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Wanpan-changgeuk(完板唱劇) directed by Hur Gyu : Focusing on Changgeuk Dramaturgy

허규 연출 완판창극의 창극술 연구 - <흥보전>(1982)과 <흥보가>(1984)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1.10
  • Accepted : 2017.02.05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article studies Hur Gyu's Wanpan-Changgeuk Heungbojeon (1982) and Heungboga (1984),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dramaturgy of Changgeuk and its meaning as transformed from Pansori Heungboga. The dramaturgy of Wanpan-Changgeuk Heungbojeon and Heungboga served to express criticism toward selling oneself. Beyond their former classical theme of brotherly affection, these productions elicited sorrow at the sight of poverty through a dramaturgy integrating modern theatricality with the Korean dramatic style. The theme of grief for poverty in these Changgeuk plays simultaneously aroused spectators' sympathy and critical thinking about economic aspects. Moreover, the Korean drama style and humor were not used simply as a tool but to exhilarate an emotional response to a life of coexistence. This paper found that Hur Gyu's Wanpan-Changgeuk Heungbojeon and Heungboga recreated a new Changgeuk dramaturgy based on the director's integration of western thinking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stage. Through this, Hur Gyu tried to expand spectators' sympathy and to achieve artistic and popular success. Thus, these value of Hur Gyu's Wanpan-Changgeuk lay not only in its long running-time, but in its dramaturgy of integrating thinking for his Minjokgeuk (nationalist theater).

이 논문은 허규의 완판창극 <흥보전>(1982)과 <흥보가>(1984)의 창극술과 그 의의를 논한 것이다. 판소리 <흥보가>가 두 편의 완판창극 <흥보가>로 구현되는 과정에서의 창극술과 그 의의를 논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창극술'은 창극의 양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을 통해 어떠한 미적 의식을 드러내는지를 논하는 것으로 연출가가 완판창극을 통해 지향하는 의식에 관한 것이다. 허규의 완판창극 <흥보가> 창극술은 우화적이고 신명나는 놀이의 정서 속에서 '가난과 배고픔을 면하기 위해 몸을 파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해학적으로 드러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적인 연극성'과 '한국적인 놀이성'을 융합시킨 창극술을 통해 '형제 간의 우애'라는 주제의식을 넘어서 '가난으로 인한 서러움'이라는, 당대 및 동시대에도 공감할 수 있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문제의식을 불러일으킨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흥보의 '나누는 삶'을 통해 한국 전통연희의 '놀이성'을 단순한 기예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생의 삶'을 추구하는 '신명'의 정서로 구현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논문에서는 허규의 '민족극'론이 당대에 드물게 서양 연극술과 전통연희의 무대화라는 융합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연출가 의식으로 인해 새로운 주제의식을 만들어내면서 관객과의 공감대를 확장하려는, 즉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창극술'이 구현되었음을 논한 의의가 있다. 완판창극이 단순히 공연시간만이 길어진 형식의 것이 아니라 허규의 '민족극'론을 토대로 한, 융합적인 인식을 토대로 하는 창극술을 지향하고 있음을 밝힌 의의가 있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