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근린환경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 Kang, Eun N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투고 : 2017.05.29
  • 심사 : 2017.08.20
  • 발행 : 2017.08.30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이 어떠한 근린환경 구조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노인이 실제 거주하는 근린환경 유형들이 노인의 삶의 만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에 수행한 "노인실태조사" 자료에서 대리응답을 제외한 본인이 직접 응답한 10,28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근린환경 유형을 판단하기 위해 식료품 가게, 의료기관, 행정기관, 복지시설, 대중교통(정류장, 지하철역) 등의 지역사회기관이나 장소까지 도보로 걸리는 시간(분 단위)을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근린환경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이 생활하는 근린환경 유형은 여가 복지 도보제한형(20.3%), 여가 복지 원거리형(15.5%), 균형근접형(7.8%), 상점 교통형(35.0%), 교통근접형(10.1%), 격리형(11.3%)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앞의 네 개 유형은 도시형에 가까우며 교통근접형과 격리형은 농어촌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근린환경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균형근접형에 비해 상점 교통형과 격리형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과 교육수준,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배우자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만성질환개수, 기능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비동거 자녀, 형제자매, 그리고 친구나 이웃과의 연락빈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을 둘러싼 근린환경의 구조가 노인의 삶의 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로서 물리적 근린환경의 구조적인 측면도 고령친화적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to verify whether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re direc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goal, I used'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data which surveyed the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and a total of 10,281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the time taken by walking from community organizations or places such as grocery stores, medical centers, administrative agencies, welfare centers, public transportation was used as an neighborhood environment indicators. As a results, there were six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 leisure-welfare walk-limited type(20.3%), a leisure-welfare long-distance type(15.5%), a balanced proximity type(7.8%), a store-traffic type(35.8%), a traffic proximity type(10.1%), and a marginalized area type(11.3%). Compared to the balanced proximity type, older adults living in a store-traffic type and a marginalized area type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life satisfaction. older adults wh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more educated, get higher household income, and have a spouses or partner. Moreover,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siblings, friends and neighbor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fe. Finding from the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late lif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building age-friendly commun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