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igital Exhibitions Reflecting Participation Experience of Visitors in Digital Exhibition Space

디지털 전시 공간에서 발생하는 관람자의 참여 경험이 반영된 디지털 전시의 분석

  • 박시은 (숭실대학교 글로벌미디어학부) ;
  • 성정환 (숭실대학교 글로벌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7.09.29
  • Accepted : 2017.11.14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is research proposes a suitabl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standard for digital exhibition to analyze digital exhibition.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on digital exhibition classification, the necessity of the new standard is suggested and the analysis standard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hange of concept and form of the newly emerging digital exhibition is established. Digital exhibi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elements of audience participation that naturally arise from exhibition planning and interactive storytelling format.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digital exhibition spaces are conceptual classification based on keywords. This is because traditional exhibitio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exhibitions and works. However, in digital exhibitions, the interactive aspect between exhibition space, works, and visitors become so important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performative classification between the works and the audience in the digital exhibition. Accordingly, the way of participating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what the audience feel. In this research,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ssification and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is based on Benjamin's argument which the classification of the sensory experience of the audience and 'Aktualisierung' close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We also present analysis standard for digital exhib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rt exhibition narrative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Chatman. This classification methodology will provide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 a way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visitors and it will be a precedent research that secures the expansion and accessibility of the digital exhibition.

본 논문은 디지털 전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디지털 전시에 적합한 분류와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시 분류와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준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전시의 개념과 형식의 변화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정립한다. 디지털 전시는 상호작용적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시 기획과 형식에 의해서 자연 발생하는 관객 참여에 대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기존 디지털 전시 공간에 대한 분류와 분석은 키워드 중심의 개념적 분류를 하고 있다. 이는 전시와 작품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방법론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지털 전시에서 전시공간, 작품, 관람객 간의 상호작용적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전시에서 작품과 관객 간에 이루어지는 수행적인 분류가 필요하다. 그래서 관객이 느낀 것을 토대로 전시 분류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의 분류와 구성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벤야민의 주장에 따라 관객과의 상호작용성과 밀접한 관객의 감각체험 분류와 현재화를 참조하고, 채트먼의 서사구조에 기반을 둔 미술 전시 내러티브 구조에 따라 디지털 전시에 대한 분석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분류 방법론이 전시정보를 관람객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디지털 전시의 확장성과 접근성을 확보하는 선행 연구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동민, 옥승진, "유비쿼터스 전시 환경의 공간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9권, p.213, 2009.
  2. 장은경, "디지털 전시환경의 인터렉티브 전시기법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8권, p.260, 2010.
  3. 권순관, "디지털체험전시관의 체험전시유형에 따른 전시연출 분석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10권, p.493, 2010.
  4. 이하나, "뉴미디어 아트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디지털 전시 환경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제15권, pp.542-543, 2014.
  5. 강태임, "전시 디자인의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유형 분석,"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제31권, p.404, 2014.
  6. http://aliceon.tistory.com/2570
  7. Anish Kapoor, Homi K. Bhabha, Jean de Loisy, Norman Rosenthal, and Royal Academy of Arts(Great Britain), Anish Kapoor, Royal Academy of Arts, 2009.
  8. 박현숙, 최석현, 전태일, "온라인 과학전시의 유형 및 전시기법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8권, p.302, 2014
  9. Walter Benjamin, 최성만 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제2판), 발터 벤야민 선집 2, 길, 2007.
  10. 김남시, "발터 벤야민 예술론에서 기술의 의미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다시 읽기," 미학, 제81권, 제2호, pp.65-66, 2015.
  11. 안금희, "전시 내러티브 사례 분석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29권, pp.34-35, 2015.
  12. Donald Preziosi, "Museology and museography," Art Bulletin, Vol.77, No.1, pp.13-15, 1995.
  13. 강영환, "VR기술을 활용한 암각화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443-45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443
  14. 유미, 우정권, "아쿠아리움을 위한 미디어 전시콘텐츠 제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116-12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116
  15. 이보아, 최수민, 홍용석, "예술작품의 원작으로 구성된 전시와 원작을 재매개한 디지털 전시의 미적 경험에 대한 상이성 연구: <모네, 빛을 그리다展>와 <풍경으로 보는 인상주의展>의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153-16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