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emand forecast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Daejeon and Jeonnam

지역전략산업에 따른 특성화고 졸업자 신규수요 예측: 대전과 전남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1.26
  • Accepted : 2017.02.28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making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each region and transform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this,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in Daejeon and Jeonnam were selected, new demand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as forecasted in each industry and occup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cational quotient analysis and regional shift-share analysis revealed that Daejon and Jeonnam have different strategic industries. Daejon, unlike Jeonnam strategically develops 'manufacturing food, beverage and tobacco', 'manufacturing timber and paper, printing and copying', 'public service and administration of national defense and social security' and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s, electronics and precision devices'. Jeonnam has specialized industries distinguished from Daejon's, which are 'manufacturing of machinery transportation equipments and etc', 'manufacturing of non-metallic minerals and metal products', 'electric, gas, steam and water supply systems/industries', 'manufacturing coal and chemical products, refining petroleum', 'mining' an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ond, new demand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by occupations and industries showed regional differences(in Daejon and Jeonnam). According the forecast, Daejon will have many workforce demands based on manufacturing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Jeonnam's focused on service industries. Analysis by occupations was also different, Daejon showed high demands on professional and related workers, while Jeonnam requested many new office and service workers. Third, new workforce demand by occupation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is big part of overall new workforce demand both in Daejon and Jeonnam. Fo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w demand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Daejeon and Jeonnam in terms of industry location quotient and change effect, there was high demand in industries with positive total change effects. In terms of location quotient, Daejeon and Jeonnam showed different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전략산업에 따른 특성화고 졸업자의 신규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지역별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정책수립과 특성화고의 변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과 전남을 중심으로 지역전략산업을 선정하고, 특성화고 졸업자의 신규수요를 산업별 및 직업별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상 분석 및 변이할당 분석 결과, 대전과 전남의 전략산업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전은 전남과 달리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목재, 종이, 인쇄 및 복제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과 '전기 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이 전략산업에 포함되었다. 전남은 대전에서는 도출되지 않은 '기계 운송장비 및 기타 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석탄 및 석유, 화학제품 제조업', '광업', '농림어업' 등이 지역전략산업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대전과 전남의 특성화고 졸업자에 대한 산업별 직업별 신규수요 역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대전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신규수요가 많은 반면, 전남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신규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직업별로는 대전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신규수요 비중이 많은 것과 달리, 전남은 사무 종사자와 서비스 종사자의 신규수요 비중이 많았다. 셋째, 각 직업별 신규수요 중 지역전략산업에서 발생하는 신규 수요의 비중은 대전과 전남에서 모두 높았다. 넷째, 대전과 전남의 특성화고 졸업자에 대한 신규수요를 산업의 입지계수와 변화효과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대전과 전남 모두 총 변화효과가 정적인(+) 산업들에서 많은 신규수요를 보였다. 입지계수 측면에서는 대전과 전남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