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ssay for the Concept Formulation of Sungho-Studies -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Issues

성호학(星湖學)의 개념(槪念) 정립(定立)을 위한 시론(試論) - 적용의 가능성과 쟁점의 제시를 중심으로 -

  • 윤재환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7.06.07
  • Accepted : 2017.06.21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Seongho-Studies'. The term 'SeonghoStudies' is generally used as a concept which means the overall academic world of Seongho, but it is not clear of what 'Seongho-Studies' really is. To define the term 'Seongho-Studies', characteristics of the Seongho's academic world should be found, and the characteristics have to be original. However, this work is not easy because of the immensity and the diversity of Seongho's academic world. This problem makes us find the concept of 'Seongho-studies' in the process Seongho made his academic world. We can define Seongho's academic attitudes and methods as 'scepticism and self-acquirement.' Thus 'Seongho-studies' is "All of Seongho's academic world that was achieved by the academic methods of scepticism and self-acquirement. It is exposing specific and practical thoughts on the subject based on his situation." This concept can have diverse explanations of Seongho and his followers' academic world, but this also carries various limits. Therefore the concept proposed in the article is one of the many essays for formulating a clear notion of 'Seongho-studies'.

이 글은 그간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사용해 왔던 '성호학(星湖學)'의 개념을 반성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호학(星湖學)'을 성호의 학문세계 전반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호학(星湖學)'이라는 용어가 지칭하는 구체적인 실체가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 '성호학(星湖學)'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성호의 학문세계 전반을 관류하는 특성을 찾아야 하며, 그 특성은 성호만의 독창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 작업은 성호의 학문세계가 지니는 광대함과 다양함 때문에 쉽지 않다. 성호 학문세계의 광대함과 다양함에서 오는 '성호학(星湖學)' 개념 규정의 어려움은 '성호학(星湖學)'의 개념을 성호 학문세계의 내용이 아니라 성호가 그 자신의 학문세계를 만들어 나간 학문의 방법에서 찾게 만든다. 성호의 학문 태도와 방법은 '회의(懷疑)와 자득(自得)'으로 규정할 수 있는데, '회의(懷疑)와 자득(自得)'을 근거로 '성호학(星湖學)'을 개념화 한다면 '성호학(星湖學)'은 "회의(懷疑)와 자득(自得)의 학문 태도와 방법을 통해 이룩된 성호의 학문세계 전반으로, 그 자신의 현실적 처지에 기반하여 대상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이 개념이 성호나 성호의 문하 제자들이 이룩했던 학문세계에 대해 일정한 기준에 따른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해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 개념 역시 다양성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이 글에서 제시한 내용은 '성호학(星湖學)'의 명확한 개념이 아니라 명확한 개념을 정립(定立)하기 위한 시론(試論)의 하나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