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Participation Affects Marriage Immigrant Women's Parenting Efficacy

지역사회참여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이아민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이채원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7.01.15
  • Accepted : 2017.03.09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whether community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The 3rd wave of the Gyoenggi Education Welfare Panel data was used, which includes 396 marriage immigrant women residing in Gyoenggi Province. Finding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highe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horter duration of residency, lower parenting stress and more positive family environ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parenting efficacy. Community participation leve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parenting efficacy, eve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e type of community activities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parenting efficacy, except for children's school activities, which had a negative impact on parenting efficac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에 주목하여 지역사회참여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결혼이주여성 396명이 응답한 "경기교육복지패널"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어실력, 거주기간, 양육스트레스, 가족관계가 결혼이주여성의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참여수준은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활동의 다양한 유형의 참여여부를 보았을 때 자녀학교 관련 모임에 참여하는 경우 양육효능감이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특정유형의 지역사회활동에 대한 참여여부보다는 다양한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수록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주민의 양육효능감은 지역사회참여를 통한 사회통합감 및 주체성의확립과의 관련성 속에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