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Usability Testing of a Hybrid Mobile Reading Game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읽기장애아동을 위한 하이브리드 모바일 읽기 게임의 사용성 검사

  • 신미경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
  • 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
  • 홍기형 (성신여자대학교 IT학부) ;
  • 이주현 (성신여자대학교 IT학부) ;
  • 박혜원 (성신여자대학교 IT학부)
  • Received : 2017.10.10
  • Accepted : 2017.11.10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hybrid mobile reading game among 14 parent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reading game consisted of six step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reading (familiarizing with consonants and vowels, acquiring whole words,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reading words, phonological rules, reading fluency). In this study, parents experienced steps one through three of the reading-game app and evaluated the general design featur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a five-point scale. Regarding the general design features, parents rated usability (18 items in total) 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interactiv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and interface design. Regarding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9 items in total), parents evaluated usability 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providing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providing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and providing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Lastl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p,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14명의 읽기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모바일 읽기 게임의 사용성에 대하여 평가한 것이다. 읽기 게임은 아동의 읽기 발달 과정에 따라 총 6단계(자모음 익숙해지기, 통글자 익히기, 자모음 결합하기, 단어 읽기, 음운 규칙, 읽기 자동화)로 구성되었다. 본 사용성 검사에서는, 부모들이 1단계부터 3단계의 읽기 게임 앱 내용을 경험해보고, 일반적인 디자인 설계 및 보편적 학습설계를 5점 평정척도로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디자인에 대한 사용성 검사 결과(총 18개 항목)를 살펴보면 상호작용 설계, 교수적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총 9개 항목)의 검사 결과로는 다양한 방식의 표상을 제공,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을 제공, 다양한 방식의 학습 참여를 제공하는 것 순으로 사용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앱의 개선점, 현장에 제공하는 시사점,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애화, 김의정, "만 4세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대한 2년 종단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4권, 제4호, pp.45-70, 2015.
  2. 우정한, 김상선,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특성 연구: 읽기장애의 유형, 읽기 오류 유형 및 글 이해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3호, pp.197-218, 2012.
  3. 이소현, 박은혜,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4. 김용욱,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음운인식, 음운기억 및 단어인지 특성 및 관계,"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8권, 제1호, pp.25-50, 2017.
  5. A. Kamhi and H. Catts,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3rd ed.), Allyn & Bacon, 2011.
  6. 정민경, 김화수, 이근용,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성취 및 어휘인출 특성," 지적장애연구, 제17권, 제1호, pp.247-268, 2015.
  7. 장미순, 이미경,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 교수 실제 및 지원 방안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1-25, 2015.
  8. 임미화, 박은혜, 김정연,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VOCA)를 이용한 이야기책 읽기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초기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1권, 제3호, pp.219-233, 2006.
  9. 장병철,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123-142, 2009.
  10. 조윤주, 김용욱, "동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읽기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제15권, 제3호, pp.125-145, 2013.
  11. 이근형, 이태수, "웹 접근성에 대한 정책적 지원 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특수학교와 특수 학급이 있는 일반학교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정도에 관한 비교연구," 특수교육, 제11권, 제2호, pp.97-116, 2012.
  12. 황건우, 소효정,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한글교육 모바일 앱 개발-인간중심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제4권, 제1호, pp.101-123, 2016.
  13. 이경희, 김태은, 이종우, 임순범, "독서장애인용 모바일 전자책뷰어 인터페이스 설계,"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00-107, 2013.
  14. 김정연, 홍기형, "무발화 장애아동을 위한 마이토키(MyTalkie) 사용성 평가,"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제5권, 제1호, pp.67-93, 2017.
  15. 김남진, 이학준, 우이구, "보편적 학습설계 가이드라인 2.0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비교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18권, 제2호, pp.155-170, 2017.
  16. CAS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2.0, Author, 2011.
  17. 정우진, 오장훈, 윤동원, "하이브리드 모바일 앱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1990-1996, 2012. https://doi.org/10.6109/jkiice.2012.16.9.1990
  18. 김애화, 김의정, 표소래, "스크립트화된 합성 파닉스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한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3호, pp.613-638, 2011.
  19. G. A. Earle and K. L. Sayeski, "Systematic Instruction in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for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Vol.52, No.5, pp.262-269, 2017. https://doi.org/10.1177/1053451216676798
  20. 임장현, 장성욱, "ASD학생 부모 요구조사에 기초한 모바일 앱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6권, 제3호, pp.87-92, 2013.
  21. 신미경, 박은혜, 김영태, 강진경, "장애학생들의 음운인식 및 단어재인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중재: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45-75, 2016.
  22. 임장현, 박은혜, 이현주, "앱 기반 읽기 중재에 대한 전문가의 경험과 요구분석," 자폐성장애연구, 제16권, 제2호, pp.57-82, 2016.
  23. 신미경, "초등학교 수학의 교수를 위한 모바일 가상조작물 앱 분석,"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20권, 제6호, pp.935-949, 2017.
  24. 윤성욱, 김희선, 김현기, "전자책(e-Book) 인터페이스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37-14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137
  25. 서유진, 나경은,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의 보편적 학습설계 특성 분석: 학습장애 학생의 사용성 검사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제9권, 제3호, pp.1-35, 2012.
  26. 국가정보화기본법, 법률 제9705호, 2009.
  27. 방송통신위원회,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저자, 2010.
  28.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전파연구원,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저자, 2015.
  29. 홍기형, "블루투스 기반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앱의 효용성 연구,"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제4권, 제2호, pp.59-76, 2016.
  30. 권정민, 박은혜, 임장현, 이영지, "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모바일 앱 및 게임 제안서,"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5권, 제1호, pp.31-4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