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부모 삶의 만족도와 아동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여

  • 김용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한창근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7.25
  • Accepted : 2017.09.1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ldren's life satisfaction is interrelated with parents' life satisfaction longitudina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6 waves (Elementary school 4th year to Middle school 3rd year)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The sample size was 1,963 families with child and parent.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was found to influence each other during the study period. Second, parents'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cross-lagged impacts o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Third, similarly,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s' life satisfaction longitudinally. Th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s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are interrelated in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enhancing children's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아동의 삶의 만족도가 상호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2010년(초4)에서 2015년(중3)까지 총 6차년에 걸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이며, 분석에 사용된 사례는 총 1,963명이다. 본 연구목적인 아동 삶의 만족도와 부모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삶의 만족도와 부모 삶의 만족도의 자기회귀효과는 각각 시간의 흐름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삶의 만족도가 아동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이전 시점의 부모 삶의 만족도가 이후 시점의 아동 삶의 만족도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아동 삶의 만족도가 부모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이전 시점의 아동 삶의 만족도가 이후 시점의 부모 삶의 만족도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 삶의 만족도는 아동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아동 삶의 만족도 역시 부모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종단자료를 통해 아동 삶의 만족도와 부모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과적 방향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우리나라 부모와 아동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여러 함의점들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Longitudinal Study on Transactional and Medi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Happines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Happiness: Focus on the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El vol.41, pp.4, 2017, https://doi.org/10.5723/kjcs.2020.41.4.91
  2.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Children’s Happiness and Media Devic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vol.41, pp.5, 2017, https://doi.org/10.5723/kjcs.2020.41.5.85
  3.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부모구성에 따른 다집단분석 vol.11, pp.12, 202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1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