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 이후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관한 연구: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Marital Satisfaction since Unemployment - Difference in Self-esteem by Patterns -

  • 남석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김준표 (서울대학교 SSK 고령사회연구단) ;
  • 이수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윤희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Nam, Seok In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Kim, Junpyo (SSK Research Center for Aging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u Jin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Yun, Heejung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7.09.30
  • 심사 : 2017.12.08
  • 발행 : 2017.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및 실업을 경험한 부부의 관계만족에 대한 종단적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의 특징, 영향요인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2차 년도부터 11차 년도의 자료 중 취업상태에 있다가 이후 5년 간 실업을 경험한 443 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 유형은 저수준 유지형, 중수준 유지형, 지속적 감소형, 감소 후 증가형, 고수준 유지형의 다섯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계 만족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집단은 부부관계에 긍정 혹은 부정적 변화가 일어나는 집단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marital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influencing factors and the difference on self-esteem, among married couples who experienced unemployment. To achieve this, the 443 married couples, who were initially employed in the first year but unemployed in next 5 years were extracted from the $2^{nd}$ to $11^{st}$ waves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ive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s of couple who experienced unemployment: maintaining low-level, mid-level, continuous declining, rebound after sharp declining, and maintaining high-level. In addition to this, the groups that maintain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ed higher self-esteem than the groups that showed positive or negative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satisfaction of marital relationship and their self-esteem in a high lev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