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uasion and Truth in Gorgias' Rhetoric: A Feature of the Sophistic Reception of Parmenidean Logos Tradition

고르기아스 수사학에서 설득과 진리: 파르메니데스적 로고스 전통에 대한 소피스트적 수용의 한 국면

  • Received : 2017.02.17
  • Accepted : 2017.03.17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armenidean tradition of logos which previous researches fail to fully appreciate has three dimensions of reality-knowledge-discourse. Parmenides is not just an ontologist, as the traditional view emphasizes, but also an epistemologist, as the revisionist view begins to emphasize, and, at the same time, a meta-discourser, as those two established views fail to embrace. In order to reach the third view which fully grasps such a dynamic and integrated feature of Parmenides, we should closely pay attention to the organic interconnectedness of three discourse parts of truth-doxa-proem, especially the significance of proem and meta-discourse. In the Eleatic tradition of discourse, the figure who clearly appreciated and further developed such an authentic feature of Parmenides' discourse is not, as one might easily expect, one of the second-generation Eleatics, but Gorgias who has commonly been positioned at the opposite side of Eleatism. This paper investigates how he actually both innovated and succeeded the Parmenidean tradition of logos; especially, it characterizes his discourse as an antilogy(antilogia) from within the tradition: as a 'devil' advocate' who complemented and completed Parmenidean persuasion by positing the Parmenidean tradition of logos as an arena of a huge intellectual discipline and cultivation, offering himself as a sparring partner to it, and bringing up an antilogy. In the process of this antilogy he performed in his rhetorical speeches such as the Encomium of Helen and the Defense of Palamedes he experimented and examined a possibility of persuasion operating independently from truth, which, however, is not merely sacrificing truth in favor of persuasiveness and probability (to eikos) as Plato criticized mainly focussing on his 'philosophical' writing On not-being. Rather, it was an 'opposition for opposition's sake' and serious play which purported to provide balance and flexibility to contemporary intellectual society which had too much inclined towards truth and knowledge and become stiff and to put weight on the opposite side of mainstream. It is wholly our eranos (i.e. our share of contribution) to summon and examine such sophistic tradition for the sake of the task of our times, not for the sake of Plato's task, that we should build up a healthy culture of discourse where we can share serious play.

연구자들이 제대로 주목하지 못한 파르메니데스적 '로고스' 전통은 존재-인식-담론이라는 삼원적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는 전통적 이해가 강조하듯 존재론자일 뿐만 아니라, 수정주의적 이해가 강조하기 시작한 것처럼 인식론자이기도 하며, 동시에 두 기존 이해가 담아내지 못한 담론론자의 면모 또한 갖고 있다. 파르메니데스의 이런 역동적, 통합적 면모를 온전히 포착하는 제3의 이해에 도달하려면, 진리편-의견편-서시라는 세 담론 부분의 유기적 구성에, 특히 서시와 메타 담론의 의의에 면밀히 주목해야 한다. 엘레아적 담론 전통 내에서 이런 파르메니데스 담론의 진면모를 분명히 파악하고 발전시킨 사람은 통상의 기대대로 2세대 엘레아주의자들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편 자리에 흔히 정위되어 온 고르기아스다. 이 글은 파르메니데스적 로고스 전통을 과연 그가 어떻게 혁신하면서 계승하는지 추적한다. 특히 그의 담론을 전통 내부적 반론(안틸로기아)으로 규정한다. 파르메니데스적 전통을 하나의 커다란 지성적 훈련의 장으로 놓고 거기에 일종의 스파링 상대로 자신을 제공하면서 반론을 세워 줌으로써 파르메니데스적 설득을 보완하고 완성한 '악마의 대변자'로 자리 매김한다. "헬레네 찬양"이나 "팔라메데스 변명" 같은 수사학 연설에서 수행한 그런 반론 과정에서 그는 설득이 진리와 따로 놀 가능성을 실험하고 음미한다. 하지만 그것은 플라톤이 '철학적' 저작 "비존재에 관하여"에만 주목하며 문제 삼은 것처럼 그저 설득력과 그럴법함(에이코스)을 위해 진리를 희생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진리와 앎에 지나치게 기울어 경직된 당대 지성에 균형과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부러 반대편에 힘을 실어 주려는 '반대를 위한 반대'요 진지한 유희였다. 이런 소피스트적 전통을, 플라톤의 과제가 아니라 우리 시대의 과제, 즉 진지한 유희를 나눌 수 있는 건강한 담론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과제를 위해 불러들이고 음미하는 것은 온전히 우리가 감당해야 할 '에라노스'(우리 몫의 기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