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ponse of Export Companies to Japan-EU EPA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MRA)

일·EU FTA 상호인정협정(MRA)에 대한 수출기업의 대응방안 연구

  • Kim, Young-Ho (International of Trade, Division Business Administration, Seokyeong University)
  • Received : 2017.08.26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In 2017, the EU-Japan FTA talks were resumed ahead of the G20 summit in Brussels, Belgium, and agreed to abolish tariffs on 95% of all trade items. These figures are highly liberalized agreements that are equivalent to the Pacific Rim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TPP). Particularly, Japanese automobiles were aggressively negotiating the abolition of tariffs with 7-year grace period and the gradual elimination of European cheese in 15 years. If the agreement is concluded, the tariffs of 1 billion euros (about 1.3 trillion won) will disappear, and Korea, which has similar industrial structure with Japan, will be hit by the processed food, chemical products, medical equipment, dairy products and automobile industries. 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MRA) that can directly affect the Korean companies in the content of the Japan-EU FTA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xport companies.

본 연구는 일-EU 자유 무역 협정의 내용에서 한국 기업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호인정 협정 (MRA)을 검토하고 한국 수출 기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2017 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 된 G20 정상 회담에 앞서 일-EU FTA 협상이 재개되었으며 모든 교역 품목의 95%에 대한 관세 철폐에 합의했다. 일본 자동차는 7년간의 유예 기간과 15년간 유럽 치즈의 점진적인 철폐와 함께 관세 폐지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상을 벌였다. EPA 협정으로 일본과 비슷한 산업 구조를 가진 한국은 가공 식품, 화학제품, 의료 장비, 유제품 및 자동차 산업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수출기업의 대응방안으로 첫째, 국제적 기술기준에 대한 이해와 전략적 대응. 둘째, 한국기업의 국가별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 셋째, 한국이 체결한 FTA의 적극적인 활용. 넷째, 기업의 MRA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영.이준원.민경실, "日-EU EPA 타결 및 시사점",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TRADE BRIEF, 제21권, 2017, p.6
  2. 기술표준원, "적합성평가절차에서의 상호인정에 관하여", 한국기술표준원, 1998, p.9.
  3. 노재확.이학로.최혁준. "일본과 EU의 경제동반자협정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4호, 2015, pp.279-295.
  4. 미래전파공학연구소, "해외주요국의 인정기관 현황", IFRE 2011, pp.6-8.
  5. 손원근, "WTO 체제 하에서 상호인증협정(MRA)를 통한 기술무역장벽(TBT)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6. 송백훈, "일본-EU FTA의 경제적 효과 및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무역학회지, 제40권 제3호, 2015, pp.73-89.
  7. 신경주, "상호인정협정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3.
  8. 이종원, "일본의 대EU EPA추진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통상정보연구, 제11권 제4호, 2009, pp.373-394.
  9. 정훈, "일본의 대북미 통상전략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 07-10, 2007, pp.93-95.
  10.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 "새롭게 바뀌는 일본의 수입인증제도", Global Business Report, 09-004, 2009, pp.1-6.
  11. IEC, "Safety od medical electrical equipment. Part 2, Particular requirements the safety of hight-frequency surgical equipmant", IEC 601-2-3. 1991.
  12.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Agreement on MRA between the European Community and Japan", Official Journal L 284, 2001, pp.3-8.
  13.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Council Resolution of 21 December 1989 on Global Approach of Conformity Assessment", Official Journal C 010, 1990, pp.1-2.
  14. WTO,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1994. pp.1-25.
  15. http://certinfo.or.kr/findCertOfNation.do (해외인증정보시스템, 2017년 7월 검색)
  16. http://www.aeo.or.kr/intrcn/aeoNationMraView.do (한국AEO진흥협회, 2017. 7월 검색)
  17. http://www.movonlab.co.kr/sub/sub05_01.php.
  18. http://www.mofa.go.jp/region/europe/eu/agreement.html (일본외무성, 2017.7.26.일 검색)
  19. 財務省貿易統計, http://www.customs.go.jp/toukei/suii/html/time.htm (검색일: 2017.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