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Fû Hexagram[復卦] based on Zhu Xi[朱熹]'s Theory of Psychology

주희(朱熹) 심성론(心性論)을 중심으로 본 복괘(復卦) 해석의 문제

  • 김광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
  • 김원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 Received : 2017.01.10
  • Accepted : 2017.02.03
  • Published : 2017.02.15

Abstract

This paper is a reflective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claims that they criticize the explanation of Zhu Xi(朱熹, 1130-1200)'s psychology in which he explains that the 24th Hexagram of $F{\hat{u}}$[復卦] shows the state that the mind has not happened yet[未發]. Zhu Xi explains the 24th Hexagram of $F{\hat{u}}$[復卦] with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Several scholars in modern Korea, however,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thoughtless[思慮未萌] but being not dark to perception[知覺不昧]" of the 24th Hexagram of $F{\hat{u}}$ is enough to explain the state of no mind yet. And they think that "thoughtless[思慮未萌]"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 state in which the mind has not yet occurred, but it is not to "being not dark to perception".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how that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24th Hexagram of $F{\hat{u}}$[復卦] fully explains the fact that "thoughtless[思慮未萌] but being not dark to perception[知覺不昧]" explain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Zhu Xi's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is divided into two periods, a period of 'old theory on $zh{\bar{o}}ngh{\acute{e}}$[中和舊說]' and a period of 'new theory on $zh{\bar{o}}ngh{\acute{e}}$[中和新說]'. He develops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on the basis of 'the theory that nature is body and mind is action[性體心用說]' during the period of old theory, and develops the theory[未發說] based o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nature and feelings[心統性情說]' during the new theory. Between the two periods, the status of the mind changes from "the mind has already happened[已發]" to "through which the mind has not yet arisen and the mind has already risen[未發已發]". And its role also changes from 'what nature is happened' to 'presiding on nature and emotion.' This change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the idea that the mind has not yet happened, that thoughts have not budged yet[思慮未萌], perception is not dark[知覺不昧].

이 논문은 주희(朱熹, 1130-1200)의 심성론(心性論)에서 복괘(復卦)가 미발(未發)의 괘상(卦象)이라는 설명에 대한 현대 한국의 여러 학자들의 반론에 대한 반성적 연구다. 주희는 미발설(未發說)을 복괘(復卦)로 설명한다. 여러 연구자들은 복괘(復卦)의 '사려미맹(思慮未萌) 지각불매(知覺不昧)'는 과연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충분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사려미맹(思慮未萌)'은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적당하지만, '지각불매(知覺不昧)'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 본 연구는 주희의 복괘 해석에서 '사려미맹 지각불매'가 미발설을 충분히 설명함을 보이고자 한다. 주희의 미발설은 중화구설(中和舊說)의 시기와 중화신설(中和新說)의 시기로 그 관점이 나뉜다. 중화구설 시기는 성체심용설(性體心用說)을 바탕으로 미발설을 전개하고, 중화신설 시기는 심통성정설(心統性情說)을 바탕으로 미발설을 전개한다. 두 시기 사이에 마음의 지위는 이발에서 미발이발을 관통하는 것으로 바뀌며, 그 역할도 '성(性)이 발(發)한 것' 에서 '성정(性情)을 주재(主宰)하는 것'으로 달라진다. 이러한 변화는 미발에 대한 설명인 '사려미맹(思慮未萌) 지각불매(知覺不昧)'의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주희는 '사려(思慮)'를 성정의 관계에서 정처럼 말하지만, '지각불매'는 마음과 연관지어 설명하며, '지각불매'를 마음의 상태로 말한다. 그러므로 지극히 고요할 때[지정지시(至靜之時)]에도 '지각불매'하다고 말한다. 지극히 고요할 때는 미발의 때이고, 이러한 미발의 때에도 지각은 어둡지 않다는 것이다. 주희는 '지각'이 미발이발을 관통한다고 본다. 이러한 주장은 주희의 복괘에 대한 관점을 이해하면 설득력을 가진다. 정이(程?, 1033-1107)는 복괘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는 반면에, 주희는 곤괘(坤卦)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지, 복괘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또 주희는 양(陽)을 사려나 감정이 아니라, '성정을 통괄하는 마음'으로 본다. 주희는 '복괘에서 천지지심의 단서를 본다'고 하였고, 복괘를 '양이 다시 회복했지만 만물이 아직 생겨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한다. 만물이 생겨나기 이전이나 천지가 만물을 낳는 마음의 단서를 복괘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주희의 이런 설명을 받아들인다면, 복괘는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충분하고, 주희의 복괘 해석에서 '사려미맹 지각불매'는 미발설을 설명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