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서대학교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persons with recent onset and chronic mental illness in their family function; and analyze factor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ivided into four sets: socio-economic, clinical, famil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628 with mental disorders, and the sample was selected in Pusan and Gyeong-nam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The family with chronic mental illness showed higher family function in comparison with recent onset.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age of onset, difference between ideal and reality in family function variable only influenced family function for the recent onset group,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fference between ideal and reality in family function, caregiver's health, community support variables influenced family function for the chronic group. The results suggest a need for using different treatment approaches for recent onset versus chronic mentally disabled familie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 practice for family with disabled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가장 기본적인 보호체계인 가족의 기능에 대한 기존연구가 정신질환의 발병 단계(초기, 만성)에 대한 고려 없이 진행된 한계를 극복하고자 발병초기 정신질환자가족과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이 차이가 있는지, 각 그룹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지역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 정신질환자 6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보다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기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경우 가족기능 괴리감이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만성 정신질환자의 경우 일상생활수행능력, 주보호자의 건강상태, 가족기능 괴리감, 지역사회지지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확인되어 두 그룹의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현장에서 고려 할 수 있는 발병초기와 만성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적방법을 제언하였다.
Supported by : 동서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