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Removing Paraloid B-72 from Painting Layer on Mural of Mireukjeon Hall at Geunsansa Temple

금산사 미륵전 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7.04.17
  • Accepted : 2017.08.2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As the technique to remove Paraloid B-72, which is known as an irreversible material, the method using organic solvent and heating, though the ways vary depending on the kind of material to be removed, has been usually used, but it has yet to apply to mud mural because of the technical limit in processing and the potential risk of damage and, moreover, the removal efficiency which also remains unproven. Thus, in a bid to seek the way to safely remove Paraloid B-72 contained in mural, the test was conducted in a way of applying a compress method, which is deemed most efficient. The solvents which are proven to be Paraloid B-72 were applied to the absorbents such as active carbon fiber and methyl cellulose and then were eluted to the surface of mud mural sample which was prepared in the same size and condition for a certain time before evaluating the stability and removal efficiency. Such tes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to the mural of Mireukjeon Hall at Geunsansa Temple, which had been treated with Paraloid B-72 for preservation in the past. As a result, the way of mixing the absorbent such as active carbon fiber and Xylene alone or with other quick vaporable solvents proved to be most efficient in removing Paraloid B-72 from mud mural and particularly Acetone:Xylene(1:1wt%) was found to be the most stable among others. Such a test outcome is expected to be a useful data for removing Paraloid B-72 from the mural of Mireukjeon Hall at Geunsansa Temple as well as for restoring other mural cultural assets in the coming days.

현재 비가역성 재료로 알려져 있는 Paraloid b-72의 제거방법으로는 대상재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유기용매 및 가열 방식을 이용한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흙벽화에 적용시키는 문제는 처리방법의 한계성과 손상위험 때문에 지금까지 적용되지 못하였고, 제거 효율 또한 검증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흙벽화에 사용된 Paraloid b-72를 가장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습포방식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Paraloid b-72에 대한 용해성이 확인된 용해제들을 흡착제인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에 적용시켜 동일한 크기와 조건으로 제작된 흙벽화 시료표면에 일정시간 흡착용출 시킨 후 제거하여 안정성과 제거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거 Paraloid b-72로 보존처리 되었던 금산사 미륵전 벽화 및 다른 벽화 문화재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흡착제인 활성탄소섬유와 Xylene을 단독 또는 빠른 기화성을 가진 다른 용해제와 혼합하여 적용하였을 때 효과적이고, 그 중 Acetone:Xylene(1:1wt%)이 가장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진행될 수 있는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Paraloid b-72 제거와 그밖의 다른 벽화 문화재의 원형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도자기 토기의 오염물 제거 문화유산융복합연구기술보고서, pp.56-65
  2. 기술표준원, 2012, 도료와 바니시 촉진내후성 시험 - 형광 UV 램프와 물에 폭로 - KS M ISO 11507
  3. 이혜영, 2003, 활성탄소섬유에 의한 우라늄 이온의 전기 흡.탈착 특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2-36
  4. 진병혁.위광철, 2013, 한국 흙벽화 채색층 보존처리에 따른 고착제 연구 문화재지 46권 3호, pp.150-171
  5. 한경순, 2010,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손상도 평가 연구 보존과학회지 26권 3호, p.308
  6. 한국기술표준원, 2012, 도료와 바니시 촉진내후성 시험-형광 UV 램프와 물에 폭로 KS M ISO 11507
  7. 한림보존테크, 2015, 국보 제62호 금산사 미륵전 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上, pp.40-46, 79-91, 124-127
  8. 한림보존테크, 2015, 국보 제62호 금산사 미륵전 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下, pp.10-105, 164-170
  9. 한원식 외, 2010, 토기.도자기 복원에 사용된 에폭시 복원재료의 화학적 제거방법과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26권 1호, p.26
  10. A. Blee and J.G. Matisons, 2008, 'NANOPARTICLES AND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MATERIALS FORUM Vol.32, pp.121-128
  11. Michele Baglioni, Rodorico Giorgi, Debora Berti and Piero Baglioni, 2012, 'Smartcleaning of cultural heritage: a new challenge for soft nanoscience', NANOSCALE No.4, pp.42-53
  12. Michele Baglioni, Doris Rengstl, Debora Berti, Massimo Bonini, Rodorico Giorgi andPiero Baglioni, 2010, 'Removal of acrylic coatings from works of art by means of nanofluid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at the nanoscale', NANOSCALE No.2, pp.1723-1732
  13. Michelle Taube, David Chelazzi, 2014, 'The removal of aged acrylic coatings fromwall paintings using microemulsions', ICOM-CC, 17TH Triennial Conference 2014 Melbourne, MURALS, STONE, AND ROCK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