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eondeok-So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n on Cheondo-Gyohwe-Weolbo

≪천도교회월보≫에 나타난 일제강점기의 천덕송

  • Kim, Jeong-hee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 김정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8.05
  • Published : 2017.08.30

Abstract

The Cheondeok-Song (religious songs of Cheondo-Gyo)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n on Cheondo-Gyohwe-Weolbo, the monthly magazine of Cheondo-Gyo Church were examined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scores of songs, lyrics, and articles related to Cheondeok-Song in the monthly magazine. The five-tone scale or Korean traditional rhythm style was partly used, but western music form was dominant in most of the songs. Especially the four-part form of Christian hymns became usual since 1931. This shows how people thought of the new trends. The reception of the new trends being emphasized, but they recognized tradition as an object of overcoming rather than of succeeding. The lyrics contain religious contents and the spirit of the period to restore national self-respect and contribute to the world peace through overcoming Japanese imperialism. But the rhythm of seven and five syllables which is suspected to have been introduced by Japan was spread after the 1920s. Cheondeok-Song have been sung in the three grand anniversaries and other anniversaries, the Prayer-day, in Cheondo-Gyo church services on Sunday, ceremonies, and in lecture. There are various kinds of songs and their status is very high. Especially, Cheondeok-Song have been used actively in mission works and edification for women. Cheondeok-Song actively reflect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and the demands of that times. They could sing self perfection through enlightenment and also the social reform based on it. These are the reasons why I think Cheondeok-Song of those days are so important. Cheondeok-Song reflected modern elements actively, but couldn't succeed the national form and the traditional elements properly. The problem of cultural identity is not only a specific group's but also that of the whole humanity of maintaining cultural diversity. This is also a task that Cheondo-Gyo Cheondeok-Song have to solve in the future.

본고의 목적은 일제강점기의 천덕송에 대해 "천도교회월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천덕송의 역할과 위상 및 시대적 의미에 대해 조명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월보"에는 악보가 수록된 경우와 노랫말이 수록된 경우, 그리고 천덕송 관련 기사들이 있다. 음악양식에서 부분적으로 5음계나 전통장단 풍의 리듬이 쓰였으되, 대부분의 곡에서 서양음악어법이 지배적이며, 1931년 이후로 기독교의 찬송가식 4성체가 보편화되었다. 이는 신문물 수용은 강조된 반면, 전통은 계승보다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던 당시의 경향을 보여준다. 노랫말에는 종교적 내용뿐 아니라 일본제국주의를 극복하고 민족자존을 회복하며 세계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시대정신을 담고 있으나, 1920년대를 기점으로 일제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의심되는 7.5조의 운율이 번지고 있다. 천덕송은 3대 기념일을 비롯한 각종 기념일과 시일식, 행사, 강연회 등에 항상 수반되었으며, 그 양상과 종류가 다양하고 그 위상이 매우 높다. 특히 부인들을 대상으로 한 포덕과 교화에 적극적으로 천덕송을 활용하였다. 당시 격변하고 있던 국내외의 동향과 시대적 요구를 교리와 연결하여 적극적으로 반영하였으며, 기성 종교의 기복성에서 벗어나, 깨달음을 통한 자아완성과, 이를 바탕으로 한 사회개혁까지 노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당시의 천덕송은 큰 의미를 갖는다. 다만 우리 전통음악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던 시기라는 현실적 한계로 인해 근대적 요소는 적극 반영한 반면, 민족적 양식과 전통적 요소는 온전히 계승하지 못하였다. 이는 천덕송의 향후 과제이기도 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