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Life Experiences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삶: 포토보이스 방법의 적용

  • Park, Gyung Mi (Interdisciplinary Graduate Program in Social Welfare, Myongji University) ;
  • Kim, Min Ah (Interdisciplinary Graduate Program in Social Welfare, Myongji University)
  • 박경미 (명지대학교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 ;
  • 김민아 (명지대학교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
  • Received : 2017.03.23
  • Accepted : 2017.06.09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Six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brain lesions selected four themes through group discussion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using photos they took that reflect the four themes: my worsening health and the way I manage my health (identifying red flags for ill health, trying to coping with poor health), my leisure life (my limited leisure activities, enjoying my own leisure time), my social participation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that give me pleasure,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to help make a better society), and my later life (worryingabout financial hardships and being alone in my later life, hoping for happiness in my later life). Study findings indicate the value of services and policies for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that provide guidance for health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extend opportunities for leisur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rovide skill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promoting financial and emotional independence in later life.

본 연구는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를 가진 중고령 여성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삶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토론을 통해 4개의 대주제를 선정하였고, 각 주제별로 직접 촬영한 사진을 매개로 하여 '무너지는 나의 건강과 건강 관리(신체 및 정신적 건강의 적신호를 감지함, 건강 악화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함)', '나의 여가생활(여가활동이 제한적임, 나만의 여가를 즐기고 있음)', '나의 사회참여(나에게 즐거움을 주는 사회활동에 참여함,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활동에 도전함)', '나의 노후(노후의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이 걱정됨, 행복한 노후를 소망함)'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고령 여성장애인을 위한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심리상담 프로그램 제공,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한 여가활동 제공 및 사회참여 기회 확대, 노후의 경제적 정서적 자립을 위한 훈련 및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