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 게임 코스프레(cosplay) 사진 연구 - '칠미조(七味zoe)'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hinese Game Cosplay Photography - Focused on 'Qiwei Zoe' -

  • 타오진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 이상은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 양종훈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투고 : 2017.09.26
  • 심사 : 2017.10.10
  • 발행 : 2017.11.28

초록

코스튬 플레이는 디지털 게임이나 만화, 애니메이션 속의 등장인물 또는 캐릭터의 외형적인 모습이나 행동을 모방하는 행위이다. 최근 중국에서 애니메이션, 게임의 영화화로 코스프레 문화가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캐릭터를 코스프레 하는 코서들이 증가하고 있다. 칠미조는 중국의 코스프레 사진작가로 코스프레 문화의 특징을 깊게 이해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반영한 작품으로 코서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코스프레 사진의 상업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적 가능성을 제시하여 중국의 코스프레 사진 분야에서 중요한 사진가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칠미조가 어떠한 촬영 방식으로 원작의 내용을 재구현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칠미조는 과도한 후기 작업을 피하고 캐릭터의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현실감 있게 촬영했다. 캐릭터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소품을 활용하거나 특정 행위를 강조했고 원작의 배경과 유사한 야외 촬영지를 다양하게 활용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코스프레 사진의 예술적 가능성을 구현하기 위한 창작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Costume play is an act of imitating the appearance or behavior of characters in digital games, cartoons or animations. In recent years, cosplay culture has become popular in China as the digital game is made into a movie. The number of cosers has also increased. Especially, Qiwei Zoe has been very popular among cosers because her cosplay photography refl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cosplay culture. A number of cosers admit that her work shows a commercial and artistic potential of cosplay photography. This paper analyzed how she maintains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but creatively reimplementing them. She shoots the fantastic image of the character like it really exists in reality so that she can avoid excessive editing work. She emphasizes the character's action that symbolizes its personality and utilizes a variety of outdoor shooting locations similar to the original scenes. We also discussed how cosplay photographers can create cosplay photography by maintaining its artistic feat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야마구치 카즈오(山口康男), 우소추(于素秋) 역, 일본애니메이션 전사: 일본애니메이션 선도 세계의 기적, 북경: 중국과학기술출판사, 2008.
  2. 비사 애니메이션제품 연구센터, 코스프레 전격 탐구, 북경: 북경전자공업출판사, 2006.
  3. 양적(楊迪), 코스프레 사진의 예술 특징에 대한 논의, 운남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2015.
  4. 허역(䔓易), 코스프레의 유행과 청소년에게 주는 영향, 운남민족대학, 석사학위논문, 2008.
  5. 양적(楊迪), "당대촬영과 후반 작업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 청년과 사회, 제588권, 제6호, pp.278-279, 2015.
  6. 고충(高沖), 디지털촬영의 예술언어특징, 북경복장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7. 소유석, 코스프레 참여집단의 하위문화 실천에 대한 문화 기술지 연구: 융의 개성화와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8. 조현진, 조우현, "코스프레 코스튬의 특성," 한국복식학회, 제57권, 제7호, pp.137-152, 2006.
  9. 십야(十夜), 코스프레의 비밀, 북경: 중국청년출판사, 2012.
  10. 칠미조(七味zoe) 개인 블로그, http://zoeillying.loft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