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맥락과 교육적 인식의 탐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the Context of Inclusion and Awareness of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in Literature - With a Focus o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 최홍원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 투고 : 2017.04.30
  • 심사 : 2017.06.26
  • 발행 : 2017.06.30

초록

이 연구는 문학교육 현상에 대한 관심의 일환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맥락을 탐색하고, 이를 매개로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교과서가 고전문학교육의 실행에 지배적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교과서 수록 제재는 특정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 교육의 의도, 요구, 관점 등에 따라 선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고전성과 문학성으로 나누고, 이를 준거로 2009,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록 실태와 맥락을 탐색하였다. '문학의 역할', '문학의 수용과 생산', '문학과 삶'의 영역에서 현대문학위주로 수록, 편성됨으로써 고전문학은 전반적으로 소외, 배제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비교하여 고전성 강조와 문학성 약화의 경향성이 전반적으로 심화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고전문학이 과거의 산물이자 역사적 자료의 차원에서만 수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차원의 외적 변화 못지않게 고전문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같이 내적 차원의 대응이 요청된다. '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고전'으로서의 시공간적 거리감이 오늘날 학습자의 문제 상황과 요구에 응답하는 다양한 관계 맺음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로써 교과서 수록맥락과 양상의 다각화, 수록 가능한 작품의 폭과 범위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학습량 감축, 역량 개념의 도래, 전통적인 문학 개념의 해체와 같은 외적 환경의 변화 또한 맹목과 당위의 차원을 넘어 이 같은 고전문학의 새로운 가치 탐색을 끊임없이 요청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xt of materials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awareness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as part of an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phenomena. This study accepts the premise that textbooks affect the practice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materials in textbooks are chosen according to the intentions, demands, and perspectives of education in specific social conditions. I divided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into two categories, classical and literary value,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and context of materials of literatur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1 revised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 is generally alienated and excluded; contemporary literature materials are mostly included and organized in the domains of 'the role of literatur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and life.' In addition, the tendency to heighten classical value and diminish literary value is deepen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only included as the product of the past, changes must be made not just to the curriculum, which are external changes, but to the awareness of the essence of classical literature, which are internal changes. Above all, generality as 'literature' and the sense of distance about space and time as 'classic' should be connected to various relationships which respond to problematic situations and the demands of learners. Based on the relationships, we can expect a rich diversity of contexts and aspects of included classical literature. In addition, an extension of the width and scope of included classical literature is anticipated. The reduction of workload, the advent of the concept of capability and the dissolution of traditional literature concepts are the changes of external environment, which is continuously requiring renewed investigation into classical literature beyond simple appropriatenes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상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