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Exclusion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on Material Hardship among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에서의 배제가 저소득 노인가구의 물질적 결핍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Kim, Soo 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8.30
  • Accepted : 2017.11.17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aterial hardship of low-income elderly people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For this research, data of 255 persons aged 65 and over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conducted in 2014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on the minimum living cost of low-income househol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TATA13.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verage level of material hardship in low-income elderly people was 1.45 out of 6, with the most hardship shown in heating and health car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hen low-income elderly people became excluded from the system, they suffered more than the recipients. They also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system of low-income elderly people brought a negative impact on their material hardship when they were connected by the strong social support system.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system reduced their material hardship caused by ex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means to reduce material hardship of low-income elderly people.

본 연구의 목적은 최저생계비 이하 저소득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공적 지원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에서의 배제가 물질적 결핍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가 2014년에 조사한 최저생계비 이하 저소득 가구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가구 255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TATA13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응답 노인의 물질적 결핍의 평균 수준은 1.45개로 가장 큰 어려움은 '난방'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다가 배제될 경우 수급을 받는 경우에 비해 물질적 결핍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부적(-) 상호작용효과가 발생하여 수급배제가 물질적 결핍에 미치는 정적인(+)효과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노인 가구의 물질적 결핍 수준을 낮출 수 있도록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