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의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이수자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 NCS 수준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Completers' Satisfaction of Job Training Programs and Training Performance in Gwangju Area: The Moderating Role of NCS Level

  • 투고 : 2017.08.01
  • 심사 : 2017.08.30
  • 발행 : 2017.08.30

초록

본 연구는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과 같은 객관적인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데 있다. 또한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 간의 관계가 조절되는 경계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NCS 수준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의 분석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HRD-Net에서 제공하는 2016년도 광주지역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중에서 취업률 정보가 제공되어 있는 513개의 훈련 프로그램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모형에 포함된 주요 변인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훈련 프로그램의 총합 만족도 점수는 4.46을 보여주고 있다. 훈련 프로그램의 NCS 수준은 2~6수준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3수준과 4수준이 각각 45.4%와 36.4% 순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은 3.32로 나타났다. 둘째,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취업률 측정 시점에 관계없이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는 NCS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가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이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미치는 주효과(main effect)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NCS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에 기초한 훈련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만족도 활용의 정교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만족도가 취업률 향상과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job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on objective training performance such as employment rate. In addition,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level was consider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order to clarify the boundary conditions between job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and employment rate.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are 513 job training programs that provide employment rate information among job training programs of 2016 Gwangju area on HRD-Ne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score of the job training program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six dimensions of satisfaction is 4.46. The NCS level of the job training programs ranged from 2 to 6. The average score of the programs was 3.32. Second, satisfaction with the job training program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rate, but the NCS level of the job training program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teraction effect. Finally, polic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re mentioned through this stud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2017년 광주지역 인력.훈련 수급분석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광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