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the Recovery System of the Destroyed Epigraph - Focused on the Chinese standard script -

훼손된 금석문 판독시스템 개발 - 해서체를 중심으로 -

  • 장선필 (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사진예술학과)
  • Received : 2017.03.31
  • Accepted : 2017.05.0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new scientific measurement method for damaged epigraph. In this new method, the Chinese characters are converted and coordinates are created for this measurement. This method is then used to decipher partially damaged characters from the parts of the coordinated characters that are damaged and intact. The Chines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9 square parts by the position of their Chinese Radicals. The unknown characters are then compared and deciphered dependent upon the character shape in 9 square parts that have been created. This method is more scientific, accurate, and makes it easier to find related characters than deciphering through contexts, which is current method. When creating a new software based on this algorithm, it will be especially useful in deciphering an old manuscript or a epigraph that made ancient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not currently in use. This study will also be helpful in deciphering semi-cursive styled or cursive styled epigraph, as well as semi-cursive styled or cursive styled damaged characters during follow-up research.

본 연구는 훼손된 금석문의 과학적 판독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자를 좌표화하였다. 좌표화한 글자의 부분에서 온전히 남은 부분과 훼손된 부분이 존재하는 다른 글자를 찾아 부분적인 훼손글자를 판독하는 방법이다. 부수의 위치에 따라 한자를 9칸으로 나누었으며 9칸에 해당하는 글자의 형태를 검색하여 해당글자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의 문맥을 통한 판독보다 과학적이며 판독글자 외에도 후보글자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판독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만든다면 현재 사용되지 않는 고한자(古漢字; 과거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한자)를 판독하는 고문서나 금석문 판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행서나 초서 역시 같은 방법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금석문 판독 및 훼손글자 판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이지관, 1994, <역대고승비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 장선필, 2012, 사진 영상기법을 이용한 문화재 분석 및 복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70-73
  3. 장선필.한상준, 2011, 사진 탁본 기법을 이용한 금석문 판독 <文化財> 제44권 제2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61-69
  4. 장선필.한상준, 2009, 사진 조명 기법과 디지털 기법을 이용한 사진 탁본 연구 <보존과학회지> 제25권 제4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5. 조동원, 1979, <한국금석문대계> 제1권 전라남북도, 원광대학교출판국, pp.216-218
  6. 편집부, 1981, <해동금석원> 上, 아세아문화사
  7. 편집부, 1976, <조선금석총람> 上, 아세아문화사, pp.169-174
  8. 허흥식, 1984, <한국금석전문> 中世 上, 아세아문화사, pp.346-351
  9. 네이버 한자사전 http://hanja.naver.com/search/similar?query=%E5%BF%84&searchOption=sortrank&ordr=dsc&pageNo=1&strokeCnt=9&idiomType=1
  10. 다음 한국어사전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051520&supid=kku000066061.
  11. 다음 한자사전 http://dic.daum.net/index.do?dic=han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