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Physical Therapists Social Distanc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Sociodemographic, Experience Characteristics

물리치료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 인구사회학적, 경험적 특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9.26
  • Accepted : 2017.10.18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distance that physical therapists in rehabilitation clinics hav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146 physical therapists at 8 sites in kyunggi provinces, investigated the social distance of the subjects by gender, age, religion, working years, circumstantial dis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ocial distanc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y, the physical therapists showed relatively intimate perceived by the social distance and the sub-factors, physical distance and interpersonal distance. Second, they showed close social distance to the disabled when they had sex, age, working years, and showed close interpersonal distance to the disabled when they had male. Third, the subjects with disabled friends showed close physical and social distance to the disabilitie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ge of the physical therapist and the social distance to the disable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years of work and the age, sex. Based on these results, interactions with disabled person affect the positive cognition toward disabil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therapist to change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disabled person positively through improvement of the cognition of the disabled and direc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from the beginning of the clinic.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재활을 담당하는 물리치료사가 장애인에 대해 갖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지역 8곳을 선정하여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연령, 종교, 근무연수, 주변인 장애유무, 주변인 장애 유형 별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지각 정도는 사회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47점)과 하위요인인 신체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77점), 대인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17점)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높을수록(p<.05), 근무연수가 많을수록(p<.05), 남성에게서 사회적 거리감이 더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성별에 있어서 남성이 대인적 거리감에서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접촉요인에서 장애인 친구 유무에 따른 신체적 거리감과 사회적 거리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5). 마지막으로, 치료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간의 상관관계에서 연령은 정적, 성별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근무연수와 연령의 정적 상관, 성별과 종교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의 질과 기회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치료사를 대상으로 임상 초기부터 장애인 인식의 개선과 장애인과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is.kr/nsportalStats0102Body.jsp
  2. 권말숙, 이정화,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3667-3674,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6.3667
  3. C. Lauber, C. Nordt, L. Falcato, and W. Rossler, "Factors influencing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the mental illnes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al, Vol.27, No.1, pp.289-303, 2004.
  4. 김미옥,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자아개념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영향요인 및 극복 대안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5권, pp.138-167, 2003.
  5. W. Schonpflug and U. Schonpflug, Psychologie. Psychologie Verlags, Union, 1982.
  6. W. Scott Ford, "Favorable Intergroup contact may not Reduce Prejudice: Inconclusive Journal Evidence, 1960-1984,"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Vol.70, No.4, 1986.
  7.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4권, pp.99-126, 2002.
  8. 이지수,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인지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 지역발전연구, 제4권, 제2호, 2004.
  9. 정선영, 공미리아, "통합교육환경하의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사회적 거리감 및 통합교육 환경인식에 대한 변화 비교연구," 정서.행동 장애연구, 제20권, 제3호, pp.207-233, 2004.
  10. 박윤경, 외국인 노동자들의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 G. H. Choi, "Attitude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ts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6, No.4, pp.119-136, 2012.
  12. H. K. Jung and M. H. Kim, "Attitude of Physical and Nurses Toward with Disabled Person," Korean J Rehabil Nurs, Vol.7, No.2, pp.213-219, 2004.
  13. 곽정숙, 김윤정, 우승희, "치위생과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41-247,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241
  14. K. S. Choi, "EMT-Paramedic student's Attitude to Disabled,"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Vol.15, No.2, pp.85-99, 2011.
  15. C. Jang and H. S. Shin, "Study on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8, No.3, pp.317-326, 2013. https://doi.org/10.13066/kspm.2013.8.3.317
  16. 오정림, 손호희, 김기열,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425-432,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1.425
  17. 고순희, 비장애아 어머니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8. F. R. Westie, "Negro-white Status Differentials and social dista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17, No.5, pp.550-558, 1952. https://doi.org/10.2307/2088221
  19. 송관재, 이재창, 홍영오, "사회적 오점보유자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및 자존감에 관한 연구: 지체장애인 및 윤락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7권, 제1호, pp.119-136, 2001.
  20. 나간채, 직업집단간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21. 이종남,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관한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2. 김정남, 서미경,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3호, pp.589-607, 2004.
  23. 송수영, 장애인과의 접촉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4. Y. M. Yoon, "Attitude Towards with People Disabilities and Improvement Desire for Campus Welfare Environment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mmunity Development, Vol.37, No.2, pp.81-96, 2012.
  25. G. J. Oh, "The Undergraduates' Attitudes Towar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40, No.1, pp.811-820, 2001.
  26. H. W. Lee and W. R. Lee, "The Study of Attitude toward Disability of Persons without Disability,"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3, No.5, pp.471-492, 2004.
  27. S. Song and J. M. Kim, "The effect of factors on the university students' ac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9, No.1, pp.83-99, 2008.
  28. H. E. Yuker, "Variables that influenc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s form the data,"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9, No.5, pp.3-22, 1994.
  29. 송관재, 김범준, 홍영오, 이훈구, "사회적 오점보유자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3권, 제1호, pp.123-141, 1997.
  30. G. W. Allport,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Public Health Sep, Vol.68, No.9, pp.875-879, 1953.
  31. 김상학,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사회연구, 제7권, pp.169-206,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