박지선, 성미애, "중년기 기혼 여성의 학업동기 유형과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3호, pp.53-64, 2008.
  32. 김승용, 고기숙, "지역사회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자아통합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권, pp.51-73, 2008.
  33. 임현순, 주은선, "신체화 경향이 있는 중년여성들의 포커싱 활용 교육 프로그램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0권, 제3호, pp.225-251, 2015.
  34. 이은진, 이문희, "초심상담자의 자기문제 이해 및 극복과정," 상담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24, 2015.
  35. 유성경, 손난희, 김창대, 홍세희, "상당자의 타당화 수준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Korea Journal, 제10권, 제4호, pp.1873-1889, 2009.
  36. 이수림, 조성호, "상당자발달과 지혜에 관한 연구: 상담자 발랄 수준에 따른 상당자의 지혜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1호, pp.69-91, 2009.
  37. R. B. Pipes and D. S. Davenport, Introduction to psychotherapy: Common clinical wisdom. Allyn & Bacon, 1999.
  38. M. H. Ronnestad and T. M. Skovholt, "The journey of the counselor and therapist: Research findings and perspectiv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30, No.1, pp.5-44, 2003. https://doi.org/10.1177/089484530303000102
  39. 최윤미, "한국 상당전문가의 역할과 직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2호, pp.179-200, 2003.
  40. 김길문, 정남운, "초보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 과정: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1호, pp.1-20, 2004.
  41. 손유미, 정남운, "초심상담자와 내담자의 조기종결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3호, pp.523-545, 2005.
  42. 지승회, 박정민, 임영선, "인턴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75-90, 2005.
  43. 이승은, 정남운,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3호, pp.441-460, 2003.
  44. R. S. Lazarus,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4, No.1, pp.1-22, 1993. https://doi.org/10.1146/annurev.ps.44.020193.000245
  45. C. E. Hill, B. J. Thompson, and E. Nutt-Williams,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5, No.4, pp.517-572, 1997. https://doi.org/10.1177/0011000097254001
  46. 김미라, 정남운, "장애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1호, pp.201-216, 2003.
  47. 박병기, 박선미,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2호, pp.563-585, 2012.
  48. 하경분, 송선희,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78-28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78
  49. 차영은, 초심상담자 어려움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0. 고윤희, 박성현,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4호, pp.805-839, 2014.
  51. J. Barry, L. Licfun, R. Kingerlee, and M. Seager, "More male psychologists?," PSYCHOLOGIST, Vol.29, No.6, pp.415-41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