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병원 진료대기공간의 치유환경디자인 분석 -중국 북경소재 어린이 전문병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Waiting Space of Children's Hospital -Focused on Children's Hospital in Beijing, China-

  • 투고 : 2017.08.17
  • 심사 : 2017.10.24
  • 발행 : 2017.11.28

초록

최근 중국에서는 어린이 전문병원을 통해 어린이에 특화된 진료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나, 어린이병원의 치유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디자인적 고려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어린이병원의 진료대기공간은 병원에 대한 인상을 형성할 뿐 아니라, 환아(患兒)의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치유공간이므로 진료대기공간의 환경디자인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도시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병원의 진료대기공간을 치유효과를 높이는 환경디자인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북경 소재 어린이 병원들에 대한 현장조사와 치유환경디자인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진료대기공간 환경디자인에 대한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병원의 치유환경 요인으로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행위적 환경 측면에서 8가지 세부요인들을 정의하였고, 북경에 위치한 어린이병원 6 곳을 방문하여 관찰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결과, 중국 어린이병원의 경우 쾌적성, 개방감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반면,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안전성, 접근성, 자연 친화성이 낮았다. 심리적 환경 측면에서, 프라이버시, 사인시스템의 심미성이 낮았다. 행위적 환경 측면에서는 활동성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북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병원의 진료대기공간의 환경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re are many children's hospitals which medical facilities are need to be improved in China. Except medical facilities, the environmental element-children's emotional security and mental development-were often been ignored. The waiting space is a place for the formation of the impression of hospital and the important space of spatial constitution for emotional secur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friendly environment for children. Previous studies showed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affected healing environment in children's hospitals' waiting space: physical, psychological and conduct. The result showed that Chinese children's hospitals performed better in physical factor, but lack of psychological and conduct factor based on the case study of 6 children's hospitals in Beijing. In order meet the needs of patients and protectors bett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 the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키워드

참고문헌

  1. Li Jinghua, Service Encounter and Service Innovation of Chinese Hospitals, Zhejiang University, p.28, 2012.
  2. http://news.163.com/16/0224/11/BGJ9UNLM00014JB5.html
  3. 중화인민공화국 미성년자 보호법, 제1장, 제1항, 2006.
  4. http://www.chyxx.com/industry/201603/399549.html
  5. 문정화, 나귀옥, 아동발달, 파란마음, 2008.
  6. 이정희, "의료계에서 본 치유환경의 중요성, 치료환경의 세계적 추이,"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국제심포지엄, pp.87-89, 2002.
  7. R. Ulrich, Effects of healthcare interior design on wellness, Innovations in health care design, Van Nostrand Reinhold, 1995.
  8. Martha M. Tyson, The Healing Landscape -Therapeutic Outdoor Environments, McGrow-Hill, 1998.
  9. 최광석, 김길채, "한국 병원의 스트레스에 대응한 치유환경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8권, 제1호, pp.61-67, 2002.
  10. Jain Malkin, Hospital interior architecture: Creating healing environments for special patient populations,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92.
  11. 임미란, 치유적 환경으로서 소아전문병원의 리노베이션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Tyson, Healing Landscape: Therapeutic Outdoor Environments, UW-Madison Libraries Parallel Press, pp.37-38, 2007.
  13. 김혜연, 김광호, "어린이 의료시설의 치유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루돌프슈타이너와 막스 뤼셔의 이론에 근거한 형태지원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25-132, 2010.
  14. 김건형, 박재승, "서울시 어린이 전문병원 외래진료부의 공간구성방식과 대기공간의 치유환경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7-48, 2010.
  15. Roslinda Ghazali and Mohamed Yusoff Abbas, "Assessment of healing environment in paediatric ward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38, pp.149-159, 2012. https://doi.org/10.1016/j.sbspro.2012.03.335
  16. 손지혜, 양내원, "국내 의료시설 기본설계 과정에서 나타나는 치유환경개념의 반영 특성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 의료시설 설계경기 당선작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8권, 제7호, pp.125-132, 2012.
  17. 정소영, 김예슬, 최광석, "소아병동의 치유적 휴게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9권, 제1호, pp.23-34, 2013.
  18. 하지민, 박수빈, "어린이 발달특성을 지원하는 어린이병원 환경디자인 요소,"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30권, 제10호, pp.87-95, 2014.
  19. Shepley, "The healthcare environment," In J. Rollins, R. Bolig, and C. Mahan (Eds.), Meeting children's psychosocial needs across the health-care continuum, pp.313-349,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