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Seniors'Social Activity Supporting Project on Later Years Life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of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가 노후 삶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 전, 참여 후 분석을 중심으로

  • 조종현 (서울시립 관악노인종합복지관)
  • Received : 2018.08.14
  • Accepted : 2018.12.12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 Korea was 62.3 in 1970 and 82.3 in 2016, which increased by more than 20 years and it's expected to enter super-aged society after passing through the aged society. The poverty, loneliness, inactivity, and disease which were called as four problems of senior citizens have become social issues. Thus, the project for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Project supporting social activity of seniors) was carried out as the senior welfare policy. First purpose was to help the elderly engage in society actively, make their income and build up health while preventing the problems of the aged and reducing social cost as well. The second purpose was to help them live healthy later lives through various job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ject for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increased quality of later lives through health promotion and healthy later lives while engaging in the society, rather than making income according to its purpose, by conducting the surve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for creating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It's expected to se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making more opportunities for the senior citizens to engage in the society continuously, rater than making money.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이 1970년 평균 62.3세, 2016년 82.3세로 평균수명이 20년 이상 연장되면서 고령화 사회를 걸쳐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노인의 4苦인 빈곤, 고독, 무의, 질환의 문제는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지고 있다. 노인복지정책으로 2004년부터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을 진행하였다. 목적은 첫째, 일을 통한 적극적 사회참여, 소득보충 및 건강증진 등으로 노인문제 예방 및 사회적 비용 절감, 둘째, 다양한 일자리를 통한 건강한 노후생활 영위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이 사업 목적에 부응하게 소득보충이 아닌 사회참여를 통하여 건강증진과 건강한 노후생활을 통하여 노후 삶에 대한 질 향상이 되었는지를 연구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노인 일자리사업(사회활동 지원사업)이 지속적으로 노인의 소득보충과 더불어 사회참여의 기회를 더욱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철희 외(2015), "고령사회 정책의 글로벌 동향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포럼, 12(1), 14.
  2. 구혜경(2015),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한 CSV 전략 접목에 관한 고찰," 한국노인인력개발포럼, 12(1), 24.
  3. 김기정 외(2008), "재가노인의 우울감 유발요인과 완화요인," 한국노인복지회, 2008(봄호), 111-140.
  4. 류근윤(2012),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5. 박성복(2012),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주관적 영향요인," 한국행정논집, 24(4), 883-1010.
  6. 박재간 외(2006), 노인상담론, 공공체, 서울.
  7. 보건복지부(2009), 2008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8. 보건복지부(2018), 2018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안내
  9. 양옥남 외(2007), 노인복지론, 공공체, 서울.
  10. 이복임(2006), 감정노동 종사자의 건강모형,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1. 이은정(1996), 소아암 환아 어머니 부담감,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2. 전창선(2010), 노인우울증에 관한 심리사회적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13. 정인회(2012), 독거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4. 최은희(2007),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5. 한국보건연구원(2005), 고령사회시대에 대비한 인력 활용 방안
  16. 홍인애(201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대신대학교 대학원.
  17. House,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 Welsley, Reading, MA.
  18.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e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Cited by

  1. 중고령층 집단의 사회활동 참여와 사망률의 연관성 분석 vol.31, pp.4, 2018, https://doi.org/10.4332/kjhpa.2021.31.4.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