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 Movement: With a Focus on Students and Farmers"> "Discontent" and "Liberation" of Koreans Found in the Interrogatories for the March 1st Movement: With a Focus on Students and Farmers

3·1운동 신문조서(訊問調書)를 통해 본 조선인들의 '불만'과 '독립'- 학생과 농민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6.21
  • Accepted : 2017.06.25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by focusing on their statements in the interrogatories retrieved from the Source Book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beration Movement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rogato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people subject to the investigation. Through this research,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ajority of those who were investigated were students in Seoul and farmers in Gyeonggi-do. Then, this study traces why they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This study compiles their complaints and checked how their "discontent" could be connected to "liberation." While students were mostly interested in "education," and clearly expressed their discontent, the farmers were discontent with their livelihoods and tax under the rule of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and were not as clear at expressing their discontent. The interrogatories also confirms that some Koreans had no complaints but thought that liberation was needed. It is difficult to classify such people, but some people cried out for liberation without knowing the meaning of the term, only to understand its meaning later in prison. The significa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was at times imparted after the movement ex post facto.

본 논문은 국사편찬위원회의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3.1운동편을 통해, 신문조서에 드러난 학생과 농민들의 진술에 드러나는 특징을 포착하려 하였다. 국사편찬위원회 신문조서에 어떤 사람들이 조사를 받았는지를 우선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주로 경성의 학생, 경기도의 농민들이 조사받은 기록이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 그들이 3.1운동에 참여한 이유는 무엇이었는지 추적하였다. 신문조서에서 말한 불만사항들을 정리하고, 그러한 불만이 '독립'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주로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불만을 명확하게 표현하였던 데 비하여, 농민들은 총독정치 하에서의 생활 및 세금 문제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스스로의 불만을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처벌을 경감받고자 하는 태도를 뛰어 넘어, 불만은 없지만 독립은 필요하다는 방식의 사고를 하는 조선인들이 확인된다. 이들은 우선 독립 만세를 외친 이후에 감옥에서 독립의 의미를 깨닫기도 하였다. 3.1운동의 의미는 행위 이후에 사후적으로 의미가 부여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인(2009), 기억의 탄생-민중시위문화의 근대적 기원, 역사와현실 74.
  2. 국사편찬위원회 편(1986-2007),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3. 권태억(2013), 1910년대 일제의 '문명화' 통치와 한국인들의 인식: 3.1운동의 '거족성' 원인규명을 위한 하나의 시론, 한국문화 61.
  4. 김소영(2010), 대한제국기 '국민'형성론과 통합론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라나지트 구하(김택현 역)(2008), 서발턴과 봉기, 박종철출판사.
  6. 박찬승(1989), 3.1운동의 사상적 기반,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7. 배성준(2009), 3.1운동의 농민봉기적 양상, 1919년 3월 1일에 묻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8. 이정은(2009), 3.1독립운동의 지방시위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9. 전상숙(2009), '평화'의 적극적 의미와 소극적 의미 - 3.1운동기 심문조서에 드러난 '민족 대표'의 딜레마, 개념과소통 2-2.
  10. 趙成雲, 資料解題 : 3.1운동,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국사편찬위원회, URL: http://db.history.go.kr/download.do?levelId=hd&fileName=intro_hd.pdf.
  11. 천정환(2009), 소문(所聞) . 방문(訪問) . 신문(新聞) . 격문(檄文) - 3.1운동 시기의 미디어와 주체성, 한국문학연구 36.
  12. 한금순(2015), 최정숙의 3.1운동 재판 관련 문서 분석, 제주도연구 44.
  13. 허영란(2009), 3.1운동의 지역성과 집단적 주체의 형성 - 경기도 안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1919년 3월 1일에 묻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