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하반기 양계 전망과 HPAI - 2017 하반기 양계사료 전망

  • 홍성수 ((사)한국사료협회 기획조사부)
  • Published : 2017.07.01

Abstract

Keywords

하반기 사료생산량 산란계 10% 이상의 감소, 육계 전년 수준으로 회복 예상

1. 산란계 사료 동향 및 전망

1) 최근 산란계 사료시장 동향

사료생산과 가축 사육 마리수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란계 사료시장에서 2017년 상반기 가장 큰 이슈는 HPAI 발생과 이에 따른 산란계 살처분 마리수로 다른 모든 현안을 덮고도 남는다고 하겠다. 작년 11월 16일 발생한 AI는 금년 5월 13일 이동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10개 시·도, 50개 시·군, 159개 농장에서 발생하였고, 매몰처분된 산란계 마릿수는 전체 마릿수의 36%인 2,581만 마리에 이르렀는데 과거 6차례의 AI 발생과 비교하면 최대 매몰 처분 마릿수를 기록하게 되었다. 또한 지난 6월 2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다시 발생한 AI는 6월 14일 현재 6개 시·도에서 잇달아 재발하면서 불안감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난 2년간 계란가격의 안정세에 따른 기대심리와 시설 현대화에 따른 농장규모의 확대가 맞물려 산란계의 입추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전체 산란계 사육수수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나 HPAI 확산으로 ’17년 1분기 산란계 사육수수는 전년보다 26.5% 급감하기에 이르렀다(표 1. 참조).

표 1. 최근 2년간 산란계 사육 마리수 (단위 : 천마리)

* 자료 : 통계청, 2017

산란계 사료 생산량은 사육수수의 증가와 더불어 2014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15년 12월의 경우 월간 생산량으로는 사상 최고치인 225천톤을 기록한 이후 ’16년 월별 생산량은 정체 내지 소폭의 감소세를 보이다가 ’16년 11월 HPAI 발생 이후 급감하여 ’17년 5월까지 전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표 2. 참조).

표 2. 월별 산란계 사료 생산량 (단위 : 천톤)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 2017년 하반기 산란계 사료시장 전망

지난 2일 추가 발생한 HPAI가 소규모 농가에서만 발생하고 있고 가금류 살처분 마릿수도 193천수 이후 증가하지 않고 있어 다행히 현 수준에서 AI가 마무리 된다면 산란계 마릿수는 9월 이후 평년 수준의 90% 이상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그 근거는 ’17.1분기 산란종계 입식수수가 전년대비 24.6%(평년대비 86.3%) 증가한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산란계 사료 생산량도 ’16. 5월 실적이 전년 동기대비 11.2% 감소되어 연초에 비해서는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 예측대로 산란계 사육수수가 9월부터 평년 수준으로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금년 산란계 사료 생산량은 10% 이상의 감소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2. 육계 사료 동향 및 전망

1) 최근 육계 사료시장 동향

육계산업은 작년까지 사육규모로만 보면 나름 호황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공급과잉에 따른 산물가격 하락이 육계산업에 어두운 그림자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후 작년 연말 발생한 HPAI로 육용종계의 사육마릿수가 감소하면서 ’17년 1분기 육용계 마릿수는 전년동기 대비 8.3%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표 3. 참조)

표 3. 최근 2년간 육계 사육 마리수 (단위 : 천마리)

* 자료 : 통계청, 2017

2) 2017년 하반기 육계 사료시장 전망

’16말~’17초로 이어지는 HPAI의 발생 축종은 성계의 경우 산란계에 집중되었으나 종계의 경우 산란종계와 육용종계는 발생농장 수가 각각 5개, 18개로 육용종계의 피해가 상당하였다. 이에 따라 ’17.2월~4월 육용종계 성계 사육마릿수는 전년동월대비 2월(△7.0%), 3월(△2.6%), 4월(△4.5%) 연속 감소세를 보였고, 월별 육계사료 생산량 또한 감소세를 면치 못하였다(표 4 참조). 다만 산란계와 마찬가지로 5월부터의 육계사료의 생산량은 다소의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5월 이후 육용계 사육마릿수의 회복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표 5. 참조). 즉, 종계 생산기간 연장 및 환우로 9월 이후에는 병아리 생산 잠재력 지수가 높아지면서사육마릿수와 사료 생산량이 전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표 6. 참조).

표 4 월별 육계 사료 생산량 (단위 : 천톤)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표 5 육용계 사육 현황 및 전망

* 자료 : 농촌경제연구원

표 6. 육용 병아리 생산 잠재력 지수 (2016년 5월=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