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esent Status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through the Remake of the Korean-Chinese Joint Film - The Case of the Movie 「BLIND」 and 「I am a witness」

한중합작영화 리메이크 과정을 통해 본 중국영화계의 현주소 -영화<블라인드(BLIND)>와 <나는 증인이다(我是證人)>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9.13
  • Accepted : 2017.10.25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Since the placement of the THAAD missiles has recently cool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many Korea-China joint films and entertainment businesses have collapsed. To make matters worse, there is also many opinions for "Korea-China joint film useless" in China through the results of many Korea-China joint films. In my opinion, the causes of failures of the Korea-China joint films are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Korean filmmakers in the Chinese film industry. So, By examining the history of Chinese cinema in this paper, I want to establish the character formation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And cause a criminal-thriller genre has to undergo more stringer censorship than any other genre, I will introduce the production process of remake of the Korean film . By introducing the censorship method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and the actual cases applied, I want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Chinse film industry. Also, I intend to give some proposals to Korean filmmakers preparing a Korea-China joint film, and express my brief opin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China joint film industry.

근래 사드 미사일 배치 문제로 한중관계가 급격히 냉각되면서, 많은 한중합작영화와 엔터테인먼트 사업들의 기획과 제작이 무산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중국내에서는 그간 합작영화의 결과를 통한 '한중합작 무용론' 까지 제기되고 있다. 필자는 그간의 한중합작영화들의 많은 실패 원인이 중국영화계에 대한 한국영화인들의 이해와 경험의 부족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필자는 본 지면을 통해 중국영화사를 개괄하여 현재 중국영화계의 특성이 형성된 원인을 밝히고, 여타의 장르보다 더욱 까다로운 검열을 거쳐야하는 범죄스릴러 장르인, 한국영화 <블라인드>를 라메이크한 <나는 증인이다>의 경우를 통해 중국영화계의 검열방식과 실제 적용된 사례를 소개하여, 중국영화계의 현주소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의 한중합작영화를 준비하고자하는 한국영화인들에게 드리는 제언과 함께, 한중합작 영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필자의 의견을 간략하게 피력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ccl.co.kr/221020150576
  2. 임대근, "한중 영화 교류의 역사와 미래," 한중인 문학포험 발표논문집, pp.450-457, 2016(11).
  3. 문철우, "중국 영화산업구조와 한국영화 진출성과의 분석," 국제경영리뷰, 제15권, 제2호, pp.179-209, 2011(6).
  4. 김은우, 곽주영, "공동제작 방식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중국의 영화산업에 진출한 한국의 중소영화사를 중심으로," 연세경영연구, 제50권, 제2호, pp.213-245, 2013.
  5. 송원찬, "한중합작영화 왜 실패할까?," 문학과 영상, 제12권, 제3호, pp.773-798, 2011(9).
  6. 박정수, "한중 문화교류의 명암-영화 공동제작의 사례분석," 중국학연구회 학술발표회, pp.291-306, 2013(11).
  7. 정명화, 이성덕, 김익기, 송정은, "한중영화합작의 발전방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1-15, 2016(6).
  8. 임대근, "중국 영화계의 인적 네트워크 연구," 중어중문학, 제54권, pp.379-403, 2013(4).
  9. 하천, "중한 영화 합작제작 현황 및 과제-시장과 기술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제3권, 제2호, pp.221-263, 2013(12).
  10. 니에웨이, 정양, 권도경, "한중 공동제작영화-문화유동(文化流動)과 영연상상(影緣想像)," 영화중국, 제3권, 제2호, pp.9-21, 2016(12).
  11.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51210010002417
  12. 슈테판 크라머, 황진자 옮김, 중국 영화사, 도서출판 이산, 2008.
  13. 박정수, 중국 영화산업,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5.
  14. 노가남, 중, 한 합작영화 제작연구-중, 한 합작영화<我是證人(나는 증인이다)>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15. http://www.econovill.com/news/artcleView.html?idxno=325063