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ivity about Sexual Minority : A Q-methodology Approach

성소수자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안이수 (신한대학교 공법행정학과)
  • Received : 2017.09.12
  • Accepted : 2017.11.06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zance of sexual minority by applying Q methodology, as well 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mproving sexual minority's image. The study process let P sample, the study participants, use Q-sorting methodology to sort Q sample, which is composed of statements from July 1 to 20, 2017. 21 participants sorted 32 statements and 3 types of sexual minority cognizance were produced as a result. Those types are 1(N=8), 2(N=5), and 3(N=8), which are type friendly human rights enthusiast, type whereas negative stereotypical, and type neutralist. Friendly human rights enthusiast types agreed to ensure sex minority groups' rights as a general protection, whereas negative stereotypical types had strong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owards sex minority groups due to lack of related knowledge. Furthermore, neutralist types showed an objection to negative stereotypes against sex minorities, but they did not entirely agree to homosexuality either.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하여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성소수자 이미지 제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2개의 Q 표본을 선정하여 21명에게 분류토록 한 결과 모두 3개의 성소수자의 인식에 대한 유형이 도출되었다. 총 3가지의 유형인 제1유형(N=8) : 우호적 인권 중시형, 제2유형[(N=5) : 부정적 고정관념 및 편견형, 제3유형(N=8) : 중립 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우호적 인권중시형은 성소수자의 인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고, 부정적 고정관념 및 편견형은 성소수자들에게 차별적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성소수자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어서 막연한 편견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립 추구형은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편견에는 반대하지만 막연하게 동성애에 대하여 동의하지는 않는 태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인섭,양현아, 성적 소수자의 인권, 공익과인권 제4권,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02.
  2. 김지혜, "성소수자 아동청소년을 위한 포용적 교육," 동향과 전망, 제96권, pp.153-178, 2016.
  3. S. H. Dworkin and H. Yi. "LGBT Identity, Violence, and Social Justice: The Psychological is Political,"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Vol.25, No.4, pp.269-279, 2003. https://doi.org/10.1023/B:ADCO.0000005526.87218.9f
  4. R. Bayer, Homosexuality and American psychiatry: The politics of diagnosis, New York: Basic Books, 1981.
  5. J. Drescher and J. P. Merlino, American psychiatry and homosexuality: An oral history, New York: Harrington Park Press, 2007.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ition, 1980.
  7. https://www.nytimes.com/2015/06/27/us/supreme-court-same-sex-marriage.html
  8.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796074.html
  9. http://lgbtpride.tistory.com
  10. http://sev.iseverance.com
  11. V. C. Cass, "Homosexuality Identity Formation: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homosexuality Vol.4, No.3, pp.219-235, 1979. https://doi.org/10.1300/J082v04n03_01
  12. G. J. Gates, "LGBT Identity: A demographer's Perspective," Loyola of Los Angeles Law Review, Vol.45, No.3, pp.693-714, 2012.
  13. K. A. Renn, "LGBT Student Leaders and Queer Activists: Identities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Identified College Student Leaders and Activis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8, No.3, pp.311-330, 2007. https://doi.org/10.1353/csd.2007.0029
  14. M. G. Worthen, "An Argument for Separate Analyses of Attitudes toward Lesbian, Gay, Bisexual Men, Bisexual Women, MtF and FtM Transgender Individuals," Sex Roles, Vol.68, No.11-12, pp.703-723, 2013. https://doi.org/10.1007/s11199-012-0155-1
  15. G. M. Herek, "Heterosexuals' Attitudes Toward Bisexual Men and Wome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Sex Research, Vol.39, No.4, pp.264-274, 2002. https://doi.org/10.1080/00224490209552150
  16. M. J. Eliason, "The Prevalence and Nature of Biphobia in Heterosexual Undergraduate Student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26, No.3, pp.317-326, 1997. https://doi.org/10.1023/A:1024527032040
  17. 강병철, 김지혜, 청소년 성소수자의 생활실태 조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18. 이혜민, 박주영, 김승섭,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체계적 문헌고찰," 보건과 사회과학, Vol.36, pp.43-76, 2014.
  19. 이호림, 소수자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이수진, 드러내기를 중심으로 본 동성애자의 정신건강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1. 김경호, "청소년 동성애와 상담방안에 관한 연구: 개별, 집단, 가족, 학교상담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Vol.10, No.2, pp.135-168, 2009.
  22. 이영선, 김소라, "사이버상담으로 호소된 남자 청소년의 동성애 관련 문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1, pp.93-112, 2010.
  23. 조대훈, "동성애에 대한 교수적 태동의 영향 변인 연구 : 다문화교육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시민교육연구, Vol.43, No.1, pp.205-237, 2011.
  24. 안이수, "AIDS인식 유형에 대한 연구: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0, pp.46-53,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46
  25. Louis Wirth, The problem of minority groups, In R. Linton, Ed., The science of man in the world crisi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347-372, 1945.
  26. M. Douglas, Purity and danger,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66.
  27. 유명기, 소수자 그 무적의 논리,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4.
  28. 전영평, "한국의 소수자문제와 소수자정책 연구 관점:행정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한국행정학회동계학술대회 발표집, 2006.
  29. 전영평, 한승주, "소수자로서 외국인 노동자: 정책 갈등 분석," 한국행정연구, Vol.15, No.2, pp.157-184, 2006.
  30. 정재진, 전영평, "동성애 소수자의 차별저항과 정책변동," 한국행정연구, Vol.15, No.4, pp.207-240, 2006.
  31. 구정화, "초등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연구," 시민교육연구, Vol.45, No.3, pp.31-53, 2013.
  32. 전영평, "소수자의 정체성, 유형, 그리고 소수자 정책 연구 관점," 정부학연구, Vol.13, No.2, pp.107-131, 2007.
  33. 나영정, "한국 성소수자 운동과 제도화의 역설," 진보평론, Vol.63, pp.228-257, 2015.
  34.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성적지향, Copyright (C)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국성적소수자사전, 2017.
  35. http://www.apa.org/topics/lgbt/orientation.pdf.
  36. http://www.apa.org/topics/sexuality/transgender.pdf.
  37. J. M. Grant, L. Mottet, J. E. Tanis, J. Harrison, J. Herman, and M. Keisling, Injustice at every turn: A report of the National Transgender Discrimination Survey, National Center for Transgender Equality, 2011.
  38. 김판석, "네팔 공공부분의 다양 촉진에 관한 연구:성소수자 차별금지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Vol.19, No.2, pp.1-25, 2016.
  39. 류병관, "미국 형사절차상 동성애 피해자 보호에 관한 논의," 비교형사법연구, Vol.18, No.1, pp.295-315, 2016.
  40. 박해영, "동성결혼과 입양, 대리모 허용에 관한 헌법적 연구," 법학연구, Vol.23, No.3, pp.147-171, 2015.
  41. 김명수, "소수자보호와 차별금지법," 홍익법학, Vol.15, No.3, pp.165-203, 2014.
  42. 김명수, "성적 소수자의 법적 차별에 관한 고찰-군형법 제92조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세계헌법연구, Vol.18, No.1, pp.59-89, 2012.
  43. 김은경, 권정혜,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가 남성 동성애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Vol.23, No.4, pp.969-981, 2004.
  44. 윤성옥, 성승연, "성적지향에 수용적인 레즈비언의 젠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pp.1017-1049, 2011.
  45. Curtis D. Proctor and Victor K. Groze, "Risk Factors for Suicide among Gay, Lesbian, and Bisexual Youths," Social Work, Vol.39, No.5, pp.504-513, 1994. https://doi.org/10.1093/sw/39.5.504
  46. Tracie L. Hammelman MSW, "Gay and Lesbian Youth:Contributing Factors to Serious Attempts or Considerations of Suicide," Journal of Gay & Lesbian Psychotherapy, Vol.2, No.1, pp.77-89, 1993. https://doi.org/10.1300/J236v02n01_06
  47. 강병철, 김지혜, 청소년 성소수자의 생활실태 조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48. 장서연, 한가람, 성소수자에 대한 학교 폭력과 학교 측의 책임. 성소수자에 대한 학교 폭력과 학교측의 책임: 대법원 2013.7.26. 선고 2013다203215 사건을 중심으로, 제3회 SOGI 콜로키움 자료집, 2014.
  49. 조대훈, 성소수자에 대한 학교 폭력과 학교 측의 책임. 성소수자에 대한 학교 폭력과 학교 측의 책임: 대법원 2013.7.26. 선고 2013다203215 사건을 중심으로, 제3회 SOGI 콜로키움 자료집, 2014.
  50. 강병철, 하경희, "청소년 동성애자의 동성애 관련 특성이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Vol.12, No.3, pp.267-289, 2005.
  51. 공성욱, 오강섭, 노경선, "남성 동성애자와 남성 이성애자의 삶의 질과 정신 건강 비교,"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pp.930-941, 2002.
  52. 기미경, 박철민, 장창곡, 고운영, "한국 남성 동성애자들의 성행태와 후천성면역결핍증에 대한 인식," 예방의학회지, Vol.37, No.3, pp.220-224, 2004.
  53. 강병철, 하경희, "청소년 동성애자의 반동성애 폭력경험과 심리사회적 특성," 아동권리연구, Vol.10, No.3, pp.425-440, 2006.
  54. 김태희, 이해혁, 문원실, "성전환여성(남성에서 여성)을 위한 건강관리,"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pp.45-53, 2013.
  55. 주혜주, "HIV 감염인의 대처과정:남성 동성애자를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Vol.17, No.1, pp.97-108, 2008.
  56. H. K. Kim, "Q Methodology and Creation of Advertising Message," Operant Subjectivity, Vol.20, pp.28-29, 1997.
  57.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58. 김홍규, "Q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주관성 연구, Vol.1, pp.15-23, 1999.
  59.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34064.html
  60.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83572.html
  61.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4034.html
  62. http://lgbtpride.tistory.com/1188
  63. 동성애자인권연대, 지승호, 후천성 인권 결핍 사회를 아웃팅 하다 : 두려움에서 걸어나온 동성애자 이야기, 시대의 창, 2011.
  64. 박지훈, 이진, "성소수자에 대한 미디어의 시선 : 텔레비전에 나타난 홍석천과 하리수의 이미지 유형을 중심으로," 젠더&문화, Vol.28, pp.5-42, 2013.
  65. 윤은자, 김현정, 전미순, 윤정아,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주관성 연구, Vol.25, pp.21-34, 2012.
  66. 전미영, 김명희, 조정민, "노화에 대한 주관성 연구:코오리엔테이션의 시각," 주관성연구, Vol.14, pp.129-145, 2007.
  67. 양창훈, 이제영, "Q방법론을 활용한 공직선거 광고의 주관적 수용인식 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pp.115-12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115
  68. G. C. Thompson, The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In B. Berelson, & M. Janowitz (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2nd ed.), New York: The Free Press, 1966.
  69. 원융희, 관광이미지, 백산출판사, 2003.
  70. 정의철,헬스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1. 윤지효, 전아람, 최기원, 홍진영, "연구 노우트 : 동성애자와 에이즈 감염자를 동일시하는 차별관념에 의한 인권침해 -헌혈시 문진사항을 중심으로," 공익과 인권, Vol.1, No.1, pp.153-177, 2004.
  72. 교육부, 학교성교육표준안 고등학교지도서, 2015.
  73. 콜린 윌슨, 수잔 타이번, 정민 역, 동성애자 해방운동의 역사: 사슬 끊기, 연구사, 1998.
  74. 손애리, 문정선, 신승배, 천성수, 김성렬, "HIV/AIDS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연구 : 구조모형을 이용한 에이즈 낙인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보건과 사회과학, Vol.23, pp.31-56, 2008.
  75. L Brown, K. Macintyre, and L. Trujillo, "Inventions to Reduce HIV/AIDS Stigma: What Have We Learned?," Education and Prevention, Vol.15, No.1, pp.49-69, 2001.
  76. J. C. Gonsiorek and J. D. Weinrich, The empirical basis for the demise of the illness model of homosexuality in Homosexuality, Research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1991.
  77. B. Risman and P. Schwartz, "Sociological research on male and female homosexuali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pp.125-147, 1988.
  78. K. A. Tikkinen, J. S. Leinonen, G. H. Guyatt, S. Ebrahim, and T. L. Jarvinen, "What is a disease? Perspectives of the public, health professionals and legislators," BMJ open, Vol.2, No.6, e001632, 2012. https://doi.org/10.1136/bmjopen-2012-001632
  79. 이라영, 여자사람, 사람, 롤링다이스, 2013.
  80. M. L. Hatzenbuehler, "How does sexual minority stigma "get under the skin? A psychological mediation framework," Psychol Bull, Vol.135, No.5, pp.707-730, 2009. https://doi.org/10.1037/a0016441
  81. 손인서, 이혜민, 박주영, 김승섭,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사회적 낙인과 의료적 주변화," 한국사회학, Vol.51, No.2, pp.155-189, 2017.
  82. 신경희, "종교적 정체성에 따른 여성 예비교사들의 성소수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Vol.33, No.2, pp.245-279, 2017.
  83. 국가인권위원회, 성적지향.성별정체성에 따른 차별 실태조사, 재단법인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2014.
  84. 이종원, "동성애에 대한 교회의 바람직한 태도,"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64, No.1, pp.281-303, 2009.
  85. 정원희, "한국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과 사회적 실천:감정의 동학과 의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Vol.48, No.2, pp.165-202, 2014.
  86. 한채윤, "왜 한국 개신교는 '동성애'를 증오하는가?," 인물과사상, Vol.213, No.1, pp.114-127, 2016.
  87. 박지훈, 이진식, "텔레비전에 나타난 홍석천과 하리수의 이미지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Vol.28, pp.5-4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