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장혁신의 고용효과

Employment Effects of Workplace Innovation

  • 노용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벤처경영학과)
  • 투고 : 2017.06.02
  • 심사 : 2017.06.24
  • 발행 : 2017.06.30

초록

본 연구는 작업장혁신 프로그램들의 고용효과에 관한 실증분석이다. 본 연구의 이론 모형과 가설은 혁신 일반의 고용효과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발전시켜서 개발하였다. 사용 자료는 노사발전재단의 "일터혁신지수" 2013-14년 자료이다. 사용 자료는 횡단면 자료이고 통계모형은 OLS 모형이다. 본 회귀모형의 종속변수는 고용증가율이고 주된 독립변수는 작업장혁신 지수이다. 작업장혁신 지수는 TQM/6시그마, 제안제도, 다기능훈련 등을 합성하여 작성하였는데, 그 관행들의 도입 여부와 활용 정도(표준화값) 등 2 가지로 된 측정치들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작업장혁신 프로그램들의 도입 여부는 고용증가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작업장혁신 프로그램들의 활용 정도는 고용증가율에 약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은 작업장혁신의 도입이 고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데, 그것의 활용도를 높일 경우에는 약한 수준에서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 밖에 정부 지원의 조직혁신 컨설팅을 받은 사업체(+), 임금수준(-), 1인당 훈련시간(+), 전년도 근로자수(-) 등이 고용증가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증결과들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workplace innovation affects employment growth. The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employment effects of innovation. I use the data on Workplace Innovation Indicators(2013-14) collected by Labor Foundation. As the regression models for this study, I adopt OLS models whose dependent variable is employment growth rate, and whose main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adoption and the intensity(standardized values) of three innovative work practices such as TQM, employee suggestion plans and multi-skill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doption of workplace innovation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ment growth, but that the intensity of workplace innovation has weakly positive effects on employment growth. Besides, the results of this demonstrate show that government-subsided organizational innovation consulting and training hours per capita have positive employment effects, but that wage level and prior employment size have negative ones. Finally the empirical results are outlined, and their limit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this topic are discuss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