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al Analysis and Criticism of Geommu (Korean Sword Dance) - Focusing in Literary Works and Music -

검무 구조 분석 시론 - 문헌과 음악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1.10
  • Accepted : 2017.02.05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Of all Geommu(劍舞, Korean sword dance), Gisaeng-Geommu danced by gisaeng(妓生, Korean female entertainers) for private guests and at the royal court. The Sword d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ed to be dynamic exuding menacing "sword spirit(劍氣)." Sword dance being transmitted today is more ritualistic and elegant. This study considers Korean sword dance has a core structure and motifs transcending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based on this critical thinking,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Korean sword dance. This study analyzed the prose "Geommugi(劍舞記)" by Park Je-ga(朴齊家) and the poem "Mugeompyeonjeongmiin(舞劍篇贈美人)" by Jeong Yak-yong(丁若鏞) out of literary wor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from official records of rituals(笏記), "Geomgimu(Sword Dance, 劍器舞)" and "Geommu" in "Gyobanggayo(敎坊歌謠)." In the introduction part of Sword dance, a dancer appears, bows and performs a hand dance or hansam(汗衫) dance to and fro. In the development part, a dancer meets with a sword but first hesitates to hold it and dances holding swords in both hands. The climax shows expert sword skills and combat scenes. In the conclusion part, the court dance involves a dancer bidding a formal farewell, while the dance for entertainment, a dance throws away the sword to finish. From literature materials, the structure of Korean sword dance could be divided into an introduction, a development, a climax and a conclusion. Based on this, this study analyzed sword dance movements by linking the beats accompanying the current sword dance, in the order of a Yeombul, the traditional Korean ballad Taryeong or Neujeun Taryeong, Jajin Taryeong, Taryeong and Jajin Taryeong. The introduction part includes a Buddhist prayer and the beginning of Taryeong. Dancers appear, and in two rows they dance facing each other. On the slow beat, their dances are relaxed and elegant. The development part is matched with Jajin Taryeong. Dancers sit in front of swords and grab them, and they dance holding a pair of swords. The beat gradually becomes faster, progressing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But then, the slower Taryeong is placed again. The reason behind it is to create a tension for a little while, before effectively reaching a climax by speeding up the tempo again. Moving on to Jajin Taryeong, dancers' movements are bigger and more dynamic. The highly elated Jajin Taryeong shows dance movements at the climax on fast, robust beats. In the conclusion part, the beat is quick-tempo and on the upbeat again on Jajin Taryeong. Driving on without a stop on the exciting Yeonpungdae(燕風臺) melody, dancers standing in a line dance wielding the swords and bow before finishing.

한국의 검무는 조선시대까지 의례, 민속예능, 궁중연향, 풍류 등에서 다양하게 추어졌다. 그 중 기생들이 민간과 궁중에서 추었던 여기(女妓) 검무가 현재까지 전승되었는데, 조선 후기 문학작품들에 기록된 검무들은 현행 검무보다 역동적이고 검기(劍氣)를 가득 담은 춤이었다. 하지만 현재 전승되고 있는 기녀 검무들은 의식(儀式)성이 강하고 단아하다. 시대적 변화를 겪으며 검무의 정조(情調)가 변한 듯하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시대를 관통하는 검무의 핵심적인 구조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하에 검무의 내적 구조를 시론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현행 검무와 조선 후기 검무의 구조를 교차하여 연구하였다. 조선후기 문학작품 중 박제가의 <검무기>와 정약용의 <무검편증미인>을 분석했고, 무보로 "정재무도홀기"에서 <검기무>와 "교방가요"의 <검무>를 분석하였다. 도입과정에서는 춤꾼이 등장하여 절을 하고 춤꾼의 캐릭터를 보여주고, 무진 무퇴하며 손춤이나 한삼춤을 춘다. 전개과정에서는 춤꾼과 검이 만나는데, 검을 잡을 것인지를 갈등하다가 양 손에 칼을 잡고 춤춘다. 절정과정에서 숙련된 검술과 교전(交戰)의 모습을 보여주고, 마지막에 연풍대까지 춘다. 결말과정에서는 궁중에서 추었던 경우 인사를 하고 마치지만, 교방에서 추었던 경우 칼을 던지고 춤을 마무리한다. 검무의 구조를 도입 - 전개 - 절정 - 결말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네 단계의 전개 구조에 현행 검무(진주검무, 통영검무, 해주검무, 호남검무, 국립국악원의 검기무)의 춤사위 진행을 결부시키고, 반주 장단인 염불 - 타령(또는 늦은타령) - 자진타령 - 타령 - 자진타령의 순서에 따라 검무의 전개를 분석해보았다. 도입과정은 염불이나 타령의 초입부분이다. 기생이 등장하면서 캐릭터가 제시되고, 2열로 나뉘어 상대(相對)하며 춤춘다. 염불과 타령의 도입과정은 여유롭고 우아하게 진행된다. 전개과정은 타령의 중간이나 자진타령에 해당한다. 춤꾼들이 검 앞에 앉아 있거나 앉게 되는데, 칼을 잡기(집검(執劍))까지 갈등의 과정이 보여지다가, 결국 쌍검을 잡고 춤춘다. 타령에서 자진타령 장단으로 속도를 점차 높이며 검을 잡는 과정의 갈등과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또 자진타령의 탄력 있는 장단이 춤의 전개를 조금씩 진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속도를 갑자기 늦추어 타령장단이 3~4장단 배치되었다. 자진타령의 빠른 장단에서 타령의 느린 장단으로 전환되는데, 그 이유는 검무의 진전되는 긴장감을 잠시 끌어내 숨을 고르게 했다가, 다시 속도를 높여서, 이 춤이 절정으로 가기 전에 검무의 묘미를 높이는 효과를 만드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다시 자진타령으로 속도가 빨라지면 검무의 동작들은 더욱 폭이 크고 역동적으로 펼쳐진다. 고조된 자진타령의 빠르고 힘 있는 장단에 맞춰 추면서 절정과정의 최고조에 이르는 것이다. 마지막 결말은 잦은 타령이 고조되고, 연풍대의 여세를 몰아 일렬로 서서 검을 휘두르며 춤추다가, 인사를 하고 춤을 마친다. 여기까지 자진타령이 이어진다. 이상 검무의 전개 과정에서 염불 - 타령 - 자진타령 - 타령 - 자진타령으로 이어지는 반주음악은 검무의 도입, 전개, 절정, 결말이라는 구조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각 과정을 선명히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선후기 문헌에 기록된 기녀들의 검무와 현행 검무가 진행상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시대를 관통하는 검무의 핵심적인 내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