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gehood - An Interconnectivity of Confucianism and Mythology

유가 사상과 신화적 사유의 상호 관계성 연구 - 성인 관념을 중심으로 -

  • 김종석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 Received : 2017.04.10
  • Accepted : 2017.04.30
  • Published : 2017.05.15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Confucianism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other thoughts. Mythology especially had an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of Confucian thought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sage and examines how Confucianism and mythological thoughts influenced on formation and reformation of the concepts. In ancient religion, sages as a hierophantic figure, mediates human beings and gods, delivering the gods' messages to the human and the human's wishes to the gods. The fused role of shaman and ruler began to separate. A new type of leader without political power, but with a religious role with a moral authority is the Confucian concept of sage. A sage in Confucianism is an ideal person like Confucius, Mencius, and Xunzi, an ordinary person can attain with effort. Anyone can become a sage in Confucianism. The early Confucian sage was more like a hyper-human with unaccessible authority in mythology. Later, a sage in Confucianism began to be described as a model figure that any human being can become. The aspect of shamans and diviners (wushi 巫師) did not disappear, but merged into a kingly power and transformed into a sage-king with moral authority. The new images are reflected in Confucian ideology of statehood or its religiosity. This study has explored the ways in which Confucianism and mythological thoughts interacted and influenc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cept of sage as an ideal personhood.

본 연구는 유가 사상이 신화적 사유와의 상호 관계성 속에서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고찰한다. 특히 원시 사유체계 및 신화적 사고와 연관성에 주목하여 유가의 이상적 인격체인 성인의 형성도 그 원류가 신화적 사유와 상호 관계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신화적 사유 속에서의 성의 의미를 검토하고, 이것이 유가의 성인으로 전환되는 의미 변화를 검토하였다. 고대 인류에서 부족장은 신들과 교류하여 종교적으로는 인간과 신들을 매개하여 신들의 말씀을 인간에게 전함과 동시에 인간의 염원도 신에게 전달하는 이중적이며 중간자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신을 대신하여 정치와 종교, 교육을 총 망라하여 수행하는 제정일치의 통치자는 점차 종교와 현세적 정치권력이 이원화되는데, 현세적 권능 대신 도덕적 정당성을 통한 권위를 부여받은 새로운 인격체가 유가의 성인이다. 유가에서는 공자에서부터 맹자, 순자에 이르기까지 현세에서 이룰 수 없는 높은 수준의 이상적 도덕군자에서 시작하여 누구나 노력에 의해 다다를 수 있는 가장 모범적이고 이상적인 인간상으로까지 규정한다. 따라서 초기 유가의 성인 개념은 상대적으로 신화적 성인의 이상적인 권위에 주안점을 두어 인간이 다다를 수 없는 초절대적인 완성된 인간으로 상정되었다면, 이후의 유가에서는 점차 도덕적인 수양을 통해 누구나 다다를 수 있는 존재로 상정된다. 한편 문명을 전수하고 인간을 계도하는 역할은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다시 현세의 권위와 결합하여 도덕적 성인의 권위까지 부여한 새로운 존재자로 재탄생한다. 이상과 같이 이상적인 인간상으로서의 성인이라는 매개를 통해 유가 사상과 신화적 사유가 상호 관계성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