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umanism of The Movie by Foucault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 최영미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대학교) ;
  • 조이운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대학교)
  • Received : 2017.12.13
  • Accepted : 2018.01.16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ilm "Never Let Me" by human value which is to be realized in the social structure suppressed by the power of life and the power of discipline in Foucault 's power theory. After 18century having changed monarch power holding the power of life-and-death that enforced corporal punishment, bio-power that corrected body and granted ability suitable discipline to people makes people worked like machine. In control of the bio-power, human achieved safe desire that cure disease and prolong life-span and worked as producer goods. School controls body and make people internalized rule using discipline for working bio-power efficiently. There is differentiation between this movie and the other about human clone. The clones adapt role as organ donator without resistance and there is no conflict between original and copy. Instead of preexistence novel and movie that is set in future, it is a form of past retrospect from the 1970s to 1990s. having emotions, They find independence ego and realize value of life in finite living by depending relation or undergoing loss.

본 연구는 영화 <네버 렛 미 고>를 푸코의 권력이론 중 생명권력과 규율권력이 억압하는 사회적 구조에서 권력에 함몰되지 않고 주체적으로 실현하려는 인간의 가치로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 생사여탈권을 쥔 군주권력이 시행하던 신체형은 18세기 이후 생명권력으로 변모하여 인간의 신체를 교정하고 규율에 맞는 능력을 부여하여 기계처럼 작동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생명권력의 통제 속에서 인간은 질병을 치료받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안전 욕구를 달성하며, 생산재로서 기능한다. 학교는 생명권력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훈육을 통해 신체를 통제하고 규율을 내면화시킨다. 이 영화는 기존 복제인간을 소재로 한 영화들과 차별성이 있다. 복제인간들이 장기 기증자의 역할을 별도의 저항 없이 순응하거나 원본인간과 복제인간의 갈등이 드러나지 않는 점이 그러한 예다. 또한 기존 소설과 영화가 미래를 배경으로 한 것과 달리 1970년대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과거 회고 형식을 띤 점도 그렇다. 이들은 인간의 감정을 가지고 관계에 의존하거나 상실을 경험하며 독립적 자아를 찾고 유한한 삶의 한계 속에서 삶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천현순, "문학과 영화 속 복제인간," 카프카연구, Vol.31, pp.113-132, 2014.
  2. 정원식, "영화<블루프린트>속에 투영된 인인간복제 모티프의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23-13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3
  3. 강순규, "비인간적인 인간과 인간적인 복제인간," 영화, Vol.4, No.2, p.133, 2011.
  4. 정미숙, "SF영화 속 생태주의-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읽는 <블레이드러너>," 드라마연구, No.27, pp.71-92, 2007.
  5. 이다은, "SF영화 속 인간과 피조물이 사유하는 방식," 영화, Vol.8, No.1, 2015.
  6. Matthew Eatough, "The Time that Remains: Organ Donation, Temporal Duration, and Bildung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Literature and medicine, Vol.29, No.1, pp.132-160, 2011. https://doi.org/10.1353/lm.2011.0312
  7. 목현정,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휴머니즘," 영어영문학연구, Vol.58, No.1, pp.41-66, 2016.
  8. 한광택, "동감과 교육에 관한 <나를 보내지 마> 가르치기," 영미문학교육, 제20집, 제3호, pp.165-190, 2016.
  9. Tiffany Tsao, "The Tyranny of Purpose: Religion and Biotechnology in Ishiguro's Never Let Me Go," Literature & Theology, Vol.26, No.2, pp.214-232, 2012. https://doi.org/10.1093/litthe/frs001
  10. 김응준, "만들어지는 인간, 만들어지는 정체성, 포스트휴먼 정체성?," 인문과학, 제52집, pp.47-66, 2013.
  11. 김미혜, "<네버 렛 미 고>를 통해 본 복제 인간 윤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121-12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121
  12. 김대중, "Dialectics of Utopia and Dystopia and Bio-politics in Never Let Me Go," 인문과학연구, 제36권, pp.200-221, 2013.
  13. 안현수, "푸코의 권력이론의 양상과 '주체'의 문제," 동서철학연구, 제72호, pp.304-326, 2014.
  14. 미셸 푸코, 이규현 옮김, 성의 역사 2-쾌락의 활용, 나남, pp.21-131, 2004.
  15. 미셸 푸코, 이혜숙,이영목 옮김, 성의 역사 3-자기에의 배려, 나남, pp.57-90,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